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garding works that express objects realistically in painting, Gustave Courbet advocated realism in the mid-19th century, France, resisting the then academist style of painting, and works in realist style were produced in earnest by painters such as H. Daumier or Jean F. Millet, who went along with him. Later, realism h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general literature, including fine art, which has had profound impacts on works of art and literary works. In comics, too, in the same historical context as a form of painting, realistic comics began to be produced by painters or cartoonists at the time. These realism comics are those dealing with stories based on facts, and in terms of contents, objective descrip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social realities of the tim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but it could not be concluded that in their visual aspect, that is, that of expressing the objects, they were realistic. In the meantime, a graphic novel was born, which was the intermediate form between comics and novels aroun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ince the 1980s. Graphic novels appeared in forms and styles with strong literary and artistic values in the comics market in the U.S. which was full of the superhero genre (comics around heroes), and their major characteristics are very realistic expressions in terms of contents and visual aspect. They are complex and delicate and even have artistic, literary values as if readers read a fiction or literary work of which its narrative structures or pictures are produced with graphics.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tic expressions shown in graphic novel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works of comics. It is noteworthy that they began to be acknowledged as works of art like painting or illustration, thanks to their features of strongly individual auteurist painting style, a fairly high degree of completion of the works, and creative and experimental expression techniques or methods, instead of following the fashion of the times.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 Hollywood blockbuster films have been released one after another and become box office hits,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and demand for the original graphic novels. Accordingly, many original graphic novels have been translated and started to be sold, and keeping pace with this global flow of fashion, some writers in Korea began to produce works of graphic novels. However, to look into the domestic works produced claiming to be graphic novels,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ir format and authenticity.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d on Ga-ya Kwon's Namhansanseong, on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Korean style graphic novels, and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focusing on the visual aspect of realistic expressions of objects. It i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an opportunity to seek for ways so that Korean style graphic novel can be further developed as a genre of comics, with competitiveness by looking back on the identity and present state of domestic graphic novels and developing and applying Korea's original subject matter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graphic novels in the U.S., Europe or Japan through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desired that they will be a new energizer for the stagnant domestic comics market.
회화에 있어서 대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G.쿠르베가 당시의 아카데미즘 화풍에 반항하면서 사실주의를 주창하였고 이에 동조하는 H.도미에나 F.밀레와 같은 화가들에 의해 사실주의풍의 작품들이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후 사실주의는 미술을 비롯해서 문학영역 전반에까지 확대되었고 예술작품과 문학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만화 또한 회화의 한 형식으로서 그 역사적 맥락을 같이하며 사실주의적인 만화가 당시의 화가나 만화가들에 의해 제작되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실주의 만화(Realism Comics)는 사실에 기초해서 이야기를 다룬 만화로서 내용적으로는 당대의 사회적 현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재현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중의 하나였지만 시각적 측면 즉, 대상의 표현 면에서는 반드시 사실적이라고 단정 지어 말할 수는 없었다. 그러던 중 1980년대 이후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만화와 소설의 중간 형식을 띈 그래픽 노블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래픽 노블은 슈퍼 히어로물이 넘쳐나던 미국 만화시장에 문학성과 예술성이 강한 형식과 양식을 갖추고 나타났으며, 그 주요 특징으로는 내용적으로나 시각적으로나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그 서사구조나 그림들이 그래픽으로 연출된 소설이나 문학작품을 보는 듯 복잡하고 섬세하며 예술적 작품성까지 지니고 있다. 그래픽 노블에서 보여 지는 사실적 표현의 특징들은 이전의 만화작품과 비교하여 볼 때 상당히 큰 차이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시대의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개성이 강한 작가주의적 그림 스타일의 특색을 보이며, 작품의 완성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표현기법이나 방식들로 인해 회화나 일러스트와 같이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최근 국내에서도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가 잇따라 개봉되어 흥행에 성공하면서부터 원작 그래픽 노블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많은 원작 그래픽 노블이 번역되어 판매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과 유행에 발맞추어 한국의 일부 작가들이 그래픽 노블류의 작품들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래픽 노블을 표방하며 제작되어진 국내 작품들을 살펴보면 그 형식과 정통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적 그래픽 노블의 대표적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권가야의 <남한산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특히, 대상의 사실적 표현이라는 시각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그 특징들과 유사성 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그래픽 노블에 대한 정체성과 현주소를 되짚어보고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일본의 그래픽 노블과는 차별화된 우리만의 독창적인 소재를 개발, 활용함으로써 한국적 그래픽 노블이 경쟁력을 갖춘 만화의 한 장르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더 나아가 침체되어 있는 국내 만화시장에 새로운 활력소가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