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elf-identity and Family function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과의 관계

  • 김효정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3.11.11
  • Accepted : 2014.01.10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elf-identity and family function of nursing student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583 nursing students of three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of march 2011 to 31th of march in 2012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Subjective well-be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religion, economic stat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major satisfaction an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Self-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religion, economic stat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major satisfaction. Family fun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te, major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self-identity, and family function are positive correlations each other. In conclusion, the program that consider nursing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self-identity and family function influences positive effect on the college lif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찰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 C도에 소재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583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안녕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종교, 경제상태, 학교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정체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종교, 경제상태, 학업성적, 학교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기능은 경제상태,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을 고려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12.
  2. 임미향, 靑年의 삶의 質과 學業成就에 대한 硏究 :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및 성격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 A. Campbell, "Subjective measures of well - 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31, No.2, pp.117-124, 1976. https://doi.org/10.1037/0003-066X.31.2.117
  4. D. G. Myers and E. Diener,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s, Vol.6, No.1, pp.10-19, 1995.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5. 박현숙, 권복순,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48-56, 2006.
  6. 박혜숙, "대학생의 행복정도와 양생실천정도와의 관련성",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8권, 제1호, pp.31-39, 2012.
  7. 윤여긍, 대학 신입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8. S. Boughn, "Why women and men choose nursing," Nursing and Health Care Perspect ives, Vol.22, No.1, pp.14-19, 2001.
  9. 김인숙, 장윤경, 박수호, 송소현,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제17권, 제2호, pp.339-347, 2011.
  10. 장문영,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 결정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1. 김경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2. 박완주, 한지영,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가족지지가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65-375,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365
  13. 최명심, 손정락, " 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2호, pp.289-305, 2007.
  14. 배경희, 김은하,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가족기능, 자아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아동간호학회, 제13권, 제3호, pp.357-366, 2007.
  15. 이현지, 김명희,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무망감,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3호, pp.243-264, 2007.
  16.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1968.
  17. M. Donald, J. Dower, I. Correa-Velez, and M. Jone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 comparison of hospital-based with population-based samples of young adults,"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40, No.1, pp.87-96, 2006. https://doi.org/10.1080/j.1440-1614.2006.01747.x
  18. 양옥경,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 제7호, pp.175-199, 2001.
  19. 박현숙, 구현영,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완충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87-94, 2009.
  20. 정세화, 부모 애착, 자아정체감이 기독교청소년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1. 우순기, 청소년 자아정체성에 종교가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2. 고영남,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 동료 애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제17권, 제1호, pp.246-269, 2011.
  23. 정여주, 홍성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 관계 연구-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제14권, 제3권, pp.239-257, 2012.
  24. 이명신, 근로자의 주관적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25. 조명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6. D. H. Olson, H. David, and H. L. Barne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flex mode," Family Process, Vol.56, No.2, pp.438-447, 1995.
  27. 김윤희, 부부관계, 부모 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 자녀 비행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28. 박아청, "한국대학생의 가정과 학교생활적응이 개체화와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심리학회, 제19권, 제2호, pp.519-542, 2005.
  29. 조결자, 박순복, 이명희,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아효능감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2호, pp.24-31, 2008.
  30. 구현영, 임형석,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11-321, 2013.
  31. 최지혜, 박미정,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방법론적 트리이앵귤레이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39-34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