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마을 유형별 평가지표체계 구축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by Rural Village Types

  • 김영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김홍균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임상봉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투고 : 2014.02.11
  • 심사 : 2014.02.27
  • 발행 : 2014.03.30

초록

With the globalized coming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following the post-industrial period, both the crises and opportunities have been occurring together as non-special affairs, which is the same situation in Rural Korea. A crucial key for maximization of potentialities of emerging opportunities is to mobilize the multi-valuedness embedded in rural areas as one of new growth powers. In order to realize a variety of multi-valuedness of rurality, it should be needed to re-discover and re-evaluate rural resources by paradigm shift and to identify the multi-valuedness of resources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imed at setting up the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by rural village types to identify systematically the multi-valuedness embedded in rural villages in the initial step. Integrated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was made with 4-level hierarchies; high-leveled one with 3 fields(society, environment, regional economy); middle-leveled one with 8 areas; lower-leveled one with 19 sub-areas; detailed indicators totally with 39 items. These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12 basic indicators applied to all types and 27 specialized indicators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typ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희, 김성일, 2010,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지, 99(6), pp.777-784.
  2. 교육평가용어사전, 2004, 학지사.
  3. 김강섭, 이상정, 2004,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3), pp.1-14.
  4. 김귀곤, 김훈희, 1997, 도시지속성 지표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3), pp.175-196.
  5.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 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3), pp.27-41.
  6. 김대식, 권용대, 2009, 농촌마을 단위 그린투어리즘포텐셜 조사 분석 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3), pp.15-24.
  7. 김재현 외 4인, 2010,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분석, 농촌관광연구, 17(2), pp.1-25.
  8. 노용호, 조광익, 이상영, 2006, AHP를 활용한 농촌 관광마을 사업성과지표개발, 관광학연구, 30(4), pp. 191-209.
  9. 농림축산식품부, 2011, 색깔 있는 마을 발굴.육성을 위한 사업.운동 연계 방안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2013.
  10. 박시현 등, 200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실천을 위한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토연구원.
  11. 박종호, 2013, 읍면급 섬지역의 인구변화,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서정호, 2013, 구례군의 사례를 통하여 본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 농촌계획, 19(1), pp.33-41. https://doi.org/10.7851/ksrp.2013.19.1.033
  13. 성주인, 송미령, 2003,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2), pp.1-22.
  14. 양원식, 2012, 권역단위 소득사업의 추진유형과 성과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양원식, 2008, 의사결정기법과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지역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관희 외 3인, 2003,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지표개발, 농촌계획, 9(2), pp.13-17.
  17. 이상호, 2008, 삶의 질 지표에 기반한 농어촌 지역별 유형분류 및 요인분석, 농촌경제, 31(4), pp.33-48.
  18. 이정원, 정윤희, 임승빈,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2), pp.1-9.
  19. 이정환, 1987, 한국농촌지역의 유형구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임승빈 외 4인, 1998, 농촌문화마을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공간계획 방향 연구_경기도 양평군 광탄리 용문지구 문화마을계획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4(1), pp.23-31.
  21.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정하우 외 6인, 1999, 농촌계획학, 동명사.
  23. 조영재, 윤정미, 조은정, 2011, 충청남도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의 추진과제, 열린충남, 55(1), pp.13-25.
  24. 최봉익, 2012, 민주와 자치가 있는 광주마을공동체 실천 메시지, 포커스 광주, pp.1-59.
  25. 최수명, 1985, 한국농촌의 정주권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간척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수명, 조영재, 김영주, 2007, 친환경적 마을정비를 위한 지속가능한 지표개발, 농업생명과학연구 41(3), pp.79-87.
  27. 최양부 외 4인, 1985,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8. 한표환, 라휘문, 1999, 지방자치단체의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한국정책학회보, 8(2), pp.93-114.
  29. 행정안전부, 2011,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30. Hart, M., 1995, Guide to Sustainable Community Indicators, Sustainable Measure.
  31. http://www.korean.go.kr(국립국어원).
  32. http://www.law.go.kr(법제처).
  33. http://www.woorichon.kr(함께하는 우리 농촌 운동).

피인용 문헌

  1. Typical Classification of Rural Area Considering Settlement Environment by Decision Tree Method vol.58, pp.6,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6.079
  2.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in Rural Villages vol.27, pp.S,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6.27.S.573
  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ator Standards on Development Stages of Rural Village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31
  4. An Analysis of Importance Weigh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21
  5. A Study on Analysis of Damaged Facilities in Rural Area by Storm and Flood Hazard vol.22, pp.2, 2016, https://doi.org/10.7851/ksrp.2016.22.2.019
  6. 선형계획법과 허프확률모형을 이용한 농촌마을 중심지와 배후지 분석 vol.23,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7.23.1.053
  7. 정주체계를 고려한 농촌마을의 정주여건 진단지표 개발 vol.23,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7.23.1.065
  8. 충청북도 영동군 농촌마을의 유형별 특성 분석 vol.23,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7.23.3.073
  9.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체계 개발 vol.25,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9.25.1.051
  10. 군집분석을 이용한 산촌경관 유형 구분 및 특성 분석 vol.26,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20.26.1.101
  11. 어촌계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비교·분석 vol.52, pp.1, 2021, https://doi.org/10.12939/fba.2021.52.1.083
  12. 농촌마을의 실증적 조사·진단기법 개발(I) -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진단지표의 개발 - vol.27, pp.2, 2014, https://doi.org/10.7851/ksrp.2021.27.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