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예진(2011).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 권민아(2002). 보육시설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근로복지공단(2012). 직장보육 세미나 및 우수 보육프로그램. 서울: 근로복지공단.
- 근로복지공단(2013). 2013년 직장보육국제 세미나: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을 위한 직장보육 정책의 발전 비전. 서울: 근로복지공단
- 김교성, 김경희(2003). 직장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 이용하는 여성근로자의 보육의 질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및 격리불안정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3, 1-22.
- 김기현(2000).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지, 9(1), 71-84.
-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 김기현, 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관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 김리진, 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 김명소(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2(2), 1-33.
- 김명소, 한영석(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조사연구, 7(2), 1-38.
- 김미정, 최혜진(2011). 직장보육시설 대학위탁 현황 및 위탁운영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11-434.
- 김미정, 하지민(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상관계와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283-303.
- 김민정, 김정원(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28.
- 김순진(2013). 어머니 변인이 자녀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유미, 김정원(2011).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85-302.
- 김주리(2013).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8-298.
- 김혜란(2005). 여성근로자의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만족과 효과성 평가: 경기지역 여성근로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43, 179-199.
- 김혜순(2007).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보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2(1), 87-109.
-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2009).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복지학, 14(4), 137-153.
- 박소형(2007). 직장보육시설 설립주체 유형에 따른 유아부모의 만족도 및 보육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영신, 김의철(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 박찬옥, 조현정(2006). 부모와 교사가 인식한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44, 1-18.
- 서문희, 김은설, 최진, 안재진, 최혜선, 김유경, 조애저(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서은희, 이미숙(2011). 부모의 직장보육시설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41-65.
- 송경섭(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다영, 장수정, 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내 지워놔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 송미숙(2013).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 행복감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 심영숙(1998).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돌보기에 대한 교육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재연, 유구종(2007).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73-94.
- 이윤미, 박선영(2010).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부모 관계의 특질. 유아교육학회지, 14(1), 69-91.
- 이은희(2012). 어머니의 행복감과 아동의 안녕감 및 낙관성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은옥, 최나야(2013).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1), 103-126.
- 정계숙, 김미정, 하은실(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 정계숙, 박수홍, 유미숙, 최은실(2013).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영향 변인: 자녀의 연령, 자녀수 및 어머니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아동학회지, 34(4), 105-123. https://doi.org/10.5723/KJCS.2013.34.4.105
- 정은선(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현정, 문혁준(201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21-42.
- 최윤정(2010). 대졸 기혼직장 여성의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완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경혜, 장미나(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가족 균형과 관련 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85-115.
- 한명숙(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자아분화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57-76.
- 한영주, 박지아, 손난희(2013). 기혼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의 관계: 대처방식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2), 1443-1468.
- 한은애(2013).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성희, 임소영, 김미정(2012).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생태유아교육연구, 11(1), 123-147.
-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211-240.
-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63-184.
- Barbara, A., & Karol, R. (1988). The employer's guide to child care : Developing programs for working parents. NY: Praeger.
- Bruck, C. S., Allen, T. D., & Spector, P. E. (2002).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finger-grained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3), 336-353. https://doi.org/10.1006/jvbe.2001.1836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Diener, E., & Suh, E. M.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The MIT Press.
- Elmuti, D., & Payne, S. L. (1991). Ar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programs worth the effort?. Business Forum, 16(2), 22.
-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 Hoggard, L. (2006). 행복. [How to be happy].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본발간일은 2005년).
-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ger.
-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How to happier].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본발간일은 2008년).
-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 Powell, G. N., & Greenhaus, J. (2006). Is the opposite of positive negative? Untangl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enrichment and conflict. The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1, 650-659. https://doi.org/10.1108/13620430610713508
- Russell, J. E. A. (2008).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117-131. https://doi.org/10.1177/1069072707308142
- Seligman, M. E. P.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Authentic happiness]. (김인자 역).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원본발간일은 2004년).
-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 Thompson, R. A. (1998). Early socail-personality development. In W. Damon & N. Eisenberg(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5th ed), Vol.3. NY : John Wiley & Sons, Inc.'1.
Cited by
-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Flourishing in Child Care Teachers vol.37, pp.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4.169
-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85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eeling of happiness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perceived: Q-methodological approach vol.11, pp.3, 2014, https://doi.org/10.16978/ecec.2016.11.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