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Thematic Fantasy Play Program on Prosocial Behaviors and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an Inclusive Classroom

통합교실에서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성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
  • 신혜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4.02.15
  • Accepted : 2014.04.22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nhancing the prosocial behaviors and the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ree students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who were 4-year-old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room were selected. Their homeroom teacher carried out the program with a small group of 6 children totaling 21 sessions over 3 month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both the observer and the parents' test after the program showed that the small group made positive changes on prosocial behavior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arget behaviors increased during the intervention. Second, the result of both the observer and the parents' test after the program showed that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increased in the small group. Moreover the negative peer play interaction such as play disturbance and play isolation decreased. In conclusion, the thematic fantasy play program is useful for an inclusive classroom, and can be a concrete method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and childcare.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교육 보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통합교실 담임교사를 지원하기 위하여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제시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인 또래놀이행동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인천광역시 K유치원의 만 4세 발달지체유아 3명과 같은 통합교실에서 생활하는 3명의 일반또래유아이며, 6명의 소집단을 대상으로 3개월간 담임교사가 21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사후평정에서 긍정적인 변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의 관찰결과에서도 중재기간동안 표적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발달지체유아의 또래놀이행동 사후평정에서도 긍정적인 변화의 경향성이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은 일반 교육 및 보육과정에서 발달지체유아의 개별적 요구를 지원하는 구체적인 통합교육의 지원방안이 될 수 있으며, 교사에게 실질적 지원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2008). 언어.인지.사회.정서발달 지원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김두희, 채은희(2008). 놀이중재를 통한 통합환경 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7(1), 109-131.
  3. 김미경, 천현주(2005). 또래중재 놀이활동이 자폐장애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7(1), 47-69.
  4. 김성애(2007).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한국 유아특수교육의 과제 및 해결방향. 유아특수교육연구, 7(3), 111-139.
  5.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6. 김지연, 최윤희(2009).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와 일반 유아의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9(4), 163-179.
  7. 김호년, 도명애(2012). 또래중재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8(2), 255-278.
  8. 배성현, 이병인(2006). 통합된 소집단 협동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6(2), 1-25.
  9. 백유순(2008). 조기 중재 및 유아특수교육에서의 가족중심 실제를 위한 실천 과제. 유아특수교육연구, 8(3), 89-111.
  10. 변윤희, 현은자(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36.
  11. 보건복지가족부(2008). 장애아 보육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서울: 육아정책 개발센터.
  12. 서경신, 허유승, 이효신(2009). 구조화된 사회극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8(3), 127-150.
  13. 안경숙(2011). 유아예술교육활동과 연계된 창의적 극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6), 145-166.
  14. 양진희, 박윤(2007).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주제극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349-374.
  15. 원종례, 김경희(2010).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관련 중재연구 동향분석: 2000-2009년까지의 국내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0(3), 62-192.
  16. 이경님, 부예숙(2013).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31-53.
  17. 이기현(2007). 통합학급에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특성을 지닌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과정(III).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1), 1-27.
  18. 이소현, 박은혜(2005).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사회적 통합촉진을 위한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9. 이영자, 임춘금(2008).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 서울: 창지사.
  20. 이지예, 김은경(2009). 또래와 함께 하는 사회정서프로그램이 ADHD 성향유아의 정서조절전략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9(3), 123-151.
  21. 임영심, 이경하(2006). 주제환상극놀이에 기초하여 유아들이 재구성한 그림책의 이야기 구성 요소 분석. 열린유아교육, 11(1), 317-338.
  22. 장영실(2009).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1), 127-147.
  23. 정은영, 박은혜(2004). 통합유치원에서의 사회극놀이 활동이 3세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3(1), 125-145.
  24. 조숙경(2006).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2(2), 263-286.
  25. 천승욱, 황경열(2012). 사회극놀이가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향상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19(3), 423-444.
  26. 최세민(2008). 구조화된 사회적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 및 비사회적 행동에 미친 영향. 아동교육, 17(2), 81-90.
