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the members in private security firms on the job stress and validity of the organization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10.03
  • Accepted : 2014.10.15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of the members in the private security firms and its effect on their job stress and validity of the organization. To carry out the study, I established a popula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working at the security firms in Seoul. Then a total of 700 question naires were sent out for the survey using the random sampling method of clusters. The study was carried out over about four months, from May, 2014 to September, 2014. A total of 6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24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either because they were not returned or contained extreme value. In this study, a statistical package of SPSSWIN 18.0 and AMOS 18.0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as verified using the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The analysis showed the emotional labo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alidity of organiza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the job stress at the statistical level of p<.001 and the hypothesis was adopted.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job stress was also adopted because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validity of organization at the statistical level of p<.001. In addition,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validity of organization at the statistical level of p<.001. As a result, the hypothesis about the job stress would function as the parameter was only partially adopted.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서울소재 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지는 무선집락표집법에 의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회수되지 않거나 극단치가 있는 24부를 제외한 총 676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SPSSWIN 18.0과 AMOS 1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인과관계는 공변량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은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주(2006). 감정노동의 결과에 대한 한국과 미국간의 비교연구: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15(1),35-57.
  2. 김민주(1998). 호텔 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Vol.21.No.2
  3. 김인재.조성진(2012).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Vol.32. pp. 68-69.
  4. 김진환(2009). 신변보호업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 14. p.65.
  5. 김헌영(2008).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분석. 여행학연구. Vol.29. pp. 127-142
  6. 김현아(2010). 학교급식 영양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6(1),41-53.
  7. 박서진.한현옥(2012). 카지노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Vol.9 No.1. pp.77-98
  8. 박진경(1994). 스포츠조직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행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신강현(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 척도(MBI-GS)에 대한 타 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pp.
  10. 염영배(2012). 지방자치단체 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
  11. 이승로(2005). 경호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유라 (2010).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5(1):185-203.
  13. 전순영.김경화.장은주(2013. 감정노동자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감정지능이 미치는 매개효과 연구. 비서학논총. Vol.22 No.1. pp.167-186.
  14. 정창훈(2014). 서울특별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최정임(2013). 감정노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환연구 :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
  16. 천성수(2008). 사회적 지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충청남도 지역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한주원(2005). 개인성격과 감정노동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조절효과.비서학논총 Vol.14 No.1
  18. 황승욱(2011).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행동과 직무소진 관계에 관한 연구: 리더의 감성리더십과 신뢰의 조절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94.
  19. Ashforth, B. and R. Humphrey(1995), "Emotion in the Workplace: A Reappraisal," Human Relations, Vol. 48: 97-125. https://doi.org/10.1177/001872679504800201
  20. Blau, G., Fertig, J., Tatum, D. S., Connaught on S., Park, D. S., and Marshall, C. (2010), "Further scale refinement for emotional labor,"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15(2), pp. 188-216. https://doi.org/10.1108/13620431011040969
  21. Hall & Mansfield(1971).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Response to external Stress. Administrative Sciense Quarterly (16): 151-168 https://doi.org/10.2307/2391825
  22. Hochschild, A.(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d. M. D. Dunnette. Chicago: Randed Mcnally
  24. Maslach, C. & Jackson, S. E.(198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2d ed.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25. Michacl, C.E. & Spector, P. E.(1982). Causc of Employcc Turnovcr: A Test of the Moblet, Griffeth, Hand, and Me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pp.52-59.
  26. Moeday.(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7. Morris, J. A. and D. C. Feldman(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1: 989-1010.
  28. Pugliesi, K. (1999),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29. Sandiford, P. J. & Seymour, D. (2002), "Emotional labor in public houses: reflections on a pilotstudy,"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0. Wharton, A.(1993),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Service Work: Managing Emotions on the Job," Work and Occupation, Vol.20: 205-232. https://doi.org/10.1177/07308884930200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