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stomer-Based Rice Brand Equity Model

쌀 브랜드 자산 평가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Deok-Hyeon (Agricultural conversions Management Division, Bureau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
  • Ha, Ji-Young (Agricultural conversions Management Division, Bureau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
  • Lee, Seung-Hyun (Inc. G&B) ;
  • An, Wook-Hyun (Farm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덕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농산업연구담당관실) ;
  • 하지영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농산업연구담당관실) ;
  • 이승현 (주)지앤비) ;
  • 안욱현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 Received : 2014.08.08
  • Accepted : 2014.09.20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As brand has increasingly influenced on marketing activities, local government, agricultural enterprises, and individual farmhouses autonomously develop and promote their own brands in the field of agrifood. Among developed brands, however, it could be possible for products with having no competitiveness and continuous control to lapse in the marketing. This study aimed to try develop to brand equity model in order for agri-food brands to evaluate and complement in the agricultural company. For doing this, ERRC were administered to interview the brands experts to discuss ric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areas with attribute weight of assets may consider bonding with customers for enhancing the value in the brand equity.

마케팅 활동에서 브랜드의 영향력이 증가됨에 따라 국내의 농식품 시장에서 다양한 쌀 브랜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관리 부재로 인하여 경쟁력이 상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 개별경영체들이 개발한 쌀 브랜드의 인지도를 향상하기 위한 브랜드 자산평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브랜드 전문가를 통한 전략캔버스(ERRC) 분석을 실시하여 쌀 브랜드 자산 요소를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브랜드에 대한 자산 속성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이는 브랜드 개발에 대한 기존연구에서 더 확장된 분석방법으로써 기 개발된 브랜드의 자산평가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산출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브랜드 자산에 대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객과의 유대감 형성해야하고, 유대감을 측정하는 세부항목은 만족도, 만족우위성, 재구매 의향, 가격 프리미엄, 구매의도, 주위권유 등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자산의 가치향상을 위한 유대감 형성방안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수준의 품질을 확보한 쌀에 대해서 지역의 대표 쌀 브랜드명을 포장재에 표시하도록 하여 명품화를 추구한다. 품질수준이 확보된 브랜드 쌀은 지역 브랜드로 통합하여 규모화하고, 지속적인 품질관리와 브랜드 관리를 해야 한다. 둘째, 품질과 브랜드가 뒷받침되는 상품은 프리미엄 상품으로서 고가전략으로 접근하되 포장단위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지인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모션, 이벤트 등을 실시하여 홍보력을 높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애, 이점수, & 권기대. (2013). 로컬푸드의 브랜드 자산, 산지효과 및 충성도 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식품유통연구, 30(3), 93-118.
  2. 김연선, & 김철원. (2005). Zaltman의 은유추출기법을 활용한 호텔 브랜드 자산가치 평가 척도 개발. 관광학연구, 29(3), 85-102.
  3. 김영욱. (2003). 방송 채널의 브랜드 자산 평가 방법 연구: 방송 채널의 장르별 자산과 브랜드 이미지 중심. 한국광고홍보학보(구 한국광고학보), 5(1), 193-229.
  4. 김영태, 조환우, & 이현철. (2002). 브랜드 자산의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RHM사의 평가사례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1, 137-158.
  5. 김윤정. (1998). 지식기반 경제와 지적자본. 통신시장, 19, 39-43.
  6. 박성호, & 김완배. (2009). 농산물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가치 측정: 쌀, 쇠고기, 복숭아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경제연구, 50(4), 1-29.
  7. 송재호, 남윤섭, & 임화순. (2009). AHP를 활용한 제주관광 강화정책 중요도 연구. 탐라문화, 43, 321-342.
  8. 신수연, & 류인숙. (2009). 트레디셔널 캐주얼 브랜드 자산 평가 및 확장 브랜드 태도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18(6), 1277-1288. https://doi.org/10.5934/KJHE.2009.18.6.1277
  9. 신수연, & 윤미정. (2004). 고객이 지각하는 국내 제화 브랜드 자산 평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5), 805-818.
  10. 신의철. (2005). 한경가치혁신연구소 홈페이지.
  11. 신지연, & 신수연. (2009). 브랜드 자산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여성 캐릭터 커리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9-69.
  12. 신철호. (2005). 기업 브랜드 자산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통합적 접근. 상품학연구, 24(1), 1-21.
  13. 신철호, & 하수경. (2010). 도시 브랜드 자산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11.
  14. 안광호, 한상만, & 전성률. (2003). 전략적 브랜드 관리. 학현사(서울), pp.12-13.
  15. 오미영, & 전형연. (2006). 채널 브랜드 자산 척도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케이블TV 채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구 한국광고학보), 8(4), pp.128-166.
  16. 이미명. (2003). 신문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조현주, & 최선형. (2009). 패션소비성향에 따른 패션잡화 브랜드 자산평가.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06-106.
  18. Aaker, D.(2003).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이상민, 브랜드앤컴퍼니(주)(서울).
  19.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tion go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20. Ananchart, S., & Sutherland, J. C. (2001). Brand equity measurement: An individual consumer satisfaction-preference approach,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Academy of Advertising Association. Tokyo, Japan.
  21. Anny B. (1996). Intellectual capital: Core asset for the third millennium enterprise. International Thomson Business Press: London, 김광영 역. (1997). 2천년대기업과 인간의 핵심자산, 서울: 사람과 책.
  22. Broniarczyk, S. M., & Joseph, W. A. (1994). The importance of the brand in br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5), 214-228. https://doi.org/10.2307/3152195
  23. Faequhar, P. H. (1989). Managing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 24-33.
  24. Keller, K. L. (1993). Conceptualizng, measurement,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9(1), 1-22.
  25. Keller, K. L. (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ement brand equity(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Inc.
  26. Keller, L. K. (2001). 브랜드 매니지먼트, 서울: 브랜드앤컴퍼니.
  27. Sveily, K. E. (1980). Den nya arsredovisningen: The New Annual Report, Stocjholm: Affarsvarlden, 10-20.
  28. Lassar, W., Mittal, B., & Sharma, A. (1995).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2(4), 11-19. https://doi.org/10.1108/07363769510095270
  29. Lemon, K. N., Rust, R. T., & Zeithaml, V. A. (2001). What drives customer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 20-25.
  30. Edvinsson, L. (1997). Developing intellectual capital at skandia,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10(3), 311-323.
  31. Neslin, S. A. & Robert, W. S. (1983). Using natural experiment to estimate price elasticity: The 1974 sugar shortage and the ready-to-eat cereal market. Journal of Marketing, 47(12), 44-57.
  32. Kaplan, R. S., & Norton, D. P. (1996).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75-85.
  33. Rajendra, K. S., & Allan, D. S. (1991). Brand equity: A perspective on its meaning and measurement. Marketing Science Institute.
  34. Sveiby, K. E. (1988). Den nya arsredovisningen, The New Annual Report.
  35. Thomas, A. S. (1997). Intellectual capital: The new wealth of organization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