  27. 최은미, 강영심(2009).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373-390.
  28. 최혜영, 신혜영(2011).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또래놀이행동 척도의 타당화. 아동학회지, 32(2), 35-52. https://doi.org/10.5723/KJCS.2011.32.2.35
  29. 황주연, 이문옥(2012).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1-21.
  30. Aguiar, C., Moiteiro, A. R., & Pimentel, J. S. (2010). Classroom quality and social acceptanc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fants and Young Children, 23(1), 34-41. https://doi.org/10.1097/IYC.0b013e3181c9766e
  31. Bricker, D. (1995). The challenge of inclus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9(3), 179-194. https://doi.org/10.1177/105381519501900301
  32. Brown, W. H., Odom, S. L., McConnell, S. R., & Rathel, J. M. (2008). Peer interaction intervention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fficulties. In W. H. Brown, S. L. Odom, S. R. & McConnell, S. R.(E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Risk, disability & intervention. Baltimore: Brookes.
  33. Bruns, D. A., & Mogharreban, C. C. (2007). The gap between beliefs and practices: Early childhood practitioners' perceptions about inclusion. Childhood Education, 21(3), 229-241. https://doi.org/10.1080/02568540709594591
  34.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8).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 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pecial Education (6th Ed.). Reston,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35. Diamond, K., & Innes, F. (2001). The originals of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In M. J. Guralnick (Ed.), Early childhood inclusion: Focus on change. Baltimore: Brookes.
  36. Fantuzzo, J. W., Mendez, J., & Tighe, E. (1998). Parental assessment of peer pla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 version of the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4), 659-676.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66-0
  37. Friend, M., & Bursuck, W. D. (2011).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6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Press.
  38. Gurlanick, M. J., & Weinhouse, E. (1984). Peer related social interactions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Psychology, 20(5), 815-827. https://doi.org/10.1037/0012-1649.20.5.815
  39. Honig, A. S., & Wittmer, D. S. (1996). Helping children become more prosocial: Ideas for classrooms,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Young Children, 51(2), 62-70.
  40. Iannotti, R. J. (1985). Naturalistic and structured assessments of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 children: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perspective tak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1(1), 46-55. https://doi.org/10.1037/0012-1649.21.1.46
  41. Janney, R., & Snell, M. E. (2006). Social relationships & peer support (2nd Ed.). Baltimore: Paul H. Brookes.
  42. Johnson, J. E., Christie, J. F., & Yawkey, T. D. (1987). Play and early children development. Illinois: Glenview. In Kemple, M. K. (2004). Let's be friends: Peer competence and social inclusion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3. Kohler, W. F., Greteman, C., Raschke, D., & Highnam, C. (2007). Using a buddy skills package to increase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a preschooler with autism and her peer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7(3), 155-163. https://doi.org/10.1177/02711214070270030601
  44. Murray, C., & Greenberg, M. T. (2000).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bonds with school an investigation of patterns and correlates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8(5), 423-445. https://doi.org/10.1016/S0022-4405(00)00034-0
  45. Odom, S. L., Zercher, C., Marquart, J., Li, S., Sandall, S. R., & Wolfberg, P. (2001). Soc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preschool classrooms. In S. L. Odom (Ed.), Widening the circle: Inclu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reschool programs(pp. 61-8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6. Purcell, M, L., Horn, E., & Palmer, S. (2007).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preschool inclusion programs. Exceptional Children, 74(1), 85-99. https://doi.org/10.1177/001440290707400105
  47. Rubin, K. H., Fein, G. G., & Vandenberg, B. (1983). Play.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IV.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pp. 693-774). New York: Wiley.
  48. Trawick-Smith, J. (2011).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Facilitating play in the early years, 놀이지도: 아이들을 사로잡는 상호작용. (송혜린, 신혜영, 신혜원, 조혜진 역). 서울: 다음세대. (원판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