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shion Design Thinking through the Lexicon

어휘를 통한 패션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의 특성 연구

  • Kim, Yoon Kyoung (Instruct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Ecology for Elderly,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윤경 (부산대학교 의류학과.노인생활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3.11.11
  • Accepted : 2014.01.29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Creative thinking requires an ability to draw ideas on the given topic in a given time period with concentration. For th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design concept on the topic was collected through experiments and interviews targeting 10 fashion education experts and 10 clothing majors. Afte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divergent thinking was done to find as many ideas and possibilities as possible at the step of expanding the topic by analogy. This showed characteristics of spreading thoughts through the spread of lexicon to professional field knowledge of learned, individual's cultural background, other art fields. Second, abstracted and designed words that are expanded and listed by the topic analogy were specified the topic gradually through the free combination method between lexicons. The sentences made by the combination of lexicons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serial listing method,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sentences had the meaning of orderly cause and effect form, and the parallel listing method that treated information at once. Third, the few characteristics of the procedure that visualizing into the specific design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thod to transform image that lexicon has into the one appropriate to the topic, the case that reflects extern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designed word, and the case which reflects as the extrinsic expression of personal immanent and tactic desires. This study has its means to propose methods and directions to help create more creative and systematic idea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thinking language-oriented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창의성 교육' 없으면 세계경쟁서 도태된다" (2007. 1. 1), 조선일보, p. 16.
  2. "소유의 시대서 공유의 시대로…이젠 모든 걸 오픈하라" (2012. 8. 25), 조선일보, p. 45.
  3. 김선영 (2009), 창의성 개발을 위한 디자인교육 콘텐츠-융합집중형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의 창의성-, 서울: 집문당, pp. 38-132.
  4. 김광규 (2005), 창의력이 모든 것을 이긴다, 서울: 길벗, pp. 14-373.
  5. De Bono, E. (2007), 여섯색깔 생각의 모자, 송광한, 양성진 역, 서울: 한울, pp. 11-227.
  6. Garchik, M. (1999), 창의적 시각 발상법, 정경선 역, 서울: 예경, pp. 3-88.
  7. 박지원 외 (2003), 창조적 아이디어 발상 및 전개, 서울: 학문사, pp. 11-288.
  8. Fernndez-Armesto, F. (2004), 세계를 바꾼 아이디어, 안정희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10-391.
  9. 이광훈 외 (2010), 패션디자인의 발상 기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167-205.
  10. 박혜원 외 (2006), 현대패션디자인, 서울: 교문사, pp. 72-128.
  11. 이경희, 이은령 (2011),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서울: 교문사, pp. 2-61.
  12. 임규정 (2010), 연상을 통한 창의적 발상 디자인교육 방법 연구: 전문계고 디자인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28(4), pp. 483-492.
  13. 박용원 (2002), 광고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스프링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 pp. 153-161.
  14.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41.
  15. 서동연 (2010), 공간 디자인에 대한 감성연상 매개로써 언어와 시각이미지 특성,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6(10) 2호, pp. 379-388.
  16. 자료검색일 2013. 10.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1554&cid=282&categoryId=282
  17. 자료검색일 2013. 10.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2820&cid=200000000&categoryId=2000000
  18. 자료검색일 2013. 10. 7,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EC%9D%80%EC%9C%A0
  19. 우흥룡 (1999), 언어/시각정보의 유추에 의한 창조적 디자인 사고,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4-15.
  20. 조현재, 이현주 (2011), 발산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9, pp. 141-152.
  21. Broadbent, G. (1984), 건축디자인방법론, 이광로 역, 서울: 기문당, p. 58.
  22. 임규정 (2011), 연상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이 창의적 발상교육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6.
  23.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39-40.
  24. 박경애, 이찬 (2006), 유추적 사고의 전개과정에 의한 디자인 의미 개발에 관한 연구-아파트 평형별 실내디자인 프로토타입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5), pp. 77-84.
  25. 최은희, 최윤아 (2007), 유추적 사고에 의한 디자인 문제해결의 유형-연상된 단어와 스케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2), pp. 63-70.
  26. 최은희 (2010),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추의 활용방법 (1)-상업공간 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4), pp. 31-38.
  27. 최은희 (2010),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추의 활용방법 (2)-주거공간 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6), pp. 38-46.
  28. 정인희 (2013), 패션 상품 아이템 개발을 위한 창의적 발상법의 활용-벨벳 상품의 사례-, 한국의류학회지, 37(2), pp. 213-223.
  29. 이지현, 노윤선 (2012), 알렉산더 맥퀸 작품에 나타난 맥시멀리즘, 복식, 62(6), pp. 165-181.
  30. 오윤정, 김지영 (2011), 지아니베르사체의 패션디자인 발상 연구, 복식, 61(8), pp. 18-31.
