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판 유아동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izing System for Infants' & Children's Clothing

  • 정명숙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강혜진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장인선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Jung, Myoung Sook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Hye Jin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Jang, In Sun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10.18
  • 심사 : 2013.01.29
  • 발행 : 2014.02.28

초록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izing system for infants and children's clothing. The 97 brands were surveyed through market research and on-line searching. Size and body measurem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nominal size, type of market, national and foreign brands, and meaning of reference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ing of nominal sizes was categorized as five cases: the size based on body measurements, the size based on age, the meaningless size, letter cord and combination of 2 out of 4 cases above. The nominal size based on height was most observed, and the meaningless nominal size was second. The meaningless nominal size can cause confusion when consumer buys clothing. 2. The department stores mainly used the nominal size based on body measurements, but the Internet shopping malls largely used the meaningless nominal size. 3. Both national brands and foreign brands mainly used the nominal size based on height. But national brands largely used the different nominal sizes. 4. 41 brands indicated body measurements as reference size and 26 brands indicated product measurements as reference size. Therefore consumers tended to confuse the body measurements with the product measur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편(2009), KS 유아복의 치수 -KS, K 0052:2009-, pp. 1-3.
  2. 장미나 (2011), 유치원 아동의 의복구매와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5.
  3. 최경희 (2002),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위한 아동복 Sizing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6), pp. 923-934.
  4. 김지연, 손희순 (2000), 유아복 제품치수 인지도 및 맞음새 조사, 복식문화연구, 8(2), pp. 272-281.
  5. 김진, 손희순 (1999), 유아복브랜드 치수규격 실태 조사 연구 I, 복식문화연구, 7(6), pp. 159-169.
  6. 김진, 손희순 (1999), 유아복브랜드 치수규격 실태 조사 연구 II,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3(4), pp. 31-39.
  7. 김진, 손희순 (2005), 표준 데이터 수집에 관한 연구 -유아 의류 치수를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지, 55(6), pp. 1-10.
  8. 이지연, 천종숙 (2001), 유아복과 아동복의 치수 규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6), pp. 1046-1056.
  9. 김혜경, 강혜원 (1983), 어린이의 의복(제 3 개정판),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p. 1-245.
  10. 최유경, 이순원 (1995), 유유아의 월령에 따른 신체발달 연구 : 12개월에서 59개월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pp. 790-800.
  11. "파파로니", 자료검색일 2012. 6. 14 , http://www.paparoni.co.kr/
  12. "초코별", 자료검색일 2012. 6. 14 , http://www.chocostars.co.kr/
  13. "키즈코리아", 자료검색일 2012. 6. 14 , http://www.kidskorea.kr/
  14. "꼬마창고", 자료검색일 2012. 6. 14 , http://www.kkomachango.com/
  15. "하이킹콩", 자료검색일 2012. 6. 14 , http://www.hikingkong.com/
  16. "바이투", 자료검색일 2012. 6. 14, http://www.by2.kr/shop/main/index.php
  17. "제이키즈", 자료검색일 2012. 6. 14, http://www.jkids.co.kr/
  18. "리틀궁", 자료검색일 2012. 6. 14, http://littlegung.com/
  19. "배꼽키즈", 자료검색일 2012. 6. 14, http://littlegung.com/
  20. "스타일 노리터", 자료검색일 2012. 6. 14, www.stylenoriter.co.kr
  21. "베이비마레", 자료검색일 2012. 6. 14, www.babymare.co. kr
  22. "쿠키하우스", 자료검색일 2012. 6. 14, www.cookiehouse.kr
  23. "아이유베베", 자료검색일 2012. 6. 14, www.아이유베베.com
  24. "G마켓(안녕꼬꼬마, 리틀바나나, 둥이야기, 바이셀프스타일, 붐붐, 아이스타일, 하트켓, 더제이, 화니맘)", 자료검색일 2012. 6. 14, http://www.gmarket.co.kr/
  25. "11번가(섹시오리, 조아조아, 키즈잼, 나무)", 자료검색일 2012. 6. 14, http://www.11st.co.kr/html/main.html
  26. "ACTION(키즈테라스)", 자료검색일 2012. 6. 14 , http://www.auction.co.kr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tective Inner Wear for Lumbar Disc Disease Patients (Part I) : Analysis of Commercial Lumbar Pads and the Actual Wearing State of the Lumbar Pads vol.40, pp.3, 2016, https://doi.org/10.5850/JKSCT.2016.40.3.516
  2. 국내 아동복 브랜드의 생산현황 및 치수체계 실태 조사 vol.64, pp.6, 2014, https://doi.org/10.7233/jksc.2014.64.6.033
  3. 유아발레복의 착용 실태 및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vol.16, pp.5, 2014, https://doi.org/10.5805/sfti.2014.16.5.766
  4. 키즈 패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탐색하며- vol.21, pp.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21.21.08.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