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Vitalization Methods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강정아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4.11.25
  • Accepted : 2014.12.18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for local libraries on how to collect folk culture content and provide services in cooperation with public libraries across the country, with a focus on public libraries, in implementing the government policy to collect, classify, store, research, and utilize folk culture content. Results of the study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surveys, case-studie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dvantage of higher accessibility than other institutions in charge of folk culture content provision, libraries should take a role to collect, store, and utilize folk culture content for public purpose of improving knowledge and interests of residents and storing local history. Second, folk culture content collection, enhanced content-creating, and user-oriented services reflecting various demands should be expanded, seeking ways to improve management conditions of folk culture content based on collaboration network between libraries, along with drawing interests and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Thirdly, libraries should provide expanded services of collection, creation, use of folk culture content with a focus on local culture through regular and systematic study and building of folk culture content.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향토문화콘텐츠 수집, 분류, 보관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정부정책 수행 시 도서관이 어떤 방법으로 향토문화콘텐츠를 확보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협력하여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설문조사, 사례조사 등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은 향토문화콘텐츠를 제공하는 타 기관 등과 달리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높다. 따라서 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지식 및 관심 강화, 지역의 역사성 보존 등의 공공적 역할을 위해 지역의 향토문화콘텐츠를 수집 보존 활용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의 공공성을 기반으로 지자체 및 중앙정부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 유도 그리고 타 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에 의한 향토문화콘텐츠 관리여건 개선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 향토문화콘텐츠 수집, 콘텐츠화 강화 및 다양한 요구를 포괄하는 이용자 중심 도서관 서비스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셋째, 향토문화콘텐츠에 대한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구축을 통해 지역문화를 중심으로 한 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수집, 창조, 활용의 서비스 확대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위상 및 존재감 향상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역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확대를 통한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갑. 2012. 21세기 정보화시대 '인터넷 향토사' 편찬에 대하여. 향토사연구, 12: 75-81. (Kang, Jingap. 2012. "About compilation of 'Internet local history book'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The Journal of Local History, 12: 75-81.)
  2. 경북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2009. 경북지역 문화콘텐츠산업역량 분석과 특성화 전략. 경북: 경북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Gyeongbuk Teachnopark Policy & Planning Agency. 2009.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strategy of Gyeongbuk area cultural content industry competency. Gyeongbuk : Gyeongbuk Teachnopark Policy & Planning Agency.)
  3. 권영옥, 김백희. 2007. 향토문화 분류체계와 전자대전 항목구성체계의 접합 방안. 인문콘텐츠, 9: 11-37. (Kweon, Yeong-yok and Kim, Baik-hui. 2007. "Integration of Local Culture Classification System Into the Entry Structure of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Korea Humanities Content, (9): 11-37.)
  4. 김덕묵. 2011. 문화지방화시대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과 향토문화의 기록.보존.활용 방안: 광명시의 동제를 중심으로. 남북문화예술연구, 13: 205-253. (Kim, Duk-Muk. 2011. "Role of Local Governments for Cultural Localization, and A Suggestion for Record,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Local Culture -Focusing on Dongje in Gwangmyeong City-." Civil Culture and Art Studies, 13: 205-253.)
  5. 김수영, 임준근. 2009.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를 위한 XML 기반의 아카이브시스템에 관한 연구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5: 147-173. (Kim, Su-Young and Lim, Jun-Keun. 2009. "A Study for Digital Contents in XML based Archive System." Korea Hum anities Content, 15: 147-173.)
  6. 김수영. 2012. 모바일 웹 서비스에 기반한 문화콘텐츠의 활용-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3): 31-59. (Kim, Su-Young. 2012.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e Contents Based on Mobile Web Service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3): 31-59.)
  7. 김양식. 2011. 충북 향토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 발전방안. 충북lssue&Trend, 6: 96-106. (Kim, Yangsik. 2011. "Regional development plan utilizing local cultural resources of Chungbuk province." Chungbuklssue & Trend, 1: 96-106.)
  8. 김영순, 김정은. 2006.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문화 교육방안 연구. 인문콘텐츠, 7: 7-22. (Kim, Young-Soon and Kim, Jung-Eun. 2006. "A Study on the Regional Culture Education through Culture Contents." Korea Humanities Content, 7: 7-22.)
  9. 김창겸, 임동주. 2007. 향토문화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형식 및 텍스트 집필. 인문콘텐츠, 9: 65-90. (Kim, Chang-Kyum and Lim, Dong-ju. 2007. "Metadata Style and Article Authoring for Local Culture Content Project." Korea Humanities Content, 9: 65-90.)
  10. 김현호, 한표환. 2004. 지역발전을 위한 향토자원의 개발 및 활용방안.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Kim Hyeonho and Han, Pyohwan. 2004. Strategies for Utilizing Territorial Assets for Regional Development. Seoul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KRILA).)
  11. 농림수산식품부. 2010. 향토산업육성사업시행지침.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2010 Enforcement Guidelines of Loc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s. Sej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rairs.)
  12. 류웅재, 윤나리. 2009.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 경기개발연구원. (Ryu, Ungjae and Yun, Nari. 2009.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Gyeonggi-do's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Gyeongg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3.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인용 2014. 10. 6].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ited 2014.10.06].)
  14. 민인철, 이난경. 2010. 도시브랜드 제고 전략: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2010 지역문화관광포럼 세미나발표자료집. 2010년 11월 25-26일. 충남: 롯데부여리조트, 1-165. (Min, Incheol and Lee, Nangyeong. 2010.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Brand Imag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2010 Regional Culture-Tourism Forums, 1-165.)
