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fter-school Care, Family Environment on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Each Gender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from Dual Income Families

맞벌이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별 방과후보호, 가정환경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 천희영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4.10.15
  • Accepted : 2014.12.0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after-school guardians' absence types during the first 3 school years, and the relations of after-school care, family environment(family income, parental monitoring) to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each gender of early school-age children from dual income families. The data from 526 boys and 483 girls among 3rd graders of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Friedman's test, t-test, correlational coefficient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45% of boys and 50% of girls were with a guardian for their after-school care in each of the first 3 school years and after-school care had changed gradually into the types of temporal or contingent absence of a guardian. Family income and children's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were different from adult-care and self-care in each gende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rental monitoring of girls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boys according to the care types. Both of boys and girls showed that family environment meaningfully related with the ability and the problems, and also showed the relatively different effects of after-school care and family environment on those ability and problems variables. The results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after-school care.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별로 입학후 3년간 방과후 보호자부재의 변화, 그리고 방과후보호, 가정환경(가구소득, 부모감독)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정서 행동문제 간의 관계 분석이었다.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1패널 3학년으로 입학 후 3년간 맞벌이 양친부모 가정에 속한 남아 526명, 여아 483명을 대상으로, 3년간의 방과후 보호자부재와 방과후보호를 분류하고 연구변인별 점수를 산출한 후 Friedman검증, t 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입학 후 3년간 방과후 보호자재 상태는 남아와 여아 약 45%, 50% 수준이며, 점차 일시적 또는 지속적 보호자부재 상태로 변화를 보였다. 방과후보호에 따라 가구소득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남녀 모두에서, 부모감독은 여아, 정서 행동문제는 주로 남아의 경우에 차이가 있었다. 남녀 모두에서 가정환경은 자기조절학습 능력, 정서 행동문제와 유의한 관계가 있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방과후보호와 가정환경의 상대적 영향은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성을 고려한 방과후보호, 고소득가정 자기보호 아동에의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경 (2003). 빈곤가족에서의 학령기 아동의 자존감: 제주도내 초등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9(3), 301-308.
  2. 교육부 (2014). 초등 방과후 돌봄 확대.연계 운영 계획 발표. 보도자료.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tPage=0&encodeYn=Y&boardSeq=52435&mode=view. 출력일 2014년 2월 2일.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 정신진단검사.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4. 김광혁 (2007).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기 아동의 학업성취도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아동학회지, 28(5), 127-141.
  5. 김명숙, 정영숙 (1997). 방과후 자기보호와 성인보호 아동의 적응. 한국영유아보육학, 9, 183-196.
  6. 김선희, 김경연 (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55-166.
  7. 김세영 (2006).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동 유형, 자기통제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세원, 손주영 (2011). 저소득가정 아동의 자기보호와 적응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동광, 107, 35-89.
  10. 김은주, 이승희 (2013). 초등학생 6학년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및 학업성취수준별 차이. 정서.행동장애연구, 29(2), 25-44.
  11. 김은지 (2014).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부모 양육방식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지경, 김균희 (2013).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일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1-15. https://doi.org/10.5934/KJHE.2013.22.1.1
  13. 김혜금, 양숙경 (2014).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지역사회 인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17-131.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117
  14. 박명화 (2013). 외현화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의 교우관계와 사회적기술 향상을 위한 분노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정서.행동장애연구, 29(2), 45-67.
  15. 박순주, 심혜원 (2012).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이 빈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2), 113-135.
  16. 백정재, 이재연 (1997). 빈곤아동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지, 12(1), 71-93.
  17. 보건복지가족부 (2009).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8. 보건복지부 (2014). 2014년도 지역아동센터 운영매뉴얼. https://www.icareinfo.info/NEW_USR_main.asp??=CENTERINFO/DATA/DATA09/view&bbs_no=196&page=1&bbs_option_cd=&search_option=&search_value=. 출력일 2014년 8월 31일.
  19. 서혜전 (2012). 방과후 방치와 아동의 정서발달과의 관계에서 독서의 매개효과.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pp. 531-546).
  20. 손진희, 김안국 (2006). 가정환경, 자아개념, 자기학습량과 학업성취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7(1), 235-265.
  21. 신명희, 이혜원 (2010). 가정환경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1(2), 113-134.
  22.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여성가족부 (2014a). 여성인력개발.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2_07_01a1.jsp?viewfnc1=0&viewfnc2=1&viewfnc3=0&viewfnc4=0&viewfnc5=0&viewfnc6=0. 출력일 2014년 9월 1일.
  24. 여성가족부 (2014b). 여성인력 관련 주요통계.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2_07_04d1.jsp?func=view¤tPage=0&key_type=&key=&search_start_date=&search_end_date=&class_id=0&idx=694397. 출력일 2014년 9월 1일.
  25. 오선영, 최정미 (2004). 취업모의 양육태도, 자녀의 방과 후 보호형태와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711-721.
  26. 오숙영 (2012).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교육문제연구, 42, 203-243.
  27. 유숙경, 이승희 (2012). K-CBCL 1.5와 Gottman의 양육방식 유형에 의한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과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28(2), 1-22.
  28. 윤경희, 김경희 (2002). 중학생의 가정환경, 자아개념, 학업성적의 관계. 교육이론과 실천, 12(3), 5-25.
  29. 윤소영, 안창희, 하은아, 서선영, 전혜인 (2004). 맞벌이 부부자녀를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제안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3), 127-142.
  30. 윤영애 (2010). 부모가 지각한 양육태도,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태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봉주, 조미라 (2011). 방과 후 방치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6, 1-27.
