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Types of Masculinity Represented in TV and Its Limitations : Focusing on Weekend Variety Programs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과 그 한계 -주말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김미라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Received : 2013.12.02
  • Accepted : 2014.01.08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based on the premise that gender roles and identity is a social construct, to show how TV portrayal of the male has changed through the years with changes in time and society, from the traditional depic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and ideal manhood as support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 nar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popular variety shows "Dad, Where Are We Going?" and "Superman Return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V shows created a new type of masculinity by centering the narrative on the traditionally female roles of child rearing and housekeeping, and recreating the traditional strict and authoritative father figure into a non-authoritative and emotionally expressive father. However, as 'child rearing' and 'housekeeping' is expressed as 'play',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actual daily lives and hardship of women is excluded from the narrative.

이 연구는 성(gender) 역할과 정체성 역시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전제하에 그동안 가부장제가 지지하는 '지배적인(hegemonic) 남성성', 이상적인 '남성다움(manhood)'을 재현해 왔던 TV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이를 달리 재현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시청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주말 예능프로그램 <아빠! 어디 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대한 서사분석(narr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프로그램 모두 전통적으로 여성의 역할로 규정돼온 '육아'와 '가사'를 서사의 중심에 놓고 기존의 권위적이고 엄격한 아버지와 달리 탈권위적이고 감정표현에 익숙한 아버지를 이상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새로운 남성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남성들의 '육아'와 '가사'가 일종의 '놀이'로 구현됨으로써 이로 인한 여성들의 억압된 일상과 고통은 배제되는 한계가 드러났다.

Keywords

References

  1. S. Craig, Considering men and the media: Introduction, In S. Craig(Ed.), Men, masculinity, and the media, Newbury Park, CA: Sage. pp.1-7, 1992.
  2. J. R. Macnamara, Media and male identity: The making and remaking of men, New York, NY: Palgrave-Macmillan, 2006.
  3. 최현주,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성역할의 전도(reverse)와 그 함의: 남성 전업주부 드라마<불량주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4호, pp.401-438, 2008.
  4. R. W. Connell, Teaching the boys: New research on masculinity, and gender strategies for schools, In Barbara Balliet & Patricia McDaniel(Eds.), Women, Culture and Society: A Reader, Dubuque, IA: Kendall/Hunt Publishing, pp.151-173, 1998.
  5. M. Vavrus, "Domesticating patriarchy: Hegemonic masculinity and television's 'Mr. Mom',"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19, No.3, pp.352-375, 2002. https://doi.org/10.1080/07393180216564
  6. M. Consalvo, "The monsters next door: Media constructions of boys and masculinity," Feminist Media Studies, Vol.3, No.1, pp.27-45, 2003. https://doi.org/10.1080/1468077032000080112
  7. R. Hanke, "Theorizing masculinity with/in the media," Communication Theory, Vol.8, No.2, pp.183-203, 1998. https://doi.org/10.1111/j.1468-2885.1998.tb00217.x
  8. G. L. Mosse, The image of man, Lodon: Oxford Univ. Press, 이광조 역, 남자의 이미지, 서울: 문예출판사, 1996/2004.
  9. 황경아, 홍지아, "TV매체에 재현된 한국사회의 모성실천: 리얼 다큐멘터리 <수퍼맘 다이어리>의 슈퍼맘 노릇하기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9호, pp.213-262, 2001.
  10. 조한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서울: 문학과 지성, 1993.
  11. 정유성, 따로와 끼리-남성 지배문화 벗기기, 서울: 책세상, 2003.
  12. 김수아, 최서영, "남성 정체성(들)의 재생산과 사이버 공간", 미디어, 젠더 & 문화, 제8호, pp.5-41.
  13. M. White, 이데올로기 분석과 텔레비전, In R. Allen(Ed), Channels of Discourse: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김훈순 역,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서울: 나남, pp.185-230, 1987/1994.
  14. N. Signorielli and A. Bacue, "Recognition and Respect: A content analysis of prime-time television characters across there decade," Sex Roles, Vol.40, pp.527-544, 1999. https://doi.org/10.1023/A:1018883912900
  15. S. Craig, Considering men and the media: Introduction, In S. Craig(Ed.), Men, masculinity, and the media, Newbury Park, CA: Sage. p.3, 1992.
  16. 김명혜, 김훈순, "여성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38호, pp.203-248, 1996.
  17. S. M. Hoover and C. D. Coats, "The Media and Male Identities: Audience Research in Media, Religion, and Masculinit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1, No.5, pp.877-895, 2011. https://doi.org/10.1111/j.1460-2466.2011.01583.x
  18. S. Nixon, Exhibiting masculinity, In S. Hall(Ed.),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 - tations and signifying practice, London, England: Sage, pp.291-336, 1997.
  19. J. Beynon, Masculinities and Culture, Philadelphia, Pe: Open University, 2002.
  20. 백선기, 김남일, "한국 대중가요의 '남성성' 변화추이와 이데올로기적 의미 변천 연구: 김건모 노래가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06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제문, pp.360-376, 2006.
  21. 황혜진, "새로운 남성 정체성의 모색, 가능성과 한계: <라디오 스타>와 <즐거운 인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131-140,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131
  22.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서울: 민음사, 1978/1999.
  23. 김훈순, "텔레비전 서사연구의 메타분석", 방송연구, pp.167-197, 2004년 겨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