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습목표영역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전달 유형별 학습 효과성과 선호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and Preference of e-Learning Contents Delivery Types in Learning Domains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 이병준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투고 : 2014.09.29
  • 심사 : 2014.11.11
  • 발행 : 2014.12.30

초록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 목표 영역별 콘텐츠 전달 전략에 따른 학습효과와 선호도의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82명의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세가지 학습 목표영역과 두가지 이러닝 콘텐츠 전달 전략을 제작하여 이러닝 수업을 실시 후 학습효과와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서는 이러닝의 전달 전략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학습자 중심형 전달전략이 교수자 중심 전달전략보다 높은 학습효과를 보였으며 심동적 영역에서는 반대로 교수자 중심 전달이 더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선호도 부분에서도 인지적 영역의 경우 학습자 중심 콘텐츠 전달방식이 교수자 중심보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영역의 경우는 교수자 중심의 콘텐츠 전달 방식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이러닝 설계 시 학습효과와 선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학습목표 영역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figure out whether there a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s and contents pre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delivery strategies (instructor-focused model, learner-focused model) of learning materials suggested by Bloom in web-based instruction, and to suggest the various options on the contents delivery strategies to improve th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s of each learning domains. Learning domains were divided by the cognitive domain, the affective domain, and the psychomotor domain. The result of research with 182 learners showed that learner-focused model in the cognitive domain caus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and preference than instructor-focused model. And instructor-focused model in the psychomotor domain compared with learner-focused model caus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and preference. However, there were less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ffective domain. In other words, learner-focused model is appropriate to the feature of the cognitive domain while instructor-focused model is appropriate to the feature of the psychomotor domain. The results suggest that delivery strategies should be chosen by domains of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s in web-based instruction. Learner-focused delivery strategie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instructor-focused delivery strategies in the psychomotor domain need to be considered positively. Delivery strategies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in order to lea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and prefer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희. (2003). 중학교 사이버수업에서 운영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3), 231-260.
  2. 강인환. (2004).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습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학습자 특성, 전달전략, 교수자 특성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3. 고일상, 최수정, & 정경호. (2006). 웹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몰입의 영향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6(1), 83-108.
  4. 김미량. (2000). 학습자 중심 웹 기반 교수: 학습체제의 화면설계 전략. 교육공학연구, 16(4), 51-76.
  5. 김인숙, & 박윤식. (2002). 체육교과의 목표 영역별 교육효과 및 수업 만족도 분석. 체육연구논문집, 9(1), 11-28.
  6. 남정권. (2005).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집단 유형과 과제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17(1), 19-38.
  7. 유병민, 김수욱, 박성열, & 강석윤. (2008), 원격대학 e-Learning에서 교육콘텐츠 유형별 만족도 비교 분석 연구, 2008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봄학술대회, 261-277. 5월 24일. 서울: 중앙대학교 법학관.
  8. 유병민, 박성열, & 임정훈. (2005). 학습 스타일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대한 선호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3), 115-134.
  9. 유정화. (1995). 교육 목표 분류학에 따른 중.고등학교 사회과 평가의 사고력 수준 분석: 정치.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윤승금, 강정규. (2000). 학습영역의 Taxonomy에 기초한 CD-ROM Title의 효과 분석. 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 51(2), 231-241.
  11. 이상수, 허희옥. (2002). 비실시간 원격교육환경에서 자기동기화를 위한 협력적 성찰 전략의 탐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8(4), 5-31.
  12. 이종연. (2004). 대학 이러닝 강좌의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증진을 위한 콘텐츠 전달전략의 선택방안: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교육공학 연구, 20(4), 5-37.
  13. 정인성, & 나일주. (2004). 원격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14. 정인성, & 최성희. (1999). 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인 분석. 교육학연구, 37(1), 369-388.
  15. 정종원. (2003). 웹 기반 교육에서 전달양식과 사전지식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주영희, & 이재식. (2006).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 주도 방식과 학습내용 수준에 따른 학습 자료 제시 방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395-426.
  17. 최정임. (1991). CAI에서 학습 내용 계열에 대한 통제 유형과 인지 양식에 따른 학습 효과. 한국교육개발원.
  1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사이버 교육체제 실태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9. Balajthy, J. (1988). An investigation of learner control variables in vocabulary learning using traditional instruction and two forms of CBI.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27(4), 15-24. https://doi.org/10.1080/19388078809557948
  20. Brockett, Ralph G., & Hiemstra (1991).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 Perspective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Series on Theory and Practice of Adult Education in North America [microform].
  21. Brush, Thomas A., Armstrong, John, Barbrow, Dan, Ulintz, Lois (1999). Design and Delivery of Integrated Learning Systems: Their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21(4), 475-486. https://doi.org/10.2190/PTPT-NN3H-4C20-8NYE
  22. Coman, P. G. (2002).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Learning Deliver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in Education(ICCE'02).
  23. Driscoll, M. (2002). Web-based training: Creating e-learning experiences. (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Pfeiffer.
  24. Grabinger. S. (1993). Computer screen designs: Viewer judgmen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1(2), 35-73. https://doi.org/10.1007/BF02297311
  25. Hannafin, M. J. & Hooper, S. (1989). Integrated framework for CBI: Screen design and layou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1), 155-165. https://doi.org/10.1016/0747-5632(89)90009-5
  26. Hannafin, M. J. & Colamaio, M. E. (1987). The effect of variations in lesson control and practice on learning from interactive video,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35(4), 230-212
  27. Hannafin, R. D., & Sullivan, H. J. (1995). Learner control in full and lean CAI program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3(1), 19-30. https://doi.org/10.1007/BF02300479
  28. Howlett. V. (1996). Visual interface design for Windows, NY: Wiley Computer Publishing.
  29. Knowl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I: Follet Publishing Co.
  30. Latchum, C. & Lockwood, F.(1998). Staff development in open and flexible learning. London: Routledghe.
  31. Mayer, R. E. (2003). The promise of multimedia learning: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cross different media, Learning and Instruction, 13, 377-389.
  32. Merrill, M. D. (1983). Component display theory.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Reigeluth, C. M. (1983). Meaningfulness and instructions: Relating what is being learned to whata student knows. Instructional Science, 12, 197-218 https://doi.org/10.1007/BF00051745
  34. Reigeluth, C. M. (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HJ: Lawrence Erlbaum Associate.
  35. Skaalid. B. (1999). Web design for instruction. Available at http://www.usask.ca/education/coursework/skaalid/index.htm
  36. Vison, Cindy. (2005). Learning Domains and Delivery of Instruction, Available at http://pixel.fhda.edu/id/learning_domain.html.
  37. Youngblood, P., Tread, F., & Corpo, S. (2001). Facilitating online learning: A descriptive study, Distance Education, 22(2), 264-284. https://doi.org/10.1080/0158791010220206
  38. Yu, C., Jannasch-Pennel, A., DiGangi, S. A. (2000). Using Web-Based Linear Movies and Modularized Slide Shows for Teaching Statistics Cours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Nature and Multimedia Type, Eric ED441844.

피인용 문헌

  1. A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Online Chapel Courses in Korea vol.13, pp.4, 2014, https://doi.org/10.5392/ijoc.2017.13.4.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