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구려 장천1호분 귀부인의 유(襦)와 군(裙)의 재현에 관한 연구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Noble Womans Yu(jacket) and Gun(skirt) on Wall Painting of Jang-Cheon No.1 Tomb in Goguryeo

  • Lee, Ho J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Woo 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투고 : 2013.10.29
  • 심사 : 2014.03.15
  • 발행 : 2014.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olution for Goguryeo costume and its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accessori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in precedent studies and were treated as irrelevant subjects. The specific object of reconstruction with identification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is noble woman's costume(Yu and Gun) on the mural paintings of Jang-Cheon No.1 tomb in Jip-An province. As above,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Yu(Jacket) and Gun(Skirt) worn by noble woman as depicted on the mural painting of the Baek-Hee-Gi-Ak-Do(百戱伎樂圖) in Jang-Cheon No.1 ancient tomb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consideration was how to represent and exhibit it so that it resembles the mural painting as closely as possible. And the problems that arose at the time were the ratio and silhouette, which revealed disparities between the one on the mural painting and the costumes reproduced with identification from a historical viewpoint.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this work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actual mural paintings were not available for verification. Therefore accuracy on details such as structure,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accessory were difficult to obtain. So a further analysis of patterns, silhouettes, materials and colors are required for the precise representation of costume and dress on the mural pain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2005년도 춘계 KOSCO전(2005. 5. 7-5. 11, 숙명여자대학교)
  2. 운평어문연구소 편 (2002),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p. 168.
  3.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4.
  4.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6.
  5. 운평어문연구소 편 (2002),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p. 1884.
  6. 김민수 (2003), 건축에서 재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2.
  7.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서울: 통천문화사, p. 1.
  8. 봉현숙, 이상은 (2000), TV사극드라마 의상의 고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 pp. 113-136;
  9. 김경실 (2002), 조선시대 연화대무 동기복식 고증 및 재현, 복식, 52(6), pp. 1-13
  10. 이태옥, 윤현진, 조우현 (2005), 악학궤범의 처용무복식 고증제작,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pp. 1-13
  11. 한은희 (2005), 명성황후가 등장하는 TV사극에 나타난 의상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20
  12. 김문자 (2006), 춘향전에 등장하는 주요 여자복식 고증연구, 韓服文化, 9(2), pp. 41-58
  13. 이은주, 박가영 (2007), 조선시대 궁중의례 재현행사를 위한 고증복식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궁중의례 재현사업을 중심으로, 韓服文化, 10(1), pp. 115-127
  14. 이영혜 (2010), 2000년대 대중문화와 사극의상-TV드라마.영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63
  15. 손윤혜 (2012), 조선후기 왕세자 입학례 복식 고증,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28
  16. 곽경희 (2013), 조선시대 후기 궁중 어린이복식에 관한 연구 및 재현: 영친왕 일가 중 진왕자와 구왕자의 유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16
  17. 박정식 (1989), 텔레비전 드라마 원효대사의 고증과 실제: 복식 중심, 배화논총, 8, pp. 51-101
  18. 김영재 (2000), 왕회도에 나타난 우리나라 삼국사신의 복식, 韓服文化, 3(1), pp. 17-25
  19. 박현정 (2000), 고구려 수산리벽화 남자주인 포 고증제작을 위한 실험적 연구, 韓服文化, 3(3), pp. 95-104
  20. 박가영 (2001), 고구려 갑주의 고증제작, 韓服文化, 4(1), pp. 73-87
  21. 정희정 (2003), 고구려고분벽화에 나타난 여자 복식의 고증제작 연구 -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7
  22. 조우현 외 (2007), 대가야복식: 1500년만의 화려한 외출, 서울: 민속원, pp. 1-270
  23. 최해율 (2008), 고려 초중기 기녀의 고증복식 캐릭터 연구, 복식, 58(7), pp. 151-163
  24. 최정 (2010), 원의 진주 장식방법 및 고려 후기 제국 대장공주의 진주의 형태 고증연구, 복식, 60(6), pp. 48-61
  25. 김문자 (2011), 서동설화에 등장하는 주요인물복식고증, 복식, 61(7), pp. 135-151.
  26. 최정 (2011), 황성동 출토 여성토우의 복식고증과 돌코스튬 응용디자인 연구, 복식, 61(7), pp. 67-79
  27. 권수현 (2008), 고구려 복식의 고증을 기초로 한 구체관절인형복의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43
  28. 한국복식학회, 한성백제박물관 편 (2012), 이천년의 고도, 우리옷의 재발견 2012 KOSCO Costume Exhibition, 서울: 한국복식학회, p. 71.
