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destrian Road at the Wall Space between Old Apartment Sites

공동주택단지 담장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설치 가능성 연구

  • 장희천 (광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4.01.03
  • Accepted : 2014.02.05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Residential site should have pedestrian roa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ite just for convenience and safety. However, apartment complexes developed in the past, the sites are just stuck by walls and pedestrian roads are not placed, inhabitans have difficulties for facility use and safety. Therefore, residents solve the problems as follows: they utilize the spaces, between apartment building and the wall, as walking route, and demolish the parts of the wall for connecting sites. In this study, it was thought that pedestrian road could be emplaced at the wall space between sites. For this, a low-rise apartment complex in Gwangju was selected developed in 1990s, and whether the space for pedestrian road was examined. The width from 2.4m to 8.0m could be secured, and there could be placed the pedestrian road at the wall space.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for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pace, for the opinion of residents that might be damaged from the pedestrian road did not reviewed.

공동주택단지에는 주민편익과 안전을 위해 단지 중심을 관통하는 보행자전용도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거에 조성된 단지들은 단지 사이가 담장으로 막혀 있고 보행자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편익시설이용과 안전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주민들은 담장 주변의 공간을 비공식적인 보행로로 이용하거나 담장을 일부 철거하고 통행문을 만들어 대처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건설된 택지개발지구에서는 단지 사이에 보행자전용도로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주민행태와 최근의 계획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에 조성된 아파트 단지 사이의 담장을 철거하고 담장과 담장 주변의 녹지에 보행자도로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착안하였다. 1990년대에 조성된 광주광역시 첨단지구의 저층 아파트 단지를 사례 대상지로 선택하여 담장과 담장 주변을 실측하여 보행자도로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아파트 담장 주변의 공간은 최소 2.4m에서 최대 8m까지 공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공간에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담장 공간에 보행자도로 개설을 위한 공간확보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한정되었고, 보행자도로 설치로 인해 피해를 볼 수도 있는 주민의 의견을 파악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모, 송규만, 손동욱, 조희정, "쉬운 길찾기를 위한 남산 보행안내체계 개선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0권, 제6D호, pp.675-683, 2010.
  2. 경기도 도시공사, 광교신도시 지구상세계획, 경관상세계획 및 공공부문 시행지침, 제8장 보행축경관, 2012.
  3. 광주광역시, 광주상무1지구 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 2001.
  4. 국토해양부, 도시.군관리계획수립지침, [별첨5] 보행자전용도로계획및시설기준에관한지침, [국토 해양부훈령 제874호, 2012. 8. 22., 일부개정]
  5. 김형진, 전수현, 장세균, 박찬규, "90년대 공영아파트 설계경기 당선안의 동선패턴 및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1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731-738, 2001.
  6. 유완, 김형진, 손봉수,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주택 단지의 교통 및 동선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토지공사, 2003.
  7. 이규인, 이재준, 오수호,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동선체계 합리화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6(2).
  8. 정진수, 박몽섭, 홍원화, 하재명, "대규모택지개발지구 내 주보행자동선 활성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2권, 제1호, pp.9-16, 2000.
  9. 제해성, 보행자전용도로의 계획과 설계- 신도시및 신시가지의 보행자공간 체계화와 설계기법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기술연구소, 1989.
  10.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자전거이용시설설치 및 관리지침,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