  31. 김지영 (2010), 빅터 앤 롤프의 디자인 발상과 작품 특성, 복식, 60(10), pp. 47-64.
  32. 박신미 (2012), 현대패션에 나타난 건축 공간을 활용한 이미지 구축현상 고찰-아르마니 그룹 프라다, 콤므 데가르송을 중심으로-, 복식, 62(7), pp. 150-169.
  33. 백정현, 배수정 (2012),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문화.예술 활용에 관한 연구-PRADA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6(5), pp. 146-163.
  34. 박용원 (2002), 광고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스프링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 p. 155.
  35. 조현재, 이현주 (2011), 발산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9, p. 148.
  36. 김윤경, 박혜원 (2010), 아이디어 발상 유형화를 통한 창의적 패션 디자인 전개 프로세스 연구, 복식, 60(9), p. 102.
  37.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1.
  38. Gentner, D. (1983), Structure 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 pp. 155-170.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702_3
  39. Halford, G. S. (1993), Children'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1-31.
  40. 문정화, 변순화 (2003), 창의성이 보인다 성공이 보인다-44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창지사, pp. 33-35.
  41. 임규정 (2011), 연상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이 창의적 발상교육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8.
  42. "'有'에서 '새로운 有'를 만들어 내는 것이 창조성이다" (2008. 1. 10), 조선일보, p. 63.
  43. Broadbent, G. (1984), 건축디자인방법론, 이광로 역, 서울: 기문당, pp. 425-426.
  44. Mason, J. (1989), Mathematical abstraction as the result of a delicate shift of attention,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9(2), pp. 2-8.
  45. Broadbent, G. (1984), 건축디자인방법론, 이광로 역, 서울: 기문당, p. 426.
  4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The Free Press. pp. 151-164.
  47. 최은희 (2011), 창의성 증진을 위한 언어적.시각적 유추의 효과검증-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2), pp. 30-38.
  48.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2.
  49. 자료검색일 2013. 10. 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368&cid=272&categoryId=272
  50. 김선영 (2009), 창의성 개발을 위한 디자인교육 콘텐츠-융합집중형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의 창의성-, 서울: 집문당, pp. 97-98.
  51. 자료검색일 2013. 10. 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36805&cid=209&categoryId=209
  52. 연세대학교언어정보연구원 편 (2010), 연세초등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p. 517.
  53. 문정화, 변순화 (2003), 창의성이 보인다 성공이 보인다-44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창지사, pp. 117-127.
  54. Ward, T. B. (2001), Creative cognition conceptual combination, and the creative writing of Stephen R. Donaldson, American Psychologist, 56(4), pp. 350-354. https://doi.org/10.1037/0003-066X.56.4.350
  55. Costello, F. J., & Keane, M. T. (2000), Efficient creativity: Constraintguided conceptual combination, Cognitive Science, 24(2), pp. 299-349.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2402_4
  56. Gagne, C. L. & Shoben, E. J. (1997), Influence of the matic relations on the comprehension of modifiernoun combin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3(10), pp. 71-87. https://doi.org/10.1037/0278-7393.23.1.71
  57. 김철민 (2001), 광고아이디어 발상과정에 대한 체계적 접근 모형: 개인수준의 아이디어 발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2, pp. 69-85.
  58. Thiel, P. (1977), Visual Awareness and Design, Washingt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5.
  59. 홍정표, 정수경 (2008), 창의적 디자인의 디자인 구성 요소와 심미성요소 분석, 감성과학, 11(3), pp. 387-397.
  60. 임규정 (2011), 연상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이 창의적 발상교육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0-51.
  61. Kosslyn, S. M. (1980), Image and Mind.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87-346.
  62. Kosslyn, S. M. (1981), The Medium and the Message in Mental Imagery: A Theory, Psychological Review, 88(1), pp. 46-66. https://doi.org/10.1037/0033-295X.88.1.46
  63. 문정화, 변순화 (2003), 창의성이 보인다 성공이 보인다-44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창지사, pp. 24-25.

Cited by

  1. Study on the Analysis regarding the Connection Network of Design Inspirations pursued by Modern Fashion Designers - Focus on the Concept of Fashion Collections -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3.351
  2. Study on Classification of Associated Words of Fashion Image words through Analogical Transfer : Focused on the image words of feminine, mannish, classic and avant-garde vol.67, pp.5,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5.001
  3. The Use of Visual Analogy in Fashion Design Process vol.68, pp.6,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6.001
  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Promoting Fashion Design Ability vol.20, pp.2, 2018, https://doi.org/10.5805/SFTI.2018.20.2.156
  5. 패션 이미지어(語)의 연상 어휘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발상차원에 관한 연구 -클래식, 아방가르드 이미지어를 중심으로- vol.44, pp.3, 2014, https://doi.org/10.5850/jksct.2020.44.3.413
  6. 디자인 발상 과정에 나타난 어휘와 디자인의 연관성 연구 -아방가르드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vol.45, pp.4, 2021, https://doi.org/10.5850/jksct.2021.45.4.727
  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nd Design in the Design Idea Process : Focusing on Classic Images vol.71, pp.4, 2014, https://doi.org/10.7233/jksc.2021.71.4.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