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Method of Waste Amount from Materials to Develop Generation Rates of Construction Waste in New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Focused on Bill of Quantities for Architectural Works

신축아파트 현장의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개발을 위한 자재별 폐기물 수량 예측 방법: 건축공사 내역서의 투입 물량을 중심으로

  • 정종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성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석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4.01.21
  • Accepted : 2014.01.29
  • Published : 2014.01.30

Abstract

The amount of new apartment construction has been trending upward in 3~4% each year since 11% increase in 2002. Currently, in public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under separate delivery system for construction waste process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quantity for contract and actual amount frequently causes severe controversy among project participants. Many factors such as po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adequate contractual amount are assumed to influence the above problem, and the requirement to revise existing generation rates, the key criteria applied in estimating the quantities of waste, is increasing. Most of generation rates were established in early 2000's, and have difficulty in reflecting the changes from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types of construction waste for each trade and the forecast method as preliminary work in order to develop more accurate generation rates for construction waste in new constru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rchitectural bills of quantities in ten apartment projects executed during 2010~2013 were collected, and the possible waste types and reasonable material loss ratio for each item from temporary works to owner-supplying material area were defined and compared through the workshops and interviews with the experts and on-site environmental manag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categories of construction waste for construction trades and proper generation rates by the indirect estimation method in new apartment construction in the follow-up study.

국내 신축 공동주택 건설은 2002년 11% 이상의 증가를 기록한 후 매년 3~4% 대의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공공부문의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폐기물 분리발주제도에 의한 최초 발주물량과 실제 발생물량의 과다한 차이가 발주자와 수급인 사이에서 빈번하게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현장 환경관리 미흡, 초기 계약물량의 과소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폐기물 수량 예측에 적용되는 발생원단위 기준에 대한 개정 요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현행 원단위는 2000년대 초에 수립되어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적용되는 자재와 공법으로 인한 폐기물 발생 유형과 수량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정밀한 신축아파트 폐기물 발생 원단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현장의 공종별 폐기물 발생 유형과 수량 예측방법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3년 사이에 착공한 신축 아파트 10개 현장의 건축공사 내역서를 확보하고, 건설폐기물 전문가와 현장 폐기물관리 담당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내역항목에서 발생가능한 폐기물 유형과 실질 할증률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공사부터 지급자재부문까지의 건축공사 내역항목별로 정리한 폐기물 발생여부와 유형, 수량예측 시 반영여부, 손실률 등의 자료는 향후 보다 현실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간접추계방식의 원단위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북대학교(2007), 주거용 건축물 해체 전.후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분석을 통한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작성에 관한 연구, 국토해양부.
  2.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건축물 폐재류의 적정처리 및 재활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 아태환경경영연구원(1995), 건설폐기물 재활용 가이드라인 설정 및 재활용촉진 방안, 한국자원재생공사.
  4. 주택연구소(1997),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5. 주택연구소(1996), 구조물 해체공법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6. 충남대학교(1995), 건설산업 폐기물 리싸이클링 시스템 및 재활용기술 개발, 건설교통부.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건설폐기물 처리기준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부천상동지구 발생폐기물 재활용 처리 방안 연구, 한국토지공사.
  9. 한국건설산업연구원(1997), 환경친화적 건설공사 수행 및 건설폐자재 재활용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10. 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 건설폐기물 분리배출 및 발생원단위 산정 등에 관한 연구, 환경부.
  11. A사(2013), 건설폐기물처리 지침.
  12. B사(2010), 건설폐기물 관리지침.
  13. U.S. EPA (1998), Characterization of Building Related Construction and Demolition Debris in the United States, U.S. EPA.
  14. (社)建築業協會 (2011), 建築系混合廢棄物の原單位調査報告書, (社)建築業協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