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Volume 32 Issue 2
- /
- Pages.131-139
- /
- 2014
- /
- 2733-4554(pISSN)
- /
- 2733-4562(eISSN)
Manufacture of Cutting-Gouda Cheese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_p1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ouda Cheese during Ripening Periods
Lactobacillus rhamnosus_p1을 이용한 절단형 고다치즈 제조방법 및 숙성 중 품질특성
- Park, Jong-Hyuk (Imsil Research Institute of Cheese Science) ;
- Jung, Hoo-Kil (Imsil Research Institute of Cheese Science) ;
- Moon, Hye-Jung (Imsil Research Institute of Cheese Science) ;
- Oh, Jeon-Hui (Imsil Research Institute of Cheese Science) ;
- Lee, Joo-Hee (Imsil Research Institute of Cheese Science) ;
- Kim, Myung-Kon (Dept. of Bio Foo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Na, Sang-Eon (Division of Food and Drug Analysis, Jeollabuk-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
- Kim, Youn-Jeong (Division of Food and Drug Analysis, Jeollabuk-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
- Hwang, Young-Tae (Woorichon Co.)
- 박종혁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 정후길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 문혜정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 오전희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 이주희 (임실치즈과학연구소) ;
- 김명곤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
- 나상언 (전라북도보건환경연구원 식약품분석과) ;
- 김윤정 (전라북도보건환경연구원 식약품분석과) ;
- 황영태 (우리촌)
- Received : 2014.11.06
- Accepted : 2014.12.0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Cutting-Gouda cheese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utting-Gouda cheese made with Lactobacillus rhamnosus_p1.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Gouda cheese ripened for more than 1 year. They were identified as 2 strains of L. rhamnos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curvatus, and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by 16S rDNA sequencing and named L. rhamnosus_p1, L. casei_p2, L. curvatus_p3, L. rhamnosus_p4 and S. saprophyticus_p5. The proteolytic activities of isolated strains against casein were measured using prepared skim milk agar plates. L. rhamnosus_p1 showed the highest proteolytic activity. Cutting-Gouda cheese was made with L. rhamnosus_p1,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moisture, protein, fat, ash and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measured during ripening periods. Because of th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본 연구는 숙성기간 단축 및 최종 제품의 소비자 편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1년 이상 숙성된 고다치즈에서 단백분해능이 우수한 유산균주를 screening하여 단백분해능 및 내산성이 높은 L. rhamnosus_p1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균주를 이용한 고다치즈를 제조하여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1년 숙성된 고다치즈 3개 제품에서 분리해낸 유산균주는 총 5종이며, 16S rDNA의 염기서열을 표준 균주와 비교하여 작성한 계통수 결과, L. rhamnosus 2종, L. casei, L. curvatus 및 S. saprophyticus로 판명되었고, 이 중 단백분해능과 내산성이 높은 L. rhamnosus_p1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절단형 고다치즈 제조 후 질소포장하여 숙성기간 중 이화학적 변화 및 아미노산 변화를 측정하였다. 숙성기간에 따른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의 변화는 대조구의 경우,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감소하여 이에 따른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L. rhamnosus_p1을 처리한 실험구는 숙성기간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의 변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및 L. rhamnosus_p1을 첨가한 실험구의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 초기 각각 16.63 및 16.01 mg/100 g에서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숙성 3개월째 각각 40.80 및 54.70 mg/100 g 증가하였고, 숙성 5개월째에 71.55 및 77.12 mg/100 g으로 증가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으로 대조구는 각각 14.32, 10.26 및 6.25 mg/100 g으로, L. casei_p2를 첨가한 실험구는 각각 16.33, 12.31 및 5.80 mg/100 g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맛,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대조구보다는 L. rhamnosus_p1을 첨가한 실험구가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복합균주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Gouda cheese 제조를 위한 스타터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