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xtile Design for Children Applying Korean Prehistoric Petroglyphs

한국 선사시대 암각화를 응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Jang, Kyung Ah (Major of Textile & Fashion Industr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Eun Kyung (Dept. of Fashion Industr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장경아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섬유패션산업 전공) ;
  • 박은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Received : 2013.11.21
  • Accepted : 2014.01.20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dapt and develop Korean prehistoric petroglyphs into textile design for children.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lasticity and symbolism expressed in Korean prehistoric petroglyphs. Also this study conducted textile design development as follows: First, the figures and faces in petroglyphs were selected because children can easily recognize them. Second, two groups of different ages (7-9 and 10-13) were allowed to freely draw the selected motifs. Third, some of the motifs created by the children were selected that show children's individuality and also keep the features of the original motifs. The children's motifs were developed into textile design using Texpro and Photoshop. Then digital textile printing and 3D mapping program were used to make pajamas (5 types), umbrellas (3 types), and simulate bedding sets (2 types) for children. This research'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troglyphs are symbolic language of human's oldest art form, and related to religious and mythical belief. Korean petroglyphs have plasticity showing the development steps in technique and expression, with various shapes such as animals, human figures, faces, masks and abstract figures. Third, children showed their interests in various human figures and faces of the petroglyphs, and it was easy to draw those motifs in their own way. Fourth, 10 design motifs were selected from the children's work and used to create textiles considering materials and colors for children. Total 10 items were made and presented. This study confirmed the usefulness of applying prehistoric petroglyphs to children's textiles designs. These designs may grow as a kind of cultural product for children who know about and like petroglyphs. They can be a niche market items too, made to order for children with individuality and who favor originalit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천대학교

References

  1. 김세원, 길태윤 (1997), 선사시대 바위그림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울산대학교 조형대학 논총, 2(1), pp. 1-33.
  2. 박순천 (2005), 한국의 암각화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지, 5(1), pp. 57-66.
  3. 박순천 (2006), 한국 전통 암각화 문양을 응용한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1], 복식, 56(6), pp. 33-44.
  4. 박순천 (2010), 울산반구대 암각화 문양을 응용한 니트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패션과 니트, 8(1), pp. 1-10
  5. 전다혜 (2006), 한국의 암각화를 재해석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연구, 先史와 古代, (24), pp. 249-282.
  6. 김종순, 장정대 (2007), 반구대 암각화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3), pp. 262-269.
  7.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20.
  8.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10, pp. 30-39, pp. 40-44.
  9. 남궁일 (2001), 암각화에 나타나는 조형성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지, 8호, pp. 130-131.
  10.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33.
  11. 박규원 (2006), 한국과 유라시아지역의 선사시대 암각화에 나타나는 조형성 비교와 현대사회 디자인 의미와의 관계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 216.
  12.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p. 15-22.
  13. 임두빈 (2001), 원시미술의 세계, 서울: 가람기획, p. 155.
  14.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28.
  15. 박남희 (2009),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조형성과 디지털 프린팅을 통한 일상적 활용모델 연구, 미술교육논총, 23(1), p. 355
  16.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63.
  17.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 464.
  18.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 465.
  19.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 468.
  20.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p. 464-468.
  21. 전호태 (2005), 울산의 암각화, 울산대학교출판부, p. 24.
  22. 박규원 (2006), 한국과 유라시아지역의 선사시대 암각화에 나타나는 조형성 비교와 현대사회 디자인 의미와의 관계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3), p. 218
  23. 박남희 (2009),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조형성과 디지털 프린팅을 통한 일상적 활용모델 연구, 미술교육논총, 23(1), p. 353.
  24.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p. 464-466
  25. 이하우 (2011), 한국 암각화의 제의성, 서울: 학연문화사, p. 112-113.
  26.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70.
  27.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 457.
  28. 정병모 (2010),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인면상으로 통해 본 선사시대 인물표현의 특색, 강좌미술사, 36호, p. 63.
  29.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83.
  30.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p. 82-84.
  31. 정병모 (2010),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인면상으로 통해 본 선사시대 인물표현의 특색, 강좌미술사, 36호, p. 62.
  32. 정병모 (2010),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인면상으로 통해 본 선사시대 인물표현의 특색, 강좌미술사, 36호, p. 67.
  33. 전다혜 (2006), 한국의 암각화를 재해석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연구, 先史와 古代, (24), p. 257.
  34. 이하우 (2011), 한국 암각화의 제의성, 서울: 학연문화사, p. 249.
  35. 이하우 (2011), 한국 암각화의 제의성, 서울: 학연문화사, p. 246.
  36. 정병모 (2010),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인면상으로 통해 본 선사시대 인물표현의 특색, 강좌미술사, 36호, p. 68.
  37. 이하우 (2011), 한국 암각화의 제의성, 서울: 학연문화사, pp. 250-254.
  38.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 462.
  39. 이형우 (2008), 한국 선사암각화의 인물상, 민족문화논총, 제40집, p. 463.
  40.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85.
  41.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87.
  42.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p. 85-87.
  43.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 88.
  44. 임세권 (2010), 한국의 암각화, 서울: 대원사, pp. 85-86.
  45. "Trend Bible, Kids Trends: Spring/Summer 2012 Preview" 자료검색일 2012. 4. 1. http://www.trendbible.com/blog/kids-trends/kids-trends-springsummer-2012-preview
  46. 한국색채연구소 편 (2006), 아동 색채교육, 서울: 미진사, p. 37.
  47. 홍윤미 (2009), 색채 이미지 선호에 의한 실내 놀이 공간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