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Effective Combination of Elementary Math and Game

초등수학과 게임의 효과적인 접목을 위한 연구

  • 김계원 (서울예술대학교 영상학부 디지털아트전공)
  • Received : 2014.10.28
  • Accepted : 2014.12.03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volume of world market for serious game in year 2015 is expected to be about 9.6 trillion, and the volume of educational serious game market is expected to surpass half of the whole serious game market. In Korea, the development of game for educational purpose has dominated around the education enterprises since late 90s. In 2008, 'Serious Game Forum' was founded l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ith experts from many fields in the society and there were progressing of making policies and plans for potential development of the serious game industry, but the effects were not successful than expected. In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commercialization policy of digital textbook by 2015 and the serious game for educational purpose got attention again. Then, the serious game market became more vigorous with the dispersion of smart devices.13) As a result, the serious games on the smart devices or interlocking between the online and smart devices became an important issue in development rather than the online only serious games. Math field has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through export in the educational serious game market which takes more than half of the serious game market. Therefore, developing serious game for math education is a good area to raise competitivenes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game industries. Moreover, it has no received preferences from students and parents although it has high potential for positive change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e reason is that students recognize it as educational content rather than a game and they avoid it, while parents recognize it as game but not an education. This phenomenon happens because the game elements and educational elements are not properly mixed but focused only on education or emphasized only the fun factors of game when it was develop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direction of developing serious games effectively combining with elementary math for elementary students to get interested in math while playing games. The research will analyze the current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find contents which may be combined with the game genre that elementary students enjoy playing these days. This research received advice from serious game developers and math education expert group to reflect the inclin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spond to the demands from par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ggested a direction of developing serious games for effective math education.

2015년도 기능성게임 세계시장 규모는 약 9.6조 원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교육용 기능성 게임시장 규모는 전체 기능성게임시장 규모의 절반이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90년대 말부터 교육업체를 중심으로 교육목적의 게임개발이 주를 이루었고,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 주도로 사회 각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능성게임포럼'이 발족되면서 기능성게임의 잠재적 산업 발전을 위한 본격적인 정책 및 계획수립 작업이 진행되었으나, 기대만큼 크게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2012년에 들어서면서 교육과학기술부가 2015년까지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방침을 발표하여 교육목적의 기능성게임이 재조명 받기 시작하였고, 기능성게임 시장이 스마트 단말기의 보급 확산과 맞물려 더욱 활기를 띄기 시작하고 있다.1) 스마트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온라인 중심의 기능성게임에서 스마트 단말기 또는 온라인과 스마트 단말기와의 연동 형태의 기능성게임으로의 개발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기능성게임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기능성 게임 시장 중 수출을 통한 해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분야는 수학분야로 수학교육을 위한 기능성게임 개발은 국내외적으로 게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좋은 분야이다. 또한 개인과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에 가능성이 높은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과 부모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게임으로 인식하지 않고 교육용 콘텐츠로 인식하여 기피하고, 부모들은 교육으로 인식하지 않고 게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게임적인 요소와 교육적인 요소가 조화롭게 융합되지 못하고, 너무 교육에만 초점을 맞춰서 개발되거나, 게임적인 요소인 재미적요소만을 부각시켜 개발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초등수학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초등학생들이 즐겨하는 게임장르에 접목 시킬 수 있는 방법 및 내용을 찾아 초등학생들이 게임을 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낄 있도록 효과적으로 초등수학을 접목시킨 기능게임 개발의 방향 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능성 게임 개발사와 수학교육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아 초등학생들의 성향을 반영하고, 부모들의 요구 및 교육기관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수학교육을 위한 기능성 게임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수, 김나영, 조성현, 게임의 긍정적 역할과 인식변화를 위한 기능성게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4권, 제1호, pp.39-47, 2014.
  2. 박형성, 백영균, 교육용 게임에서 맥락의 의미 고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9권, 제4호. 2009.
  3. 서동조, 김계원, 최훈, 최은영, 창의적 온라인 수학/과학 기능성게임 개발 및 대회 운영 전략수립 연구, 국립과천과학관, 2012.
  4. 조은순, 초등 수학교과의 게임형 콘텐츠 설계 및 개발 사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Vol.4 No.1, 2006.
  5. 이혁규, 이선경, 김향정, 박형빈,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초등교육연구, 제25집, 4호, 2012.
  6. 이동은,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재미와 학습 요소 결합 양상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11.
  7. 위정현, 송인수, 학습 도구로서 G러닝 콘텐츠의 활용과 학습효과 분석-초등학교 수학교과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1권, 제3, 2011.
  8. 위정현, 원은석, G러닝 수학 수업이 미국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수학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2012. https://doi.org/10.7583/JKGS.2012.12.1.079
  9. 최훈, 백예진, 서동조, 교육 기능성게임대회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2012
  10. 게임백서, 2013 대한민국게임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11. 이승훈, 기능성게임 현황 및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보고서, 2013.
  12. 백영균, 게임 기반학습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6.
  13. 전라남도교육청,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교과 교육과정 개정 주요내용, 2011
  14. C. C. Abt, Serious Games: The Art and Science of Games that Simulate Life. New York: Viking Press, 1970.
  15.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부분 수정 고시,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