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 권영식, 김명희, 김연숙, 김윤화, 신호심, 임희영, 하지희 (2009).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26-638.
-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 김미경, 오희균, 박종원 (1996). 물리 탐구 실험의 평가를 위한 도구의 개발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51-60.
- 김순옥, 김봉선, 서혜애, 김영민, 박종석 (2011).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 신장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개발: 멘델의 과학적 사고과정 적용, 영재교육연구, 21(4), 1033-1053.
- 김효준, 송진웅 (2012). 개방형 과학 탐구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전략의 탐색: 과학고등학교의 KYPT 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0), 1489-1501.
-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16-1234.
- 박재용, 이기영 (2012).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04-1221.
- 변선미,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 신광문, 강영창, 이성묵, 이재봉 (2011). 대학생들의 물리실험에서 측정 활동 분석틀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15-127.
- 신형기, 정희모, 이재성, 김성수, 박권수, 유현재, 한경희, 박진영, 김현주 (2006).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서울: 사이언스 북스.
- 우종옥, 김범기, 한안진, 허명 (1998). 국가 수준의 과학탐구능력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617-626.
- 이혜정, 심규철 (2011).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가설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연구 21(1), 193-207.
-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13.
-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 (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 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 정현철, 채유정, 김경대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영재교육연구, 22(3), 597-617.
- 최승언, 김은숙, 전미란, 유희원 (2012),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영재교육연구, 22(3), 575-596.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75
- Booth, W., Colomb, G., & Williams, J. (2012). 학술논문 작성법 [양기석, 신순옥, 역]. 서울: 나남. (원본출간년도: 2008).
-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 Collins, A. (2006). Cognitive Apprenticeship. In R. K. Sawyer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 (pp. 47-6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tkina, E., Heuvelen, A. V., White-Brahmia, S., Brookes, D. T., Gentile, M., Murthy, S., Rosengrant, D., & Warren, A. (2006). Scientific abilities and their assessment.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 2, 020103. https://doi.org/10.1103/PhysRevSTPER.2.020103
- Johnsen, S. K., & Goree, K. (2010). 영재학습자의 자율 연구 [전미란, 역].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5).
- Kung, R. L. (2005). Teaching the concepts of measurement: An example of a concept-based laboratory course.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3(8), 771-777. https://doi.org/10.1119/1.1881253
- Moriarty, M. F. (2008). 비판적 사고와 과학 글쓰기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역]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원본출간년도: 1997).
- Sadler, T. D., Burgin, S., McKinney, L., & Ponjuan, L. (2010). Learning science through research apprenticeship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3), 235-256.
- Schraw, G. (1998). Promoting general metacognitive awareness. Instructional Science, 26, 113-125. https://doi.org/10.1023/A:1003044231033
- Schraw, G., Criooen, K. J., & Hartley, K. (2006). Promoting self-regulation in sceicne education: Metacognition as part of a broader perspective on lear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 111-139. https://doi.org/10.1007/s11165-005-3917-8
- Williams, J., & Colomb, G. (2008). 논증의 탄생 [윤영삼, 역] 서울: 홍문관. (원본출간년도: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