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f the Non-Realistic Acting in Absurd Drama 'Fando et Lis'

부조리극 환도와 리스에 나타난 비사실주의 연기에 관한 연구

  • 박근수 (대진대학교 연극영화학부)
  • Received : 2014.03.06
  • Accepted : 2014.04.01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Europeans experienced the horror and cruelty of wa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They began to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nd doubt about the preexisting World Order of God and humans leading to the birth of Existentialism. The Theater of the Absurd is one of the genres in theater resulting from the existentialist theories. The Theater of the Absurd has a format opposed to the traditional Realist Theater and emphasize the absurdity of human and society's existence. In particular, Fernando Arrabal who is a French Absurdist playwright, expressed the absurd human conditions using his unique forms and contents and his work 'Fando et Lis' depicts the absurdity of the adult world through the eyes of a child. Many unrealistic elements typical and inherent in the Absurdist plays are present in his work. Especially, the actors were required to apply not only the realistic acting approach but also to study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all Absurdist plays and internalize them based on the creative foundation of recreation. Then, they were asked to examine the characters' personality, emotions, and actions and think hard about creating an unrealistic action of voice and movements. This creative process by actors is a must in developing the reliable and trustworthy Absurdist acting.

제1,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유럽인들은 전쟁의 참담함과 잔인함을 겪게 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그들은 신과 인간 세계의 질서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회의를 품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실존주의 철학으로 나타나게 된다. 부조리극은 이러한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연극의 한 장르이다. 이 연극은 전통적인 사실주의 연극에 반하는 형식을 가졌으며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함을 그 내용으로 하였다. 여러 부조리 작가 중에 프랑스의 페르난도 아라발은 자기만의 독특한 형식과 내용으로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표현하였는데 그의 작품 중 <환도와 리스>는 어린아이의 모습을 통해 어른 세계의 부조리함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 속에는 보통의 부조리극이 가지는 특징들과 이 작품만이 가진 비사실적 여러 요소들이 많이 있다. 특히 이 작품의 부조리극 연기 창조를 위해 배우는 사실적인 연기 접근 방법의 활용뿐만 아니라 본 작품의 철학과 사상을 연구 분석하며 모든 부조리극적 특징들을 찾아 자기화를 시켜 역 창조의 창조적 바탕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한 바탕 위에서 역할의 성격과 감정 그리고 행동을 파악하고 음성과 움직임 등의 비사실적 연기창조를 고민해야만 한다. 이러한 연기자의 창조 과정이 있어야 믿을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부조리극 연기를 창조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 L. 스타이언, 원재길 역, 상징주의와 초현실주의 부조리극, 예하, p.140, 1992.
  2. J. L. 스타이언, 원재길 역, 상징주의와 초현실주의 부조리극, 예하, p.141, 1992.
  3. 마틴에슬러, 김미혜 역, 부조리연극, 한길사, pp.294-295, 2005.
  4. 허영, 현대연극, 영설출판사, p.103, 1983.
  5. 마틴에슬러, 김미혜 역, 부조리연극, 한길사, p.339, 2005.
  6. 마틴에슬러, 김미혜 역, 부조리연극, 한길사, p.34, 2005.
  7. 허영, 부조리극, 한신문화사, p.114, 1987.
  8. 허영, 부조리극, 한신문화사, p.116, 1987.
  9. 김미라, 훼르난도 아라발, 우리시대 프랑스 연극, 연극과 인간, pp.144-145, 2001.
  10. 허영, 부조리극, 한신문화사, p.210, 1987
  11. 마틴에슬러, 김미혜 역, 부조리연극, 한길사, pp.2944-295, 2005.
  12. 마틴에슬러, 김미혜 역, 부조리연극, 한길사, p.297, 2005.
  13. 페르난도 아라발, 김정옥 역, 환도와 리스, 고대극예술연구회, 1977.
  14. 존 하로프, 사빈 알 에스타인, 박재완 역, 스타일연기, 게릴라, p.271, 2005.
  15. 제리 크로포드, 조안스나이더, 양광남 역, 연기, 예하, p.312,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