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terpretation on the Making of the Guro Exporting Industrial Complex

구로 수출산업공단 조성의 재해석

  • Received : 2014.03.31
  • Accepted : 2014.04.17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Guro Exporting Industrial Complex has become a core of success story of Korean economy in 1960s. Re-examining the making process of Guro Complex, this paper intends to disclose the real and fictional aspects of this my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s to inquire into this process which is divided as dimensions of concep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from a view of political sociology. Its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king of Guro Complex was not propelled by the state unilaterally, but passed through the process of conflicts and conciliations among various social forces such as state, business groups and local communities etc. As this complex was built on the basis of state's full support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it as a case of 'parasitic industrialization'. And in spite of its ostensible succes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at its original goal which means a building of the bonded exporting complex with Japanese Koreans' investment was accomplished. Therefore it is needed to discover its whole aspect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not to be enchanted by its official results.

구로 수출산업공단은 1960년대 수출지향적 산업화를 추진한 한국 경제의 성공 신화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구로 공단 조성 과정을 재조명함으로써 이러한 신화의 실상과 허상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치사회학적 관점에 입각해서 공단 조성 과정을 구상, 실행 및 평가의 차원으로 나눠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로공단의 조성은 국가가 일방적으로 추진했다기보다는 국가를 비롯한 재일교포, 지역주민 등의 다양한 사회세력들의 이해관계가 층돌하고 조정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1970년대 산업기지 조성 사업에 비해 국가 투자가 상대적으로 빈약했지만,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공단이 조성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외견상의 성공과 달리 재일교포 자본 유치를 통한 수출전용공단 조성이라는 애초의 목표가 충실히 달성되지는 못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