  29. 서울대학교 박물관 편 (2000), 역사와 의식, 고구려의 숨결을 찾아서, pp. 10-17
  30. 한복문화학회 (2001), 한국의상전 -고구려고분벽화 복식, pp. 16-75
  31. 특별기획전 고구려! 행사추진위원회 편 (2002), 특별기획전 고구려!, pp. 160-169
  32. 한복문화학회 (2003), 한국민족복축제, pp. 16-27
  33.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서울: 통천문화사, pp. 358-361
  34. (사)한국궁중복식연구원 편 (2008), 궁중복식 儀禮美-하늘과 땅을 품은 옷-, pp. 14-15, pp. 18-20.
  35. 임현숙 (2009), 고구려복식재현을 위한 장식문양 연구-고구려 복식관 실행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1, pp. 94-106.
  36.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01-205.
  37.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6-17.
  38. 정완진 (200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복식문화, 한국의 복식문화사, 蘭斯石宙善관장 10주기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서울: 학연문화사, pp. 324-330.
  39. 정완진 (200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복식문화, 한국의 복식문화사, 蘭斯石宙善관장 10주기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서울: 학연문화사, pp. 331-333.
  40. 隋書, 卷81, 列傳, 第46 東夷, 高麗, "婦人裙襦加襈"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二, p. 124.)
  41. 北史, 卷94, 列傳, 第82, 高句麗. "婦人裙襦加襈."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二, p. 42.)
  42. 周書, 卷49, 列傳, 第41, 高麗, "婦人服裙襦, 裾袖皆爲襈."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一, p. 596.)
  43.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5.
  44.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9-100.
  45. 홍정민 (2001), 고구려 고분벽화의 복식에 관한 연구-장천1호분, 삼실총 벽화를 중심으로-, 韓服文化, 4(3), p. 47.
  46.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47.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48. KBS 한국방송공사 편 (1998), "영상복원-무용총 고구려가 살아난다", 역사스페셜 10월 17일 방송분, CD-ROM
  49. KBS 한국방송공사 편 (2000), "북녘 땅 고구려 고분벽화, 무엇을 그렸나?", 역사스페셜 6월 17일 방송분, CD-ROM
  50. KBS 한국방송공사 편(2002), "월드컵 특별기획 역사스페셜 제 2편, - 고분벽화, 되살아나는 고구려", 역사스페셜 6월 8일 방송분, CD-ROM.
  51. 朝鮮画報社편 (1986), 高句麗古墳壁畵, 日本東京: 朝鮮画報社, pp. 17-264
  52.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71-238.
  53. 황욱 (1958), 안악 제3호분 발굴보고, 평양: 과학원출판사, pp. 25-32.
  54. 최몽룡 (2000), 흙과 인류, 서울: 도서출판 주류성, pp. 145-149.
  55.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94-203.
  56.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71-238
  57. 박일록 (2004), 한국 견의 역사학적 연구, 서울: 경춘사, pp. 97-119
  58.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8.
  59.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99.
  60. 新羅本紀, 第十一, 景文王, 九年, 秋七月, ...大花魚牙錦一十匹. 小花魚牙錦一十匹. 朝霞錦二十匹. 四十升白疊毛布四十匹. 三十升紵衫段四十匹..., (김부식 (2005), 삼국사기(제 8 개정판), 이병도 역, 서울: 을유문화사, p. 302.)
  61. 김소현 (2003), 실크로드의 복식 호복, 서울: 민속원, pp. 52-53.
  62.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7-19.
  63. 한경순 (2003), 高句麗古墳壁畵와 古代유럽壁畵의 比較硏究-壁畵製作技術을 中心으로-, 高句麗硏究 16권, pp. 217-239.
  64. 안병찬 (2003), 高句麗古墳壁畵의 製作技法硏究-바탕벽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高句麗硏究, 16, pp. 457-473.
  65. 이호정, 조우현 (2012), 기산풍속화를 통하여 본 한국근대복식 고찰, 복식, 62(4), p. 23.
  66. 자료조사일: 2013. 6. 29, http://www.dychemi.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186785501&category=001002
  67.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4-85.
  68.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221-223.
  69.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 220.
  70.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