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eb-bas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tyle, and Internet Self-efficacy on the Belief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about Web-based Learning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미정 (부산디지털대학교 아동보육학전공)
  • Received : 2013.10.15
  • Accepted : 2014.02.12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eb-bas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tyle, and Internet self-efficacy that influence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belief about web-based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215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in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for SPSS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web-based learning experiences and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use and frequency were significant gaps in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nd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And teachers with assimilator learning style showed high difficulty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Third, teachers' belief about web-based learn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net self-efficacy. It means that teachers that have high Internet self-efficacy show high belief about web-based learning. Forth, among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a higher level of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use and Internet self-efficacy predicted higher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web-based learning experiences and Internet self-efficacy to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And it implicated ways to improve positive beliefs about web-based learning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초임보육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분석은 t 검증,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중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 유무와 빈도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임보육교사의 학습유형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융합형의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신념이 높았다. 셋째, 초임보육교사의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웹기반 학습신념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행동적 신념과 맥락적 신념이 높았다. 넷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행동적 신념, 맥락적 신념, 어려움 신념에 따라 그 영향요인이 달랐으며 주로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높이기 위해 이들의 웹기반 학습경험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김민정, 이수지, 김혜선(2008).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5요인 성격 특성이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97-223.
  2. 강명희, 엄소연, 이정민(2010).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특성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3), 53-79.
  3. 강신영(2005).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컴퓨터교육 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강한나, 황해익(2006). 유치원 교사 원격연수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도 조사: 부산 울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5(1), 17-37.
  5. 고은경(2005). 영유아교사의 원격연수 실태 및 원격연수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 탐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윤성(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유형 및 토론능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정희, 이재경(2002).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양식이 학업성취 및 웹기반 학습자 지원기능 선호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8(4), 111-138.
  8. 김경화(2002). 원격교육을 통한 유아교원연수의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31, 327-350.
  9. 김명랑, 박인우(2009).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의존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0(1), 89-116.
  10. 김미란(2012). 유아교사의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이용 실태와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수, 계보경(2001). ICT활용수업에서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방송연구, 7(4), 91-122.
  12. 김은정(2000). 학습양식의 유형 및 구성 요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심(2007). 인터넷 활용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정(2009). 학습 전략, 학습 신념 및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민복기(2004).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상호(2011). 인터넷 이용 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22, 37-80.
  17. 박윤정(2009).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정보격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8. 서영숙, 서혜전(2001). 유아교사대상 웹기반 연수의 만족도 분석과 운영평가. 아동학회지, 22(2), 219-235.
  19. 서혜전(2001). 웹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관련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송미선(2009). 인식론적 신념과 목표지향, 학습전략,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심숙영, 서혜전, 서영숙(2002). 유치원 교사 원격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강좌 평가 및 효과분석. 유아교육연구, 22(3), 23-41.
  22.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2008). 유아교사론. 서울: 정민사.
  23. 우이구(2005). 웹기반 통합교육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경화, 박순호, 강한나(2005). 유치원교사의 웹기반 원격연수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요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275-301.
  25. 이미정, 강란혜(2011). 보육교사의 처우 및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1(3), 27-44.
  26. 이선경(2002). 웹기반 원격교육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순영, 박해미(2008). 보육교사 제도의 발전방향: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및 현직 보수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7(2), 231-242.
  28. 이인숙(1999). 대학 집합수업과 통합된 웹기반 온라인수업 학습자의 인식 및 학습유형 분석. 교육공학연구, 15(1), 197-218.
  29. 이주란(2011).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춘자(2004). 유아교사 공동체의 웹 토론에서 만족도 분석과 운영평가. 교육과학연구, 35(1), 171-185.
  31. 이풍임(2013). 만3세반 초임유치원교사의 초기적응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현경(2000). 유치원 초임교사가 교직수행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수도권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85-204.
  33. 임양미(2008). 웹기반 사례토론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임현숙(2012). 보육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전육숙(2011).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지, 11(4), 167-187.
  36. 정혜욱, 이옥형(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4.
  37. 조미헌(2009). 온라인 학습커뮤니티를 활용한 교사교육: 미국의 사례분석에 기초한 성공요인.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3(4), 409-421.
  38. 조미현(2011).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천희영(2004). 웹기반 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자 특성과 학습효과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5(4), 163-175.
  40. 천희영(2005). 웹기반 유아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학습결과에 대한 영향 변인의 분석: 부산지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연구, 25(2), 47-78.