  32. 이수진, 오경자 (2014). 부주의 및 과잉행동 문제의 하위집단 형성에 미치는 아동 기질과 양육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2), 279-298.
  33. 이은주 (2008).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아동방임 실태와 예측요인. 아동과 권리, 12(4), 547-566.
  34. 이재연, 강성희 (1996). 자기보호 아동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 1-21.
  35.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 및 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준호(2012). 방과후 자기보호의 예측요인 및 초등학생의 부정적 자아개념에 대한 자기보호의 영향.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pp. 755-780).
  37. 이준호, 박현정 (2012). 맞벌이의 교육적 기회비용. 아시아교육연구, 13(3), 27-59.
  38. 임선아 (2013).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존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교육심리연구, 27(1), 125-142.
  39. 장미순, 김진호 (2014). 초등학교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0(2), 435-457.
  40. 조봉환, 임경희 (2003). 아동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746.
  41. 천희영, 옥경희, 김미해 (2001). 학령기 아동의 자기보호와 부모감독에 따른 또래관계 및 인지적 자기능력 지각. 대한가정학회지, 39(10), 153-168.
  42. 최경순, 정현희 (1996). 저소득층 취업모 자기보호 아동의 사회적 능력, 또래관계 및 정서발달. 아동학회지, 17(2), 107-119.
  43. 최정미, 오선영 (2004). 초등학교 저학년의 방과후 보호형태에 다른 생활실태 및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2), 85-97.
  44.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4). 2014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27975. 출력일 2014년 9월 1일.
  4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1-3차 조사 데이터 유저가이드. http://archive.nypi.re.kr/sub.asp?BID=B36&idx=2096&BoardType=view&page=1&Search_m=&Search_t=&Mcode=C030000. 출력일 2014년 1월 30일.
  46.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7. Aizer, A. (2004). Home alone: Supervision after school and child behavior.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8(9-10), 1835-1848. https://doi.org/10.1016/S0047-2727(03)00022-7
  48. Bandon, P. D. (1999). Determinants of self-care arrangements among school-age childre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1(6), 497-520. https://doi.org/10.1016/S0190-7409(99)00035-3
  49. Cain, V. S., & Hofferth, S. L. (1989). Parental choice of self-care for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51(1), 65-77. https://doi.org/10.2307/352369
  50. Casper, L. M., & Smith, K. E. (2002). Dispelling the myths: Self-care, class and race. Journal of Family Issues, 23(6), 716-727. https://doi.org/10.1177/0192513X02023006002
  51. Chen, X., Dong, Q., & Zhou, H. (1997).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practices and social and school performance in Chinese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1(4), 855-873. https://doi.org/10.1080/016502597384703
  52. Dishion, T. J., & McMahon, R. J. (1998). Parental monitoring and the prevention of child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 conceptual and empirical formulation.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1), 61-75. https://doi.org/10.1023/A:1021800432380
  53. Garbarino, J. (1984). Can American families afford the luxury of childhood?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n Latchkey Children (Boston, MA, May 17-18, 1984).
  54. Gray, S. A. O., Carter, A. S., Briggs-Gowan, M. J., Jones, S. M., & Wagmiller, R. L. (2014). Growth trajectories of early aggression, overactivity, and inattention: Relations to second-grade rea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50(9), 2255-2263. https://doi.org/10.1037/a0037367
  55. Green, K. M., Hynes, K., & Doyle, E. A. (2011). Self-care among school-aged children of immigra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5), 783-789.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0.11.023
  56. Halpern, R. (1992). The role of after-school programs on the lives of inner-city children: A study of "urban youth network". Child Welfare, 71(3), 215-230.
  57. Kauffman, J. M., & Hallahan, D. P. (Eds.) (1981). Handbook of special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8. Kerrebrock, N., & Lewis, E. M. (1999). Children in self-care. The Future of Children, 9(2), 151-160. https://doi.org/10.2307/1602715
  59. McMurry, G., & Kazanjian, D. (1982). Day care and the working poor.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18(2), 131-140.
  60. Paris, S. G., & Newman, R. S. (1990). Developmental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87-10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7
  61. Pintrich, P. R. (1995). Understand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P. R. Pintrich (Ed.), Understanding self-regulated learning (pp. 3-13).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2. Raver, C. C., Blackburn, E. K., Bancroft, M., & Trop, N. (1999). Relations between effec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attention, attentional control, and low-income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0(3), 333-350.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003_6
  63. Rodman, H., & Pratto, D. J. (1987). Child's age and mother's employment in relation to greater use of self-care arrangements for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3), 573-578. https://doi.org/10.2307/352202
  64. Rodman, H., & Pratto, D. J., & Nelson, R. S. (1985). Child care arrangements and children's functioning: A comparison of self-care and adult-care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413-418. https://doi.org/10.1037/0012-1649.21.3.413
  65. Vandivere, S., Tout, K., Zaslow, M., Calkins, J., & Caspizzino, J. (2003). Unsupervised time: Family and child factors associated with self-care. Occasional Paper, 71. Washington, D. C.: The Urban Institute.
  66. Votruba-Drzal, E., Coley, L. R., & Chase-Lansdale, L. P. (2004). Child care and low-income children's development: Direct and moderated effects. Child Development, 75(1), 296-312.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670.x
  67. Winsler, A., Kim, Y. K., & Richard, E. R. (2014). Socio-emotional skills, behavior problems, and Spanish competence predict the acquisition of English among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poverty. Developmental Psychology, 50(9), 2242-2254. https://doi.org/10.1037/a0037161
  68.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69. Zimmerman, B. J., & Martinez-Ponz,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