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개발을 위한 통합 도시 교통 계획은 중요한 이슈인 바 효과적인 대중교통 중심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택지에서부터 거주민의 통행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 기반하여 주택유형별로 거주자의 통행행태를 비교하였고, 특히 주택유형별로 지하철 통행빈도 추정 모형을 구축하여 지하철 통행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지하철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버스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단독주택(22.8%)이며, 지하철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오피스텔(17.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피스텔과 연립주택 거주민의 지하철역까지 평균 도보접근거리는 각 661m, 749m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주택 거주민의 자동차와 자전거 보유대수가 많을수록 지하철 통행이 감소하며, 거주지의 인구밀도가 높으며 지하철 접근성이 양호하고 버스 접근성이 불량할수록 지하철 통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의 계획적 요소는 주택 유형지에 따라 차별되어야 함을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주택유형 거주자의 통행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설계에 활용되어질 수 있고, 대중교통 이용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Recently,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fo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TOD) has become a major issue. For the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of T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ravel behavior of residents in housing area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ravel behaviors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based on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s. By building an estimation model for subway trip frequency by housing types, it was identifi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subway trips and ultimately suggested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use of the subway. The highest share of bus mode was for detached house residents with 22.8%, whereas the share of subway mode was highest by efficiency apartment residents with 17.5%. Walking distance to the subway from efficiency apartment and row house were verified as 661meters and 749meters. As the residents of each housing type have more cars and bicycles, their subway trips were decreased. It was also found that subway trips were increased when the population density of residence was high with good accessibility to subway stations and poor accessibility to bus service.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findings to differentiate the planning factors of public transportation by housing types were also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for urban design considering the travel behaviors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and can also be utilized for promoting the patronage of public transportation. Some limitations and a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