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보 알고리즘 기반 아리랑의 계통도 및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the Arirangs Based on the Informatics Algorithms

  • 김학용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
  • 투고 : 2014.02.17
  • 심사 : 2014.03.24
  • 발행 : 2014.04.28

초록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민요이면서 동시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아리랑을 정보알고리즘 기법을 도입하여 후렴구를 중심으로 계통도를 분석하고 아리랑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본문 단어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아리랑의 계통도 분석은 생명체의 진화관계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인 다중서열정렬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한 아리랑 106개 중에서 38개 아리랑이 빠른 템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나머지 68개 아리랑이 느린 템포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후렴구 기반 아리랑 계통도를 완성하였다. 아리랑 본문 단어는 아리랑에 있는 단어와 아리랑 제목을 노드로 하는 bipartate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들로부터 73개 아리랑 및 104개의 핵심 단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쌍대비교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아리랑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계수가 1인 노드를 단계적으로 제거하여 핵심네트워크를 구축한 다음 네트워크 기반으로 아리랑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동안 아리랑을 어원 중심의 인문과학이나 음률적인 접근을 통하여 아리랑의 어원, 계통도, 상관관계를 분석하려는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도를 벗어나 과학적 접근방법인 정보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아리랑을 분석함으로써 세계적인 문화유산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통해서 아리랑의 대중화 및 세계화의 기틀을 마련함에 있어 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An arirang is the most famous Korean folk song and was registered in UNESCO(Uniti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2. Most arirangs are composed of text and refrain parts. Genealogy of the arirang was classified in refrain patterns by using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lgorithm. There are two different refrain patterns, slow and fast melodies. Of 106 arirangs, 38 and 68 arirangs contain fast and slow melodies, respectively. 73 arirangs and 104 their key words were extracted from bipartate arirang network that composed of arirangs, text work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correlation among the arirangs was analyzed from the selected arirangs and key words by using pairwise comparison matrix. Also,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the arirnags was performed by stepwise removal of the single degree nodes from the bipartate arirang network In this study, arirangs were analyzed in genealogy and correlation among arirangs by using informatic algorithm and network technology, in which arirang research will be constructed a stepping stone for the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arirangs.

키워드

참고문헌

  1. 조규익, 조용호, 아리랑 연구총서 1, 도서출판 학고방, 2010.
  2. 임동권, "아리랑의 기원에 대하여", 한국민속학, 제1집, 1969.
  3. 이병도, "아리랑 곡의 유래", 개척, 제86호, p. 5, 1956.
  4. 양주동, "도령과 아리랑", 민족문화, 제4권, 제2호, 민족문화사, 1959.
  5. 최재억, 한국민요연구-아리랑 민요고, 민족문화, 광운대, 1970.
  6.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49.
  7. 임경화, "민족에서 민족으로 가는 길", 동방학지, 제163집, pp. 261-288, 1969.
  8. 이보형, "아리랑소리의 근원과 그 변천에 관한 음악적 연구", 한국민요학 제5집, pp. 81-120, 1997.
  9. R. Chenna, H. Sugawara, T. Koike, R. Lopez, T. J. Gibson, D. G. Higgins, and J. D. Thompson, "Multiple sequence alignment with the clustal series of programs," Nucl. Acids Res. Vol. 31, No. 13, pp. 3497-3500.
  10. http://cytoscape.org
  11. Y. M. Wang, Y. Luo, and Y, S. Xu, "Cross-weight evaluation for pairwise comparison matrices," Group Decision and Negotiation, Vol. 22, No. 3, pp. 483-497, 2013. https://doi.org/10.1007/s10726-011-9279-x
  12. Linton Freemann,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Empirical Press, 2006.
  13. 이용식, "강원도 아라리의 음악적 특징과 원형적 특질", 한국민요학, 제25집, pp. 225-251, 2009.
  14. D. Watts and S. Strogatz, "Collective dynamics of 'small-world' networks," Nature, Vol. 393, No. 6684, pp. 409-410, 1998. https://doi.org/10.1038/30835
  15. 김학용, "조선왕조 가계 인물 네트워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 476-48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476
  16. M. E. J. Newman, "Modularity and community structures in networks, " Vol. 103, No. 23, pp. 8577-8582, 2006. https://doi.org/10.1073/pnas.0601602103
  17. J. I. Alvarez-Hamelin, L. Dall'Asta, A. Barrat, and A. Vespignani, "K-core decomposition:a tool for the visualization on large scale networks," eprintcs. NI/0504107, 2005.
  18. G. D. Bader and C. W. V. Hogue, "An automated method for finding molecular complexes in large protein interaction networks," BMC Bioinformatics, Vol. 4, No. 1, p. 2, 2003. https://doi.org/10.1186/1471-2105-4-2
  19. R. A. Jarvis and E. A. Patrick, "Clustering using a similarity measure based on shared near neighbors," IEEE Trans. Comp, Vol. C-22, No. 11, pp. 1025-1034, 1973. https://doi.org/10.1109/T-C.1973.22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