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ents' Awareness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치위생과 학생의 강의평가 문항에 대한 인식

  • 조미숙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김창숙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3.12.11
  • Accepted : 2014.01.13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with targets of 968 students 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6 colleges(universities) in Busan, Gyeongnam and Ulsan areas. The reliability, Cronbach' ${\alpha}$, of awareness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was .862, which was hig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IBM. SPSS. Statistics. v. 19.0 program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wareness score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was the average of 2.99, which was high. Second, the important factor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in entire grade was contents of class and teaching methods, and it was 59.3%, which was the highest. Third, the relevance between important factors of course evaluation and reliability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was the average of 3.06, which was higher than the validity of 2.97.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s for course evaluation was 0.608, which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울산시 6개 대학(대학교)의 치위생과 학생 968명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문항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평가지에 대한 인식의 신뢰도 Cronbach' ${\alpha}$는 .862로 높게 나타났고 자료의 분석은 SPSS IBM. SPSS. Statistics. v.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강의평가지의 문항에 대한 인식점수는 평균 2.9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학년에서 강의평가 문항의 중요 요인으로는 수업내용 및 진행방법이 5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강의평가의 중요요인과 강의평가지의 신뢰성의 관련성은 평균 3.06점으로 타당성 2.97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강의평가 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상관관계는 0.608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경수, 최숙희, 박재철, "강제적인 대학 강의평가의 문제점",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제18권, 제1호, pp.35-45, 2011.
  2. 박혜림,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A"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3권, 제11호, pp.5033-504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5033
  3. 이현주, 김한일, 반찬정, "대학에서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426-437,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1.426
  4. 고은미, 이희경, 한은옥,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학논총, 제31집, pp.365-394, 2013.
  5. 이기훈, "강의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강의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87-98, 2010.
  6. 정진아, 장윤정, "치위생과 재학생의 전공학과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1권, 제5호, pp.649-657, 2011.
  7. 정영란, 황선희, 안세연, 심수현, 한화진, 최혜숙, "치위생과 강의식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행동",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89-200,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1.189
  8. 유지수, 최수영, "치위생과 학생의 정서적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0권, 제5호, pp.307-314, 2010.
  9. 정상희, 김은희, 김현숙, "지역별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육환경 및 전공 만족도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9-78, 2011.
  10. 김수관, 구영경, 정미애,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문직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248-25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248
  11. 이선아, 강의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양은희, 강의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 H. A. Andrew, Teachers can fired! The quest for quality, Catfeet Press, 1995.
  14. 강용주, 장계원,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에 관한 의식실태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4권, 제1호, pp.1-13, 2004.
  15. 송미섭, 지은림, "강의평가 설문지에 관한 문항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제7권, 제2호, pp.263-283, 1994.
  16.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교육행정학회지, 제23권, 제3권, pp.379-403, 2005.
  17. 박혜림,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033-504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5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