  41.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9). 2009년 원격교육연수원 수요자 만족도 조사,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2. 한국보육진흥원(2013). 보육교직원 국가자격증 취득자 현황 및 현직종사 비율. 2013년 6월 30일자 기준. https://www.kcpi.or.kr/에서 2013년 10월 4일 발췌.
  43. 황옥경(2012). 보육교사의 처우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49-272.
  44. 황재연, 최명숙(2006).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255-274.
  45. Argon, S. R., Johnson, S. D., & Shaik, N. (2002).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 preferences on student success in online versus face-to face environment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6(4), 227-244.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604_3
  46. Bhattacherjee, A., & Premakumar, G. (2004). Understanding changes in belief and attitude toward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heoretical model and longitudinal test. MIS Quarterly, 28, 229-253.
  47. Bonk, C. J., Wisher, R. A., & Lee, J. (2003). Moderating learner-centered e-learning: problems and solutions, benefits and implications. In T. S. Robert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Theory and practice(pp.54-85). Hershey, PA: Idea Group.
  48. Brittan-Powell, C., Legum, H., & Taylor, E.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learning style, selection of course delivery format, and academic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5(5), 41-46.
  49. Buerch, J. P., Malmstrom, T., & Peppers, E. (2003).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rning styles: non-traditional student enrollment and success in an Internet-based versus a lecture-based computer science course.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6(2), 137-155. https://doi.org/10.1023/A:1024939002433
  50. Eastin, M., & LaRose, R. (2000). Internet self-efficacy and the psychology of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6(1), available at: http://icmc.indiana.edu/vol6/issues1/eastin.html.
  51. Jonassen, D. H., Marra, R., & Palmer, B. (2002). Epistemological development: an implicit entailment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In N. M. See., & S. Dijkstra(Eds.), Curriculum, plans, and processes in instructional design: International perspectives(pp.76-88). Mahwah, NJ: Lawrence Erlbaum.
  52. Kao, C. P., & Tasi, C. C. (2009). Teachers' attitudes toward web-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relation to internet self-efficacy and belief about web-based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53, 66-73. https://doi.org/10.1016/j.compedu.2008.12.019
  53. King, P. M., & Kitchner, K. S. (1994). Developing reflective judgment: Understanding and promoting intellectual growth and critical thinking in adolescents and adults. San Francisco: Jossey-Bass.
  54. Kolb, D. A. (2005). The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version 3.1. Boston: Haygroup, Inc.
  55. Manochehr, N. (2006).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s on learners in e-Learning style environments: an empirical study. Computers in Higher Education Economics Review, 18, 10-14.
  56. Lee, S., & Kim, B. G. (2009).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intranet: A confirmatory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5(1), 191-201. https://doi.org/10.1016/j.chb.2008.08.007
  57. Meyer, K. (2003). The web's impact on student learning. T.H.E. Journal, 30(5), 14-24.
  58. Oh, E., & Lim, D. (2005). Cross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styles and learner variable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4(1), 53-66.
  59. Oliver, R., & McLoughlin, C. (1999). Curriculum and learning-resources issues arising from the use of web-based course support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5(4), 419-436.
  60. Pintrich, P. R., Marx, R. W., & Boyle, R. A. (1993). Beyond cold conceptual change: the role o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169-199.
  61. Summers, J. J., Waigandt, A., & Whittaker, T. A. (2005). A comparison of student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n online verse a traditional face-to-face statistics class. Innovative Higher Education, 29(3), 233-250. https://doi.org/10.1007/s10755-005-1938-x
  62. Terrell, S. (2002). Learning style as a predictor of success in a limited residency doctoral program. The Internet in Higher Education, 5(4), 345-352. https://doi.org/10.1016/S1096-7516(02)00128-8
  63. Wang, A. L., & Newlin, M. H. (2000).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enroll and succeed in psychology web based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137-143. https://doi.org/10.1037/0022-0663.92.1.137
  64. Wigfield, A., & Eccles, J. S. (2000).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68-81. https://doi.org/10.1006/ceps.1999.1015
  65. Yang, F, Y., & Chang, C. C. (2009). Examining high-school students' preferences toward learning environments, personal beliefs and concept learning in web-based contexts. Computers & Education, 52, 848-857. https://doi.org/10.1016/j.compedu.2008.12.008
  66. Yang, F. Y., & Tasi, C. C. (2008). Investigation university student preferences and beliefs about learning in the web-based context. Computers & Education, 50, 1284-1303. https://doi.org/10.1016/j.compedu.2006.12.009
  67. Yudko, E., Hirokawa, R., & Chi, R. (2008). Attitudes, beliefs, and attendance in a hybrid course. Computers & Education, 50(4), 1217-227. https://doi.org/10.1016/j.compedu.2006.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