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Image Evaluation of Cafe Facades

카페 파사드의 이미지평가에 나타난 성별 지각특성에 관한 연구

  • 손광호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
  • 최계영 (경남정보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 Received : 2014.01.14
  • Accepted : 2014.03.07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Façade design makes the customer to select and remember of commercial space. Therefore, if it can be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in image evaluation, it will be possible to easy visiting space and re-selection with motivation through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commercial space. For this study, cafes among commercial facilities were selected for the appreciation of the differentiated design features attracting customer's eyes through space image evaluation by gender.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First, when the features of mean and deviation of [Factor 1] were employed for the appreciation of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both men and women, it was clearly found that customers regards the facade design as a coarse one even though they are confused about whether the facade design is the straightened-up one. Second, customers perceive facade design as the one which is bright but not unique through [Factor 2] while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djectives to describe it men's perception as to "being vivid but interesting" was dispersed and women's as to "Being bright" was also dispersed, too but the women perceived it as "being opaque".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Factor 3] were perceived as "warm but boorish" and "warm but crude" by men and women respectively. Fourth, most (80%) of the adjectives employed for vivid description of their perception by both gender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Keywords

References

  1. A.G. 카플란 성의 심리학, 김태련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0
  2. 앨런피즈.바바라피즈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이종인 옮김, (주)가야넷, 2000
  3. 루돌프아른하임, 美術과 視知覺, 김춘일 옮김, 미진사, 1995
  4. Robert L.Solso, Cognition & the Visual Art, 시각심리학, 신형정.유상욱 옮김, 초판, 시그마플러스, 2000
  5. 김경숙,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4
  6. 박혜숙,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유형,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1
  7. 김영인 외,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표현한 이미지에 대한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제48호, 2002
  8. 박혜숙.윤정숙,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유형,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 27호, 2001.6
  9. 배정익.서동연.이윤규, 실내 거실 사용자의 시각적 지각 반응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11호, 2004.11
  10. 서지은, 주거공간에서 조명에 의한 영역성 표현 및 감성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4호, 2008.4
  11. 신동관.한영호, 실내디자인 이미지 유형의 특성에 따른 표현어휘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6호, 2008.12
  12. 손광호.강혜경 지역문화회관 로비공간의 이미지 형성요소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 68호, 2008.6
  13. 이진숙.이은혜, 1970년대 이후 한국 주택거실의 시대별 주거신래구성 측성 및 이미지 경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3호, 2004.3
  14. 장아리.황연숙,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권 6호, 2007.12
  15. 정수현.최상헌, 국내 백화점 실내디자인 이미지유형 및 구성요소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2호, 2000.3
  16. 최계영, 실내공간이 이미지평가를 위한 주시특성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논문, 2010
  17. 최주영 외 3, 실내공간의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주시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5호, 2011.10
  18. 최주영 외 4, 실내공간의 주시에 나타난 정보획득율과 주시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65호, 2011.12
  19. 서형수, 성별에 따른 카페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감성공학적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1호, 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