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C 도시에 위치한 2개 대학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연구참여에 동의한 사람 160명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서술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2.72{\pm}6.2$였으며, 스트레스 대처점수는 $2.60{\pm}0.37$ 이었다. 스트레스 대처양상 중 희망적 사고는 오리엔테이션(r=0.32, p<0.01), 집담회의(r=0.52, p<0.01), 과제하기(r=0.29, p<0.01)시의 스트레스가 발현시에 관련성이 높았고, 임상실습 시험시의 스트레스는 문제집중대처양상과 관련성이 높았다(r=0.31, p<0.05). 간호사 대하기(r=0.31, p<0.01), 또는 기타 보건전문인과 대인관계하기(r=0.35, p<0.01)시의 스트레스는 긍정적 관점으로 대처하기 양상과 관련성이 높았다. 학생들은 긍정적이고 활동적인 대처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for the nursing student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at 2 universities located in C city in Korea. Participants were 160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Nursing practice stress was $2.72{\pm}6.2$. Stress coping was $2.60{\pm}0.37$. Stress was correlated with wishful thinking coping strategy when doing orientation (r=0.32, p<0.01), conference(r=0.52, p<0.01), homework(r=0.29, p<0.01). Stress for practice exam was correlated with problem focused coping strategy(r=0.31, p<0.05). Stress was correlated with positive view coping strategy when face nurse(r=0.31, p<0.01) or interpersonal relations(r=0.35, p<0.01). Stress related to practice environment and class was correlated with indifference (r=0.26, p<0.01) and tension relieve strategy (r=0.28, p<0.01). There's no stress when they meet or serve direct care to patients. Students managed the stress by showing active coping pattern.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erience gave students an excellent capacity to cope with stress. Since the degree of stress and coping pattern can differ from adaptability of situation, a research of change in clinical training stress by seasonal clinical training and coping patter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