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거 공간에서의 행위별 주요 시점 및 작업면 측정점 기준

Major Behavior-Specific Points of Time in Space and Criteria for Measurement Sites on Work Surface

  • 투고 : 2014.07.30
  • 심사 : 2014.11.10
  • 발행 : 2014.12.30

초록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ose in their 20s to 30s and 40s to 50s. While they were engaging in particular behaviors in each living space, the visual points were analyzed and the distance of working surface was measu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help improve the evaluation tool as to photometric quantitie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 of gaze of each age group depending on the behavior in each space was not much different. The following were the main factors: the working space, the main object of their behavior, and the visual point of their behavior. Second, assessing the major visual points we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s on eye level they varied depending on the living environment and roles of the subjects. Third, assessing the major visual points varied depending on the color, furniture type, and furniture size; it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behavior in each living space.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more studies on visual points depending on gender and roles should be conducted. Second, more evaluation variables should be developed, given the average body size of Korean males and females, for more systematic studi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실내LED시스템조명 설계를 위한 광학, 감성, 에너지 통합 평가기술 및 수요자 맞춤형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참고문헌

  1. 박지영, 이진숙, 정찬웅, 서은지 (2013) 침실 공간에서의 행위별 주요 시점 분석 및 조명방식에 대한 선호도 연구. 한국감성과학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 박지영, 이진숙, 정찬웅 (2013). 침실 조명환경 평가구조 및 평가어휘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3. 박지영, 유승원, 정찬웅, 이진숙 (2013). 동.서양의 조명 감성차이 비교 연구. 한국색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4. 주근탁, 최안섭 (2006). 공동주택의 조도측정 및 평균조도 산출 방법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0권 제5호 2006. 6, p.p. 1-8
  5. 서호원(2009). 주거공간에서 조도 기준의 최근 동향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전기공학 학위논문(석사).
  6. 김소연(2013). 주거공간에서의 행동유형에 따른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전공 학위논문(박사).
  7. 정근영(2008). 공동주택 식탁공간의 조명 현황 분석. 한국조 명.설비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2008. 2, p.p. 1-9 https://doi.org/10.5207/JIEIE.2008.22.2.001
  8. 조영미(2012). 대구, 경북 지역 거실 조명 실태조사. 한국주거학회 논문지, 제23권 1, 2, 3호 2012. 6
  9. 안옥희(1997). 주택거실의 조명환경 실태와 거주자의 평가. 대한가정학회 논문지, v.23 n.3 2012. 06, p.p. 13-21
  10. 김현지(2005). 단독주택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 제19권 제7호 2005. 15, p.p. 9-14 https://doi.org/10.5207/JIEIE.2005.19.7.009
  11. 이정은(2004). 공동주택의 실내공간별 빛환경 측정 및 조명 평면 분석. 한국조명.전자설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2. 이정은, 최안섭(2005).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 제19권 제3회 2005. 5, p.p. 1-9 https://doi.org/10.5207/JIEIE.2005.19.3.001
  13. 원슬기(2006). 사례연구를 통한 고령자 주거시설의 조명현황 분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