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종운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 이명희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Received : 2013.12.23
  • Accepted : 2014.02.07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For this study, we used research data about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which were collected from 271 university students live in Busan. We carried out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self-differentiation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Also, we carried ou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predic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college lif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have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llege life. Second,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family projection, and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ing have more effects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Especially attachment avoidance affects college life more than others.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a wide variety of policy research to develope peer support program and counseling for a better school life on schools, classes, counseling center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2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자아분화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서인지분화, 가족투사과정이며 그 중 애착불안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학교와 학과 및 대학상담센터에서 다양한 정책적인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통계자료, 2013.
  2. 김현덕, "전문대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 적응도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제38권, 제3호, pp.57-79, 2000.
  3. 연세대 학생상담소 만남, 서울: 연세대학교 학생 상담소, 제19권, 2002.
  4. 김은정, "대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연세상담연구, pp.85-114, 1992.
  5. 류진혜, 이미화, "2001학년도 서울캠퍼스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연구",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제19권, pp.121-163, 2001.
  6.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2호, pp.215-237, 2003.
  7. 전겸구,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개발 연구II", 재활과학연구, 제14호, 제1권, pp.15-37, 1998.
  8. 서지원, 초등학생의 모-자 애착, 자아탄력성 및 또래 폭력경험과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9. 양정화,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0. J. E. Roberts, I. H. Gotlib, and J. D. Kessel, "Adult Attachment Securi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 and Low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10-332,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10
  11. 장휘숙,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5권, 제1호, pp.101-121, 2002.
  12. 조수진,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정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3. 김경미, 대학생의 성인애착 사회적 지지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M. Bowea,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1978.
  15. 태옥경,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분화수준과의 관계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6. 박유하, 대학생의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 수준과 대학생활적응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7. 유희정, 전문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 준비행동,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8. 이서정,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박지선, 대학생의 동료에 대한 애착정도와 자아분화 및 인간관계성숙도와의 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0. 박윤옥,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자아분화수준과 분노 표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21. 배선임, 교류분석이론에 따른 자아상태 및 인생 태도가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 E. A. Skowron and A. K. Dendy, "Differentiation of self and attachment in adulthood: Relational correlates of effortful control," Contemporary Family Therapy, Vol.26, No.3, pp.337-357, 2004. https://doi.org/10.1023/B:COFT.0000037919.63750.9d
  23. 양수진, 대학생의 부모 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4. 김병찬,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6. 제석봉,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27. 이윤정,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8. 박은영,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6호, pp.1-27, 2011.
  29. 유경자, 성인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30. 최영희, "대학생활적응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권, 제1호, pp.127-137, 2009.
  31. 최낙현, 대학생의 자기표현과 자기 통제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2. 양혜선,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33.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48-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48
  34. 김근면, 차선경,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22-33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22
  35. 이상희, 부모애착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양가성, 정서표현불능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6. 신현균,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및 초등 고학년생의 신체증상 경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4호, pp.829-846, 2003.
  37. 강승호, 정은주,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학업 성적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3권, 제4호, pp.405-424,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