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Method of Leukocyte Motions in a Microvessel

미소혈관 내 백혈구 운동의 검출법

  • Received : 2014.09.07
  • Accepted : 2014.11.02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tection method of the leukocyte motions in a microvessel by using spatiotemporal image analysis. The leukocyte motions that adhere to blood vessel walls can be visualized to move along the blood vessel wall's contours in a sequence of images. In this proposal method, we use the constraint that the leukocytes move along the blood vessel wall's contours and detect the leukocyte motions by using the spatiotemporal image analysis method. The generated spatiotemporal image is processed by a special-purpose orientation-selective filter and then subsequent grouping processes are done. The subsequent grouping processes select and group the leukocyte trace segments among all the segments obtained by simple thresholding and skeletonizing opera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stably detect the leukocyte motions even when multiple leukocyte traces intersect each other.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영상 해석을 이용한 미소혈관내 백혈구 운동의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혈관벽에 부착하는 백혈구 운동은 영상내 혈관벽의 윤곽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 제안 방법에서 백혈구는 혈관벽의 윤곽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구속조건을 사용하며 시공간 영상 해석방법의 사용에 의해 백혈구 운동을 검출한다. 생성된 시공간 영상은 특수한 목적의 방향 선택 필터에 의해 처리되고 후속의 분류처리가 행해진다. 이 후속의 분류처리는 단순한 임계값 및 윤곽선 처리에 의해 획득된 모든 성분중에서 백혈구 궤적 성분을 선택하고 분류한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복수개의 백혈구 흔적이 서로 교차할 때에도 백혈구 운동을 안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G. W. Schmid-schonbein, S. Usami, R. Skalak, and S. Chein, "The interaction of Leukocytes and erythrocytes in capillary and postcapillary vessels", Microvascular Research, Vol.19, pp.45-70, 1980. https://doi.org/10.1016/0026-2862(80)90083-7
  2. U. H. von Andrian, J. D. Chambers, L. M. Mcevoy, R. F. Bargatze, K. E. Arfors, and E. C. Butcher, "Two-step model of leukocyte-endothelial cell interaction in inflammation: distinct rolws for lecam-1 and the leukocyte $\beta_2$ integrins in vivo",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ic Science USA, Vol.88, pp. 7538-7542, 1991. https://doi.org/10.1073/pnas.88.17.7538
  3. S. Wolf, O. Arend, H. Toonen, B. Bertram, F. Jung, and M. Reim, "Retinal capillary blood flow measurement with a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ophthalmology, Vol.98, No.6, pp.996-1000, 1991. https://doi.org/10.1016/S0161-6420(91)32192-4
  4. T. Tanaka, K. Muraoka, and K. Shimizu, "Fluorescein fundus angiography with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Ophthalmology, Vol.98, No.12, pp. 1824-1829, 1991. https://doi.org/10.1016/S0161-6420(91)32043-8
  5. 김응규, 임재원, "시공간 영상 해석을 이용한 미소혈관 내 백혈구 운동의 자동 검출",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13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78-80, 2013.
  6. 김응규, 이훈규, "백혈구 운동 계측을 위한 시공간 영상생성법",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14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5권, 제1호, PP.92-94, 2014.
  7. H. Komatsu, A. Koo, and P. H. Guth, "Leukocyte flow dynamics in the rat river microcirculation", Microvascular Research, Vol.40, pp.1-13, 1990. https://doi.org/10.1016/0026-2862(90)90002-9
  8. 김응규, 임재원, "흉부 X선 영상에 있어서 다중해상도 폐 종류 음영 검출 필터의 성능평가", 한국신호처리. 시스템학회 2011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PP.42-45, 2011.
  9. 이상완, 김대진, 김용수, 변증남, "가버웨이블릿 신경망 기반 적응 표정인식 시스템", 퍼지 및 지능 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7, 2006.
  10. 이욱재, 이대종, 문기영, 전명근, "웨이블릿을 이용한 생체 정보의 강인한 워터마킹 알고리즘",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7권, 제5호, pp.632-639, 2007.
  11. Kiyosei Takasu, Soumen Maiti, Katsumata Akira, Masataka Ihara, "Facile and selective formation of a linear - triquinane skeleton by a rationally designed round trip radical reaction", Tetrahedron Letters, Vol. 42, No.11, pp.2157-2160, 2000.
  12. Norio Baba, Norihiko Ichse, and Toshiyuki Tanaka, "Image Area Extraction of Biological Objects from a Thin Section Image by Statistical Texture Analysis",Electron Microse, Vol.45, pp.298-306, 1996.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jmicro.a023446
  13. 주재호, 강훈, "웨이블릿과 홉필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트레오 정합과 3차원 정보 획득", 중앙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논문집, 제2권, 제2호, pp.1-10, 2000.
  14. Lindeberg Tony, "Detecting salient blob - like image structures and their scales with a scale - space primal: A method for focus-of-at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11, 3. No.3, pp.283-318,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