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hold Formation and Income Inequality

가구구성과 소득 불평등

  • Received : 2014.05.06
  • Accepted : 2014.07.13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household formation on the mapping from wage inequality to income inequality, which usually is smaller than the former. Added workers, income pooling among household members, and shared consumption are the factors that make income distribution less inequal than wage distribution, and the effect of income pooling appears to be the greatest. This suggests than the increase in nuclear families and the resulting increase of old families have a potential effect of worsening income inequality at the absence of sufficient private income transfers among the two households. A simple counter-factual estimate indicates that income pooling among the children's and parents' households can efficiently and sizeably reduce income inequality.

본 논문은 취업자 소득이 전체 가구원의 소득으로 연계되는 과정에서 가구구성을 통해 그 불평등도가 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요 불평등 완화 요인들로는 구성원의 추가 소득, 가구 내 소득 공유, 공동소비를 고려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소득 공유에 의한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핵가족 추세에 따라 1~2인 고연령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자녀로부터의 사적이전수입은 미미한 수준에 있어 자녀/부모 간 소득 공유는 제한적인 수준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소득 불평등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간단한 가상 추정(counter-factual estimation)에 의하면 자녀/부모 간 사적 이전지출을 통해 노인가구로의 소득 공유효과가 확대될 경우 소득 불평등도 해소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