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미희, 김성일, 2010,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지, 99(6), pp.777-784.
- 교육평가용어사전, 2004, 학지사.
- 김강섭, 이상정, 2004,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3), pp.1-14.
- 김귀곤, 김훈희, 1997, 도시지속성 지표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3), pp.175-196.
-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 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3), pp.27-41.
- 김대식, 권용대, 2009, 농촌마을 단위 그린투어리즘포텐셜 조사 분석 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3), pp.15-24.
- 김재현 외 4인, 2010,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분석, 농촌관광연구, 17(2), pp.1-25.
- 노용호, 조광익, 이상영, 2006, AHP를 활용한 농촌 관광마을 사업성과지표개발, 관광학연구, 30(4), pp. 191-209.
- 농림축산식품부, 2011, 색깔 있는 마을 발굴.육성을 위한 사업.운동 연계 방안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2013.
- 박시현 등, 200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실천을 위한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토연구원.
- 박종호, 2013, 읍면급 섬지역의 인구변화,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정호, 2013, 구례군의 사례를 통하여 본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 농촌계획, 19(1), pp.33-41. https://doi.org/10.7851/ksrp.2013.19.1.033
- 성주인, 송미령, 2003,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2), pp.1-22.
- 양원식, 2012, 권역단위 소득사업의 추진유형과 성과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양원식, 2008, 의사결정기법과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지역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관희 외 3인, 2003,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지표개발, 농촌계획, 9(2), pp.13-17.
- 이상호, 2008, 삶의 질 지표에 기반한 농어촌 지역별 유형분류 및 요인분석, 농촌경제, 31(4), pp.33-48.
- 이정원, 정윤희, 임승빈,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2), pp.1-9.
- 이정환, 1987, 한국농촌지역의 유형구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임승빈 외 4인, 1998, 농촌문화마을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공간계획 방향 연구_경기도 양평군 광탄리 용문지구 문화마을계획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4(1), pp.23-31.
-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하우 외 6인, 1999, 농촌계획학, 동명사.
- 조영재, 윤정미, 조은정, 2011, 충청남도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의 추진과제, 열린충남, 55(1), pp.13-25.
- 최봉익, 2012, 민주와 자치가 있는 광주마을공동체 실천 메시지, 포커스 광주, pp.1-59.
- 최수명, 1985, 한국농촌의 정주권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간척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수명, 조영재, 김영주, 2007, 친환경적 마을정비를 위한 지속가능한 지표개발, 농업생명과학연구 41(3), pp.79-87.
- 최양부 외 4인, 1985,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한표환, 라휘문, 1999, 지방자치단체의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한국정책학회보, 8(2), pp.93-114.
- 행정안전부, 2011,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 Hart, M., 1995, Guide to Sustainable Community Indicators, Sustainable Measure.
- http://www.korean.go.kr(국립국어원).
- http://www.law.go.kr(법제처).
- http://www.woorichon.kr(함께하는 우리 농촌 운동).
Cited by
- Typical Classification of Rural Area Considering Settlement Environment by Decision Tree Method vol.58, pp.6,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6.079
-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in Rural Villages vol.27, pp.S,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6.27.S.573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ator Standards on Development Stages of Rural Village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31
- An Analysis of Importance Weigh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21
- A Study on Analysis of Damaged Facilities in Rural Area by Storm and Flood Hazard vol.22, pp.2, 2016, https://doi.org/10.7851/ksrp.2016.22.2.019
- 선형계획법과 허프확률모형을 이용한 농촌마을 중심지와 배후지 분석 vol.23,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7.23.1.053
- 정주체계를 고려한 농촌마을의 정주여건 진단지표 개발 vol.23,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7.23.1.065
- 충청북도 영동군 농촌마을의 유형별 특성 분석 vol.23,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7.23.3.073
-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체계 개발 vol.25,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9.25.1.051
- 군집분석을 이용한 산촌경관 유형 구분 및 특성 분석 vol.26, pp.1, 2014, https://doi.org/10.7851/ksrp.2020.26.1.101
- 어촌계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비교·분석 vol.52, pp.1, 2021, https://doi.org/10.12939/fba.2021.52.1.083
- 농촌마을의 실증적 조사·진단기법 개발(I) -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진단지표의 개발 - vol.27, pp.2, 2014, https://doi.org/10.7851/ksrp.2021.27.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