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Community Formation Effect from Urban Garden Management by Different Operators

도시텃밭 운영주체별 운영방식의 차이에 따른 공동체 형성 효과

  • Lee, Cha-Hee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Yong-Ho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차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14.02.11
  • Accepted : 2014.02.27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 in how urban garden is run by different operators in Korea, and consequently how it determines the level of community formation among urban garden user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some points as to how to better manage urban garden. The operator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public,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private. The study interviewed each operating entity and surveyed garden users to gauge the extent to which communities are developed. After the ANOVA analysis and Scheff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community formation among users of public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urban gardens were similar (so can be grouped together), whereas that of private urban garden users was higher (separated as another group). However, this study found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munity formation among all types of urban garden in a local community. Some key suggestions are made as a result. First, as for the public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types of urban garden, it is necessary to foster leaders to build a community. Next, it is worth noting the potential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realizing community revival through urban garden. The last suggestion is that, generally, the urban garden has only little influence on community formation in a local area so far, thus more practica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enhance the role of urban garden in a local community.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남 외3인, 2007,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방안, 건설기술논문집, Vol.26(1), 167-76.
  2. 김기현, 2003, 주민자치의 기반으로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향, 2011, 도시내 공지를 활용한 커뮤니티가든 모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노희영, 2012,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태호, 2012, 도시텃밭의 운영프로그램이 참여자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6. 박은지 외, 2009, 도시 내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가든 계획의 초기단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7. 박춘엽 외, 2002, 소상공인지원센터의 운영주체와 방식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Vol.24(4), 255-73.
  8. 신예철, 2012, 지역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만들기공동체와 지역문화활동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신성규 외, 2001, 주말농장의 공간 모델개발과 활성화 방안-서울시 근교를 중심으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Vol.4(2), 11-20.
  10. 소현정, 2008,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안철환, 2006, 농업과 삶을 살리는 도시의 텃밭 공동체, 환경과생명, Vol.50, 35-40.
  12. 이은미, 정영기, 2010, 지역 공연장 운영주체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예술경영연구 Vol.17, 85-110.
  13. 이은희, 김용아, 1998, 주말농장 이용 실태 분석-서울시내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Vol.26(1), 83-95.
  14. 이주열 외, 2011, 전시컨벤션센터가 지역커뮤니티형성에 미치는 영향: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Vol.40, 132-51
  15. 임미정, 이은희, 2011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도시 텃밭의 이용자 인식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4(4), 237-43.
  16. 임정언, 2009, 동탄 도시농업공원 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찬주, 장동헌, 2002, 주말농장 활성화 방안 연구, 농촌사회, Vol.12(1), 63-88.
  18. 장준호 외2인, 2010, 도시농업관련 프로그램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안양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개발연구, Vol.35(2), 61-70.
  19. 지달님, 2010, 공동주택단지의 커뮤니티 의식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정윤, 2009, 일본 공립문화시설의 환경변화와 운영제안:재단법인 운영주체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Vol.15, 45-71.
  21. 천현숙, 200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Vol.9(1), 143-72.
  22. 허승수, 2006, 서울 근교 주말농장의 경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홍기원, 2004,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문화예술서비스의 효율성 측정 : 정부 및 비영리 조직의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황지욱, 2010, 도시재생적 차원에서 텃밭의 도입과 제도화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클라인가르텐 사례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22(4), 169-84.
  25. 황정임 외, 2010, 도시농업 활동 유형화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21(4), 619-31.
  26. Hillery, George A.,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20, 111-123.
  27. 농림수산식품부, 2010, 도시생활농업 모델정립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28.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http://agro.seoul.go.kr. 검색일자 2011.10.03.
  29. 송파구 솔이텃밭, 네이버 카페 랜드쉐어. http://cafe.naver.com/landshare. 검색일자 2013.11.23.
  30. 강동구, 다음 카페 그리니티. http://cafe.daum.net/greenity. 검색일자 2013.11.23.
  31. 텃밭보급소, 다음 카페 가드닝멘토. http://cafe.daum.net/gardeningmentor. 검색일자 2013.11.25.

Cited by

  1. A Study on Garden Elements Preference for the Rural Community Garden Design vol.21, pp.4, 2015, https://doi.org/10.7851/ksrp.2015.21.4.095
  2.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Rooftop Garden by Assessing the Publicness : a Case of Mullae Roof Garden, Mullae-dong, Seoul vol.22, pp.3, 2016, https://doi.org/10.7851/ksrp.2016.22.3.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