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of the members in the private security firms and its effect on their job stress and validity of the organization. To carry out the study, I established a popula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working at the security firms in Seoul. Then a total of 700 question naires were sent out for the survey using the random sampling method of clusters. The study was carried out over about four months, from May, 2014 to September, 2014. A total of 6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24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either because they were not returned or contained extreme value. In this study, a statistical package of SPSSWIN 18.0 and AMOS 18.0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as verified using the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The analysis showed the emotional labo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alidity of organiza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the job stress at the statistical level of p<.001 and the hypothesis was adopted.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job stress was also adopted because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validity of organization at the statistical level of p<.001. In addition,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validity of organization at the statistical level of p<.001. As a result, the hypothesis about the job stress would function as the parameter was only partially adopted.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서울소재 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지는 무선집락표집법에 의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회수되지 않거나 극단치가 있는 24부를 제외한 총 676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SPSSWIN 18.0과 AMOS 1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인과관계는 공변량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은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