  15. 삼성경제연구소. 2004. 문화자원 개발과 지역활성화 전략.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4.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and regional revitalization strategy. Seou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6. 신광철, 장해라. 2006. 영상 콘텐츠 속의 지역공간과 지역문화. 인문콘텐츠, 8: 83-107. (Shin, Kwang-Cheol and Jang, Hae-Ra. 2006. "Locality and Local Culture in Visual Image Contents." Korea Humanities Content, 8: 83-107.)
  17. 양상숙. 1997. 고문서, 고서, 향토문화콘텐츠의 수집 및 정리에 대한 지역도서관의 역할- 제주지역 향토문화콘텐츠의 수집을 중심으로. 제35회 전국도서관대회 주제발표논문집. (Yang, Sangsuk. 1997. "The roles of the local libraries in terms of collecting and organizaing of archive material, old book, and local cultural content: Focusing on the collection of Jeju local cultural content." 35th KLA general Conference.)
  18. 양상숙. 1999. 제주도 지역도서관의 향토문화콘텐츠개발에 관한 연구: 제주도와 오키나와현 지역 도서관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전공. (Yang, Sangsuk. 1999.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Local Materials in Cheju Community Libreries : Compared with that of Okinawa Community Libraries. M. A.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19. 오재환. 2010. 지역문화자원의 활용 방안과 과제. 2010 지역문화관광포럼 세미나발표자료집. 2010년 11월 25-26일, 충남: 롯데리조트, 11-24. (Oh, Jaehwan. 2010. "Utilization and project of local cultural resources." 2010 Regional Culture-Tourism Forums, 11-24.)
  20. 이남희. 2000. 향토사자료의 전산화 과정과 그 효용성. 향토사연구, 12: 57-68. (Lee, Nam-hee. 2000. "Computerization process and its effectiveness of local history materials." The Journal of Local History, 12: 57-68.)
  21. 이원태. 2010. 지역문화자원의 보존과 개발. 2010 지역문화관광포럼 세미나발표자료집. 2010년 11월 25-26일, 충남: 롯데리조트, 25-36. (Lee, Taekjun. 1970. "Collection preserv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 Library, 25(3): 35)
  22. 이윤선. 2009. 전통문화유산의 지역문화콘텐츠 활용에 대한 고찰: 호남지역의 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49(1): 333-378. (Lee, Yoon-Sun. 2009. "A Study on the Use of Contents of Local Cultural Heritage - Focus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Honam Region." The Korean Folklore, 49(1): 333-378.)
  23. 이종일. 2005. [제50회 신인상 당선자 발표: 수필]도깨비도 돈이 된다 - 향토문화 개발이 문화수도 경쟁력. 문학춘추, 52: 180-188. (Lee, Jongil. 2005. "[Announcing of thhe 50th Rookie of the Year award : Essay] The imp can be also money. - Local cultural development is also the competitiveness culture capital." The Journal of Home of culture and arts, 52: 180-188.)
  24. 이택준. 1970. 향토문화콘텐츠의 수집보존. 도서관, 25(3): 35. (Lee, Taekjun. 1970. "Collection preserv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 Library, 25(3): 35)
  25. 장경호. 1991. 구미도서관 향토자료실을 중심으로. 1991년 봄철 공공도서관 세미나. 서울: 공공도서관협회. (Jang, Gyeongho. 1991. "Forcusing on local resources room of Gumi Libraries." 1991 Spring Seminar about Public Libraries. Seoul: Korean Public Library Association.)
  26.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의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71-292. (Chang, Woo-Kwon. 2009.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271-292.)
  27. 전영래. 1977. 향토문화콘텐츠 보존의 의의와 방안. 도서관. (Jeon, Yeongrae. 1977.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 Library.)
  28. 정주연. 1998. 향토문화콘텐츠의 효율적 관리방안: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eong, Joo Yeon. 1998.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the local material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ublic libraries in Pusan.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9. 정주연. 2007. 디지털환경에서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캐릭터 온라인 테마파크 컨셉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연구, 7(3): 77-85. (Jung, Joo Youn.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culture contents for the local reinvigoration under the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Design, 7(3): 77-85.)
  30. 정현태. 1991. 공공도서관의 향토자료개발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eong, Joo Yeon. 1998.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the local material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ublic libraries in Pusan.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31. 최윤상, 김종수, 정해동. 2013. 지방정부의 향토자원 사업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3(1): 149-165. (Choi, Yunsang, Kim, Jongsu and Jung, Haedong. 2013.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Strategie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Resources."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3(1): 149-165.)
  32. 최종호. 2008.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과 문화콘텐츠 활용: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전통문화논총, 6: 279-298. (Choe, Jong Ho. 2008. "A Study on Developing and Utilizing Cultural Contents of Gwang Ju Metro-city." The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6: 279-298.)
  33. Allery, Linda. 2000. "Popularising local history Services: New Century, new ideas." Australas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13(3): 119-125.
  34. Field, Roy. 1987. Publications and Products. 1st ed. A Manual of Local Studies Librarianship. London: Gower, Gower Publishing Ltd.
  35. Llwyd, Rheinallt and Evans, Geraint. 1987. Oral history recording. 1st ed. A Manual of Local Studies Librarianship. London: Gower, Gower Publishing Ltd.
  36. Nurse, Bernard. 1991. Prints, drawings and watercolours. 2nd ed. Local Studies Collections: A Manual. London: Gower, Gower Publishing Ltd.
  37. Sturges, Pual and Bapty, Richard. 1991. An international view of local studies librarianship. 2nd ed. Local Studies Collections : A Manual. London: Gower, Gower Publishing Ltd.
  38. Westmancoat, John. 1991. Newspapers and Periodicals. 2nd ed. Local Studies Collections: A Manual. London: Gower Publishing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