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atch Fluctu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Eastern Yellow Sea

황해 동부해역 참홍어의 지리적 분포특성과 어획량 변동

  • 장명훈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조현수 (군산대학교 해양생산학과) ;
  • 권대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차병열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황자혜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한경남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Received : 2014.08.25
  • Accepted : 2014.12.2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Mottled skates, Beringraja pulchra, mainly found in the Yellow Sea were caught by otter trawl at 30 stations from 2002 to 2013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ecology of the fish in the eastern Yellow Sea. A total of 442 individuals of mottled skate were caught at the 112 hauls of the total 892 hauls. The fish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entire survey area in spring and autumn, and mainly caught in the northern offshore in summer and in the southern part in winter. The under-yearlings of the mottled skate were mainly caught in the offshore in spring and autumn. The mottled skates were found at the temperature ranges of $3.8{\sim}14.5^{\circ}C$, and the salinity of 31.2~34.2. The catch data of the fish suggested that water temperature be a critical factor for the distribution with the optimal ranges of $5{\sim}14^{\circ}C$. Salinity and water depth were not critical as much as the water temperature for the distribution of the mottled skates in the Yellow Sea. Also, the annual fluctuations of the fish catch were reviewed using the catch data from korea fisheries cooperative and national statistics from 1991 to 2009.

황해에서 주로 어획되는 참홍어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13년까지 황해 동부 해역에 30개 정점을 선정하여 오터트롤을 이용하여 참홍어를 채집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92번의 트롤 예망 중에서 112회에 442개체의 참홍어가 채집되었다. 참홍어는 봄과 가을에 전체 조사해역에 넓게 분포하였으나, 여름에 북부 외해 일부 해역과 겨울의 남부 외해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당년생의 참홍어는 봄과 가을에 조사해역의 연안역보다 외해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참홍어는 조사해역의 수온 $3.8{\sim}14.5^{\circ}C$, 염분 31.2~34.2 범위에서 분포하였으며, 수온은 참홍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적정 서식 수온은 $5{\sim}14^{\circ}C$이며 조사해역에서 수심과 염분은 참홍어 분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참홍어의 연도별 생산량은 어획생산변동 통계와 수협의 판매 자료를 이용하여 다시 산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10. 연근해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예문사, 384pp.
  2.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74p.
  3. 연인자.홍승현.박영철.이정식.김성태.차형기. 1997. 황해 눈가오리, Raja pulchra Liu의 생식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53: 23-26.
  4. 정충훈. 1999. 한국산 홍어류 (판새아강, 홍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현황과 국명검토. 한국어류학회지, 11: 198-210.
  5. 조현수.강언종.조영록.서형철.임양재.황학진. 2010. 한국산 참홍어(Raja pulchra)의 다배성 난각 특징과 자어의 형태. 한국어류학회지, 22: 217-224.
  6. 조현수.황학진.권대현.정경숙.최광호.차병열.임양재. 2011. 흑산도 근해연승어업의 참홍어 (Raja pulchra) 어획 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7: 403-410.
  7. 조현수.김기현.김민지.김현정.임양재.권대현.허민수. 김진수. 2012. 어획 지역, 성별 및 중량에 따른 국내산 참홍어(Raja pulchra)의 관능적 특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5: 619-626.
  8. 조현수.김기현.김민지.김현정.권대현.임양재.허민수. 김진수. 2013. 지역, 성별, 및 중량에 따른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맛 및 영양 성분 비교. 한국수산과학회지, 46: 129-138.
  9. Antonenko, D.V., S.F. Solomatov, A.A. Balanov, S.T. Kim and P.V. Kalchugin. 2011. Occurrence of Skate Raja pulchra (Rajidae, Rajiformes) in Russian waters of the Sea of Japan. J. Ichthyol., 51: 426-431. https://doi.org/10.1134/S0032945211040011
  10. Ishihara, H. 1990. The skates and rays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an overview of their fisheries, utilization and classification. NOAA Tech. Rep. NMFS 90: 485-497.
  11. Ishihara, H., M. Treloar, P.H.F. Bor, H. Senou and C.H. Jeong. 2012. The comparative morphology of skate egg capsules (Chondrichthys: Elasmobranchii: Ragiformes). Bull. Kanagawa prefect. Mus. (Nat. Sci.), 41: 9-25.
  12. Seung, Y.H. 1987. A summer circulation inferred from the density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astern Yellow Sea. J. Oceanolgr. Soc. Korea, 22: 63-70.
  13. Seung, Y.H., J.H. Chung and Y.C. Park. 1990. Oceanographic studies re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Physical aspects. J. Oceanolgr. Soc. Korea, 25: 8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