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eking a Way for the Connection of Curriculum of Infants and Children Based on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Centered on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in America-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으로 살펴본 시사점을 통하여 자연탐구영역의 영아와 유아의 교육과정의 연계 방향 모색

  • 김은정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유영의 (순천향대학교 유아교육과) ;
  • 신은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10.15
  • Accepted : 2014.12.2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lan a direction for the connection of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betwe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infants aged 0~2, and young children aged 3~4/5 in 17 different states in America. The problem of the study is as follows: What is the content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 science and mathematics of early learning standards regarding ag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7 states in America in which 12 states classify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ged 0~2 and 3~4/5 respectively and 5 states do not classify the age group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given issu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five states that showed the group aged 0~4/5,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of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were included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and a part of these contents were also included in cognitive developments. In the case of the 12 states that classified the groups aged 0~2 and 3~4/5 respectively, the group aged 0~2 included cognitive developments and the group aged 3~4/5 includes mathematics and science. Seco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of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in the five states that showed the single group aged 0~4/5 include the contents in order of scientific idea, biology, physics, and the earth and space. In the 12 states that classify different age groups. Third, in the case of the states that separate age groups, the group aged 0~2 include the contents of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and space while the group aged 3~4/5 include the contents of number and operations, geometry and space, and measur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as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linking betwee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 유아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으로 살펴본 교육적 시사점을 통하여 한국의 자연탐구영역의 영아와 유아교육과정의 연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미국의 각 주별 조기학습기준 중 0~만 2세와 만 3~4/5세로 연령이 분리된 12개주와 연령구분을 별도로 하지 않고 0~만 4/5세로 연령연계의 틀로 구성된 주 5개주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만 4/5세로 연령이 연계된 5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자연탐구영역과 관련된 내용 영역은 모든 주에서 수학과 과학에 포함되고 인지발달과 추론에 일부 포함되었다. 그러나 0~만 2세와 만 3-4/5세로 연령이 분리된 12개 주의 경우는 0~만 2세는 인지발달이 포함되고 있지만 만 3~4/5세는 수학과 과학이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0~만 2세의 10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자연탐구영역과 관련된 인지발달의 12개 하위 내용 중 개념발달과 기억, 문제해결, 탐색과 발견의 순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0~만 4/5세로 연령이 연계된 5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자연탐구영역과 관련된 내용 영역은 과학적 사고, 생물, 물리, 지구와 우주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연령이 분리된 12개주의 자연탐구영역의 관련 내용 영역은 0~만 2세는 2개주에서 생물, 물리, 지구와 우주가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연령이 연계된 주의 수학 영역의 내용은 수와 연산, 측정, 기하와 공간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연령이 분리된 주의 경우는 0~만 2세는 수와 연산, 기하와 공간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 만 3~4/5세는 수와 연산, 기하와 공간, 측정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 시 영아와 유아를 대상으로 발달 측면과 교과 측면의 연계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3-5세 누리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김민진, 김창복, 김호 (2012). 2006년-2011년까지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503-523.
  3.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88
  4. 김은정, 유영의 (2013). 유치원교육과정의 자연탐구영역의 구성 및 내용의 변천. 유아교육학논집, 17(6), 167-190.
  5. 김은정, 유영의, 신은수 (2014).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을 통한 영아와 유아를 연계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63-184.
  6. 김진숙 (2006).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4(4), 83-108.
  7. 김희진, 박은혜, 신은수, 이지현 (2010). 미래지향적 유치원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소고. 육아지원연구, 5(1), 105-128.
  8. 박은혜 (2006).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 보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6년 정기학술대회자료집, 113-130.
  9. 박은혜, 신은수 (2012).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 0단계(ISCED 0)에 기초한 누리과정의 유아교육제도로서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6(2), 341-356.
  10. 박찬옥, 이경하 (2006). 유치원과 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논의. 유아교육학논집, 10(3), 149-172.
  11. 보건복지부 (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12. 신은수, 박은혜 (2012). 유아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성 요인 분석: OECD 국가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3), 71-91.
  13. 신은수, 유영의 (2006). 유아교육 학제 선진화방향 모색: 2000년 이후 미국의 K-grade 체제 반성과 Pre-Kindergarten 체제 구축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257-288.
  14. 유영의, 김은정 (2013).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3(4), 241-265.
  15. 이정희 (2003).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9(3), 351-369.
  16. 정미라, 박은혜, 신은수, 권정윤 (2007). 영유아기 핵심역량 표준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7. 정선아 (2014).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47-16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47
  18. 조부경, 곽향림, 이정욱 (2007). 교육부 교시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 탐구생활영역 시안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7(1), 167-198.
  19. 지성애, 정대현, 이승임, 조은정, 박유영, 홍현이 (2007).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07-222.
  20. 채윤정 (2009).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 연계성 변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황윤세, 강현석, 유제순 (2006).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탐구생활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26(3), 33-57.
  22. Barnett, W. S., Epstein, D. J., Carolan, M. E., Fitzgerald, J., Squires, J. H. (2012). The state of preschool 2012: State preschool yearbook. The National Institute for Early Education Research.
  23. Fullan, M. (2003). Change forces with a vengeance. New York: Routledge Falmer Press.
  24. Heckman, J. J. (2006). Skill formation and the economics of investing in disadvantaged children. Science, 312, 1900-1902. https://doi.org/10.1126/science.1128898
  25. Kagan, S., & Scott-Little, C. (2004). Early learning standards: Changing the parlance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hi Delta Kappan, 85(5), 388-396. https://doi.org/10.1177/003172170408500512
  26. OECD (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27. OECD (2012).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28. Scotte-Little, C., Kagan, S. L., & Frelow, V. (2003). Creating the conditions for success with early learning standards: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of state-level standards for children's learning prior to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5(2).
  29. Scott-Little, C., Lesko, J., Martella, J., & Milburn, P. (2007). Early learning standards: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to document trends in state-level policies and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9(1).
  30.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09). Revie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ISCED 97): Proposal on the revision of ISCED 0 and early childhood and education programmes. Montreal, Canada: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31.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1).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Montreal, Canada: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Cited by

  1. The compar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5 years ol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vol.36, pp.5,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