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인식 기반 홈 로봇 서비스의 구현사례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based on Home Robot Service

  • 김형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인지기술연구부 공간정보기술연구실)
  • Kim, Hyoung-Sun (ETRI, Intelligent Cognitive Technology Research Department,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Section)
  • 투고 : 2014.03.11
  • 심사 : 2014.03.21
  • 발행 : 2014.03.30

초록

상황인식 기술은 유비쿼터스(스마트) 환경에서 지난 수년간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현재도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상황인식 기술은 물리적인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가공하여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황인식 시스템은 각종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낮은 수준의 상황정보를 높은 수준의 상황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인 스마트 공간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얻어진 하위단계(Low-level)의 Event-driven 센서정보를 온톨로지 기반 상황정보로 모델링 하여 상위단계(High-level) 상황정보로 변환하는 상황정보를 모델링하여 상황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변환된 High-level 상황정보는 가상공간에서 ECA(Event, Condition, Action) 룰에 따라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가사 도우미 로봇 서비스의 구현 사례를 소개 하였다.

Context-aware computing is an emerging paradigm to achiev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by enabling computer systems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al contexts. A context-aware system uses context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and services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user's tas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ntology-based context-aware modeling methodology that transmits low-level contexts acquired by directly accessing various sensors in the physical environments to high-level contexts. With these high-level contexts, context-aware application can provides proactive and intelligent services using ECA (Event-Condition-Action) rules. We implemented a home robot service in smart office environ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