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ximization Plan within Organization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과 조직내 극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0.28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hypothetical model about the influence of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learn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163 police officers as the test group, who are in active service at Gwangju District Police Agency from July 14~August 15, 2013. As the sampling method, the researcher used random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survey based on self-administrated method, and the finally analyz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for Win Version 17.0 statistical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mprehended that police officer's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lower fa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gnificantly. Second, it was analyzed that police officer's learning 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lower fa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sides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기초로 하여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 7월 14일~8월 15일까지 광주지방경찰청 소속으로 재직중인 경찰관 163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rendom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으며, 최종 분석으로 사용된 자료는 SPSS for Win Version 17.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의 하위변인인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은 조직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유효성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범, 민간경비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학습화 수준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 김평수, 시큐리티 종사자의 조직학습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 김평수,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이 임파워먼트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Vol.37. No.5. 2013
  4. 박호득, 중소기업 근로자의 개인역량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박창욱, 경찰공무원의 학습지향성 및 조직학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 배용태, 조직학습이 조직변화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7. 배종태, 개발도상국의 기술 내재화 과정- 기술선택 요인 및 학습성과 분석.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위논문. pp.51-78. 1987.
  8. 백석기, 경찰의 멘토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공식적 멘토링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5. 2012
  9. 안희정,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2002.
  10. 양우섭,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공유가치의 조절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1. 2013.
  11. 엄유경,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변화저항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역량의 매개효과: 경찰조직을 중심으로. HRD연구. Vol.14 No.3. 2012.
  12. 오정근, 변혁적 리더쉽이 개인학습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3. 이신남, 경영시스템의 조직학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Vol.23 No.4 p. 469. 2009.
  14. 장철영.정우열.최인규.전기우, 경찰조직의 학습구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분석. 행정논총 Vol.46 No.3 pp296-326. 2008.
  15. 최철수, 여행사 종사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6. 천학도.이정.장영철, 학습조직과 조직학습역량. 조직경영개발연구. Vol.2 No.1 p.40. 2009
  17. 한상암, 경찰공무원의 자질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경찰학회보, Vol. 13, No. 1: 205-234. 2011.
  18. 황운순, 지식경영 핵심요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 병원조직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9. Brown, J. S., & Duguid, P,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Toward a unified view of working, learning, and 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2(1), 40-57. 1991. https://doi.org/10.1287/orsc.2.1.40
  20. Cook, S. D., & Yanow, D, Culture and organizational learning.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 2(4), 373-390. 1993. https://doi.org/10.1177/105649269324010
  21. Dodgson, M, Organizational learning: A review of some literatures, Organization Studies, 14(3), 375-394. 1993. https://doi.org/10.1177/017084069301400303
  22. Garvin, D. A,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78-91. 1993.
  23. Hames, R. D, The Management MythSydney:Business and Professional Publishing. 1994.
  24. Kusunoki, K, Nonaka, I. Nagata, I, Organizational capabilities in product development of japanese firm a paper presented at hitotsubashi-Organizational science. 1995.
  25. Locke, E. 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 Rand McNally. 1976.
  26. Marks, H. M., & Louis, K. S, Teacher empowerment and the capacity for organizational learn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35(5), 707-750. 1999. https://doi.org/10.1177/0013161X99355003
  27. Moeday,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979.
  28. Sadler, P, Managing Change Londin U K Kogan Page. 1995.
  29. Senge, P. M, The leader's new work;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 Sloan Management Review,32(1),7-22.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