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Mat Prepared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거대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생기반재의 특성

  • Kwon, Gu-Joong (College of Life Science & Biotechnology, Dongguk University) ;
  • Kim, Eun-Ji (College of Life Science & Biotechnology, Dongguk University) ;
  • Park, Hee-Jun (College of Hume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Dae-Young (College of Life Science & Biotechnology, Dongguk University)
  • 권구중 (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 대학) ;
  • 김은지 (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 대학) ;
  • 박희준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 김대영 (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 대학)
  • Received : 2012.09.13
  • Accepted : 2013.12.24
  • Published : 2014.01.25

Abstract

The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mat prepared from miscanthus, waste wood chip, perlite and pulp slurry was investigated. The pore rate was increased with amount of pulp slurry. The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miscanthus in the condition mixed with each other raw materials. With the miscanthus amount, the soil hardness was increased. The peel strength decreased with the mount of miscanthus amount in all case. Hydrogen ion concentration (pH) was the overall alkaline. The MOR of miscanthus based vegetation mat was decreased with the amount miscanthust.

거대억새에 폐목재 칩과 펄프슬러리를 첨가하여 제작한 식생기반재의 특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공극률은 펄프슬러리의 첨가량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지만, 목재칩과 펄라이트 첨가량 증가와 함께 다소 감소하였다. 투수계수는 각 다른 원료를 이용하여 혼합한 조건에서 거대억새 첨가량이 적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토양경도는 거대억새 첨가비율이 낮을수록, 펄프슬러리, 목재 칩, 펄라이트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박리강도는 모든 조건에서 거대억새 첨가량의 적을수록 낮았다. 수소이온농도(pH)는 전반적으로 약알칼리성으로 나타났다. 휨파괴계수는 전체적으로 각 조건별로 거대억새의 첨가율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영, 김미미. 2010. 폐목질자원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제조조건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38(3): 165-169.
  2. 김철현, 김강재, 엄태진. 2008. 폐지복합재료의 물성. 펄프, 종이기술 40(3): 48-52.
  3. 남유경, 이진희, 박용석. 2012. 식생매트 조건이 상록성 Sedum 6품종의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 연구 46(2): 35-42.
  4. 농촌진흥청. 2010. 식량작물과학 연구사업연보. 국립식량과학원.
  5. 신문식. 2002. 환경공생시대의 도시녹화기술-옥상.벽면녹화기술가이드. 건축시대.
  6. 박철수, 이재준, 황경희. 1996. 아파트단지내 녹화공간 확대를 위한 한국과 일본의 인공지반 사례조사 비교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1): 1149-1163.
  7. 이동근, 이준우, 심상렬. 2003.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6(2): 78-88.
  8. 이은희, 강규이, 신상희, 남미아, 이광우. 2005. 옥상녹화용 식생매트에 적합한 토양과 토심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4): 12-22.
  9. 이종석, 김지연, 윤소정. 2007. 삽목을 이용한 녹화용 sedum 매트의 관수 간격에 따른 생육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2): 54-60.
  10. 이필우, 손정일. 1995. 코팅지와 신문폐지를 활용한 목질복합재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 6(2): 11-19.
  11. 이태주, 고승태, 강광호, 김형진. 2009. 산업용지 제조용 압축폐지 베일의 분석 및 섬유특성 평가. 펄프제지기술 41(4): 82-90.
  12. 오승원, 박희준, 황정우. 2012. 거대억새 파티클로 제조된 보드의 물성. 농업생명과학연구 46(2): 43-48.
  13. 平野英樹. 1991. 最新斜面.土留め技術便, 産業技術サ一ビスンタ一.

Cited by

  1. Spring Green-up and Winter Leaf Discoloration of Three Ornamental Grasses (Gramineae spp.) vol.4, pp.1, 2015, https://doi.org/10.5660/WTS.2015.4.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