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태양열집열기의 성능평가 및 열사이폰관형 집열기의 효율 비교 연구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fficiency Comparison for Solar Collector with Thermosyphon Tube-type

  • 심한섭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 양영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Sim, Han-Sub (Dept. of Automotive Engineering, Gyeongnam Nat'l Univ. of Sci. and Tech.) ;
  • Yang, Young-Joon (Dept. of Automotive Engineering, Gyeongnam Nat'l Univ. of Sci. and Tech.)
  • 투고 : 2014.02.06
  • 심사 : 2014.06.18
  • 발행 : 2014.06.30

초록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특히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분야는 자원의 무한 및 청정성 때문에 그 사용량이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태양열에너지의 이용률이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아직 미미한 실정이지만, 근래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부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태양열집열기에 관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태양열집열기 성능검사 시스템을 구축하고 또한 새로운 형태의 열사이폰관형 태양열집열기를 연구 개발하여 기존의 이중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와 집열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실내 측정의 경우, 열사이폰관형 태양열집열기의 집열효율이 이중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보다 120분 직후 약 15~22% 증가하였다. 또한 실제 태양을 이용한 실외 측정의 경우도 열사이폰관 형 집열기가 이중진공관형 집열기보다 최대 약 46% 높았다.

The use of solar energy among renewable energy tends to increase because of infinity and cleanness of resources. Even though the consumption rate of solar energy in our country is still low, however,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for solar energy have been widely conducted due to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ake the system of performance test for solar collector and to investigate thermal efficiency for solar collector with thermosyphon tube-type. As a result, in case of indoors measurement using halogen lamp, thermal efficiency for solar collector with thermosyphon tube-type was increased about 15~22% after 120 minutes compared with that of solar collector with double evacuated tube-type. In addition, in case of outdoors measurement, thermal efficiency of thermosyphon tube-type was showed maximum about 46% higher than double evacuated tube-typ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참고문헌

  1. 박용정, 김경훈, "수평형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에너지공학회, Vol.15, No. 3, pp. 160-165, 2006.
  2. 박종찬, 이석호, 이충구, "마이크로 세라믹 윅을 사용한 루프 히트파이프의 특성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 Vol. 31, No. 10, pp. 823-831, 2007. https://doi.org/10.3795/KSME-B.2007.31.10.823
  3. 오승진, 현준호, 김남진, 이윤준, 천원기, "비유리식 진공관의 진공도가 집열판의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8, No. 3, pp. 67-73, 2008.
  4. 김철영, 임형봉, 조남권, 곽희열,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의 구리-유리 직접 접합기술", 한국세라믹학회, Vol. 43, No. 9, pp. 544-551, 2006.
  5. 정원복, 정의국, 장혁, 부준홍, 곽희열,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용 히트파이프 개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pp. 80-85, 2005.
  6. 김인환, 허남수, 김만석, 이정언, "PTC와 평판형 태양열집열기의 성능평가 비교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30, No. 6, pp. 28-33, 2010.
  7. 김용, 서태범, 강용혁,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의 열성능 해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3, No. 2, pp. 43-49, 2003.
  8.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태양열",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 시리즈, 북스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