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Subjectivity on Consumers' Preference

스포츠 브랜드 광고 모델과 브랜드 인지도, 자기관에 따른 소비자의 호의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08.27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4.01.31

Abstract

As economy is growing and income level is increasing, more people are pursuing relaxation and leisure in their life. As the sports market in Korea is flourishing, sports wear companies have begun to focus marketing their brand by carefully selecting advertising models in order to get more exposure for their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dvertising model types had on the company's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subjectivity on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tudied.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60 men and women in their 20~30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ree-way ANOVA was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n preference. Although there were various advertising model types due to the improvement of media, (brand advertisement employing) the well known celebrity model was more effective for raising consumer brand awareness compared to non-celebrity models.

Keywords

References

  1. "2012/13 Fashion Market Now 2013년 35조6000억 마켓", 자료검색일 2012. 12. 1, http://blog.naver.com/hs963135?Redirect=Log&logNo=20170237478
  2. 김창환 (2003), 패션광고 모델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수진 (2009), 여성소비자들의 화장품 선호도 및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광고소구유형과 광고 모델 유형을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영주 (2010), 제품 관여도, 광고 모델에 따른 소비자 태도차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0), pp. 1658-1670.
  5. 장혜원 (2008), 감성제품에서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인지도 및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전향희 (2003), 소비자의 쇼핑 가치, 브랜드 인지도, 그리고 판촉 유형이 다발가격매김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Singelis, T. M., & Sharkey, W. F. (1995), Culture, self-construal, and embarrassibilit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6, pp. 622-644.
  8. Markus, Kazel & Shinobu Kitayama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April), pp. 224-253. https://doi.org/10.1037/0033-295X.98.2.224
  9. 심정희 (2007),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 행동, 의복 추구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1), pp. 1574-1585.
  10. 이준원 (2002), 스포츠 스타 모델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Friedman, H., & Friedman, L. (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5), pp. 63-71.
  12. 문영숙 (1992), 상품관여도와 Celebrity Endorser 의광고 효과 연구, 광고연구, 1990, pp. 253-281.
  13. 박형도 (2003), 서비스 광고에서의 광고 모델 유형과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의료 보장 보험 광고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송민수 (1999), 유명인의 중복출현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Hovland, C. I., Janis, I. L., & Kelley, H. H. (1953),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6. Triandis, H. C. (1971),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17. McGuire, W. J. (1973), Persuasion, resistance and attitude change, In I. de Sola Pool & Willbur Schramm(eds.), Handbook of Communications, pp. 216-247
  18. Sternthal, B., R. Dholakia, & C. Leavitt (1978), The Persuasiv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Tests of Cognitive Respon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 pp. 252-260; https://doi.org/10.1086/208704
  19. McCracken, G. (1989),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 pp. 310-321. https://doi.org/10.1086/209217
  20. Baker, M. J., & Churchill, G. A. (1977),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4, pp. 212-217
  21. Joseph, W. B. (1982), The credibility of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celebrity endorsers: A social adaptation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7), pp. 15-24
  22. Debevec, K., & Kernan, J. B. (1984), More evidence on the effects of a presenter's physical attractiveness: Som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nsequenc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pp. 127-132
  23. Kahle, L. R., & Homer, P. (1985),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Celebrity Endorser: A Social Adaptation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pp. 954-961
  24. McGuire, W. J. (1985),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G. Lindzey and E. Aronson, eds., NY: Random, pp. 233-346
  25. 정이규, 이호배 (1997), 유명인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 태도와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 연구, 8(2), pp. 167-181.
  26. 김춘곤 (2008), 연예인 광고 모델 속성이 외식브랜드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Kamen, J. M., Azhari, A. C., and Kragh, J. R. (1975). What a Spokesmen Does for a Sponso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5(2), pp. 17-24.
  28. Mowen, J. C., and Brown, S. W. (1980), On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3, pp. 437-441.
  29. 황진선 (2010), 광고 모델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금융기관 광고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성희 (2010), 명품 광고의 모델 전략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제품 유형과 광고 정보량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태형 (2008), 제품관여도와 광고모델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임은미 (2010), 전문가 모델광고가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기능성 화장품 인쇄 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유재하 (2004), 브랜드 자산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감성 관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Percy, L., & J. R, Rossiter (1992), A model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attitude advertising strategies, Psychology & Marketing, a(4), pp. 263-274.
  35. 이영라 (2011), 브랜드 인지도와 집단주의가 소셜 커머스와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호림 (2009), 브랜드의 외재적 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Singeles, T. M., & Sharkey, W. F. (1995), Culture self-construal, and embarrassibilit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6, pp. 622-644.
  38. Triandis, H. C. (1989), The Self and Behaviorism Differing Cultural Context, Psychological Review, 96(July), pp. 506-552. https://doi.org/10.1037/0033-295X.96.3.506
  39. 곽지혜 (2010), 패션 브랜드 확장 시 지배적 브랜드, 브랜드 간 품질차이 그리고 소비자 자기관이 확장 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황윤용 (2002), 소비자의 개인주의, 집단주의 성향이 제품 평가단서 지각과 정보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마케팅저널, 3(4), pp. 59-85.
  41. 윤원아, 김기옥 (2000), 소비자의 집단주의 -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척도 개발, 소비자학연구, 11(30), pp. 1-14.
  42. Kim M. S., & Leung, T. (1997), A Revised Self-Construal Scale, Department of Speech,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Honolulu, HI.
  43. Han, Sang-Pil, & Sharon Shavitt. (1994), Persuasion and Culture: Advertising Appeals in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Societies, Journal of Extprimental Social Psychology, 30(July), pp. 326-350. https://doi.org/10.1006/jesp.1994.1016
  44. 패션채널 (2012), 2012년 스포츠 브랜드 점별 월 매출현황.
  45. Taylor, Valerie A. and Willam O. Bearden (2002), The effect of Price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s: The Moderating Role of Extension Similar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0(Spring), pp. 131-140. https://doi.org/10.1177/03079459994380

Cited by

  1. The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Apparel Brands - vol.66, pp.8,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8.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