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Liquidity of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throuth Bauman's Theory of Modernity

바우만(Bauman)의 근대성 이론을 통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유동성 분석

  • Received : 2014.07.16
  • Accepted : 2014.10.29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ocial work can be summarized as multiple complexities and ambiguities not only in ideological but in practical aspects. Although they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an unique feature of social work as one of representative human service professions, the extent of such complexities are now reaching the culmination enough to raise the questions about the very nature of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aims to analyse such ambiguities and complexities around the field of social work in a systematic ways with the theory of liquid modernization, an creative framework for modern society, coined by Zygmunt Bauman who is now considered as one of the leading sociologist and thinker. The study shows clearly that social work in Korea is nowadays entering the phase of liquid modern society and specific features of liquidity of modern society such as consumerism, privatization, corruption of publicity etc are founded in the areas of social work. To make it worse, social work are thinking about the anachronical response to this flow of liquidity by selecting the strategies useful in solid modern era, not in the liquid one. In this context, the study suggests that social work practice have to prepare to adequate measures to secure its own autonomy and sustain genuine identification from the ruthless melting power of liquid modern society.

최근 한국사회복지실천에 등장한 복잡하고 혼돈스러운 현상들이 기존의 이론이나 관점으로 설명되지 못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과 본질에 관한 의문과 더불어 사회복지실천이 시대적 변화에 적절히 조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과 반성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Bauman의 유동적 근대성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사회복지실천에서도 급속한 변화와 시대적 복합성으로 인한 혼란, 빈곤에 대한 비중 감소와 소비논리의 팽배, 영역의 세분화와 문제해결의 개인화, 관료제와 관리주의의 강화에 따른 실천성의 약화, 사회복지 정체성과 윤리성에 대한 요청 등 유동적 근대사회 특유의 현상들이 분명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대응은 유동적 사회에 부합하는 수단이 아니라 기존의 고체 근대 시대의 전략과 수단을 더욱 강화하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사회복지실천이 당면하고 있는 유동화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가의 자율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