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란혜, & 이미정. (2011).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진로태도, 직업가치관, 사회적 지지.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0(5), 941-953.
- 고복순, & 김영혜 (2011). 중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의식 성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2), 29-42.
- 교육과학기술부. (2012).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마련.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 교육부. (2013). 학생의 꿈과 끼를 살려 행복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계획[안]. 교육부, 공교육진흥과.
- 금지헌. (2012).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애착, 진로성숙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3(3), 5-26.
- 김나래, 마림, 김경아, & 이동귀. (2012).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4), 1799-1818.
- 김병숙, & 손미나. (2005). 진로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자기효능감 효과 분석, 진로교육연구, 18(2), 172-198.
-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용래. (2000). 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 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변인간의 관계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재호, & 정철영. (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4), 119-137.
- 김진숙. (2013). 아일랜드 연계학년제(TY)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비교교육연구, 23(6), 163-183.
- 김충기. (2003).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학술정보.
- 김혜래. (2007). 중학생의 진로결정 실태와 진로성숙도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13, 51-74.
- 김혜래, & 이혜원 (2007).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28, 33-63.
- 민경애, 정환경, 류위자, & 천성문. (2011).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진로탐색 집단 상담이 잠재비행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상담평가 연구, 4(1), 1-15.
- 민영순. (1978). 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 박영신, & 김의철 (2004).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 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청소년학회, 10(1), 135-165.
- 박은주, & 금명자 (2012).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와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학교교육연구, 7(2), 37-55.
- 소연희. (2011).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0(4), 203-220.
- 이미라. (2000).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학위 논문.
-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진로태도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기학, 송현정, 임희경, & 전윤경. (2004).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기주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2), 53-65.
- 이지연. (2007). 청소년의 진로개발 성과모형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20(2), 129-150.
- 이지혜. (201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133-154.
- 이현주. (1998).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장석민, 임두순, & 송병국. (1991).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요강. 연구보고 RR 91-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정경미. (2009). 시설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 및 자립준비도의관계. 상담평가연구, 2(1), 33-50.
- 정혜정, & 최인실 (200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성숙도에 관한연구. 상담학연구, 5(3), 773-791.
- 조미형, 최상미, & 엄태영. (2006). 남녀 청소년의 부모.친구.교사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5, 81-97.
- 최수미. (200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연구. 상담학연구, 10(4), 2257-2271.
- 한귀녀, 유순화, & 송현아. (2009). 진로장애와 진로포부가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7(3), 211-235.
- 이기학, & 한종철.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0(1), 167-189.
- 함승연. (2012).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 교과 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韓國水産海洋敎育學會, 24(5), 616-626.
- 황매향, & 임은미. (2004). 중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3), 177-191.
- Betz, N. E. (1989). Implications of the null environment hypothesis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for counseling psycholog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7, 136-144. https://doi.org/10.1177/0011000089171008
- Burke, R. J., Bristor, J. M., & Rothstein, M. G. (1995). The role of interpersonal network in women's and men's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er Management, 7, 25-32. https://doi.org/10.1108/09556219510086788
- Crites, J. O. (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American Personnel and Guidence Association. Washington, DC.
- Lynch, M., & Cicchetti, D.(1997).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adults and peers: An examina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t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81-99.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31-3
- Farmer, H. (1985). Model of career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woma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3), 363-390. https://doi.org/10.1037/0022-0167.32.3.363
- Rooney, G. (1983).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life roles of worker, student, and homemaker for young adults.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22(3), 324-342.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17-9
- Sharf, R. S. (2006).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4th Ed. Connecticut: Cengage Learning.
- Super, D. E. (1955).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3), 151-163.
- Super, D. E. (1974). Measuring vocational maturity for counseling and evaluation. Washington, DC :National Vocational Guidance Association.
- Tuckman, B. W. (1974). An age 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2), 193-212. https://doi.org/10.1016/0001-8791(74)90104-3
- Young, R. A., & Friesen, J. D.(1992). The intentions of parents in influenc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0(3), 198-206.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2.tb00326.x
Cited by
-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15, pp.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