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투고 : 2014.08.15
  • 심사 : 2014.12.21
  • 발행 : 2014.12.31

초록

본 연구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교사 89명과 어린이집교사 95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강점과 행복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본 결과, 성격 강점에 대한 인식 정도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에 비해 유치원교사가 행복 증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목적, 운영자, 실시주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 유아교육기관, 교사 차원의 노력,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 프로그램 적용 시 필요한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on a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and how to boost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character strengths, happiness and awareness of the two variables, both of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weren't well aware of their own character strength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replied they put more efforts into the promotion of their happiness than the daycare teachers did.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for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happiness promotio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inions on the purpose of the program, operator, execution cycle, what college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conduct it, what efforts teachers should make, what problems might take place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how to raise awareness of the program, and what support would be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석만 (2011).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 김미진, 김병만 (2012).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29-55.
  3. 김민경 (2011). 대학생의 '행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8(1), 1-34.
  4. 김성숙 (2012).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4), 35-53.
  5. 김신영 (1997).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문원정 (2010). 대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 성취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8. 박종흡, 신남철 (2002). 교사들의 심리적안녕감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인문논총, 9, 91-111.
  9. 서현아, 김미옥 (2013). 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1), 435-453.
  10. 신남철 (2003). 교사들의 행복,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이경민,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12. 이순미 (2014). 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채호, 고태순 (200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아동교육, 17(3), 173-185.
  14. 이춘복 (2013). 유아교사의 정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295-318.
  15. 임부연, 김성숙, 송진영 (2014). 유아교사론. 경기: 양서원.
  16.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 (201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17.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정종섭 (2013). 대한민국 헌법 이야기. 경기: 나남.
  19. 조설희 (2005). Rotter와 Glasser의 내외통제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최현미, 김성민, 권정심, 이경옥 (2009).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23-343.
  22. 황해익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23.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연구. 아동학회지, 33(5), 201-219. https://doi.org/10.5723/KJCS.2012.33.5.201
  24.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59
  25.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26. Baumgardner, S. R., & Crothers, M. K. (2009). 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학(안신호, 이진환, 신현정, 홍창희,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김비아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9).
  27. Ben-Shahar, T. (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NY: McGraw-Hill.
  28. Csikszentmihalyi, M. (2004).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최인수 옮김). 서울: 한울림(원판 1990).
  29. Hoggard, L. (2008). How to be happy, 행복 영국BBC 다큐멘터리(이경아 옮김). 서울: 예담(원판 2005).
  30. McGovern, T. V., & Miller, S. L. (2008). Integrating teacher behaviors with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for faculty development. Teaching of Psychology, 35(4), 278-285. https://doi.org/10.1080/00986280802374609
  31. Park, N., & Peterson, C. (2009). Achieving and sustaining a good lif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 422-428. https://doi.org/10.1111/j.1745-6924.2009.01149.x
  32.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https://doi.org/10.1521/jscp.23.5.603.50748
  33.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6). Character strengths in fifty-four nations and fifty US stat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3), 118-129. https://doi.org/10.1080/17439760600619567
  34.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9).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긍정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성격 강점과 덕목의 분류(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백수현, 안선영 옮김).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원판 2009).
  35. Rath, T., & Harter, J. (2011). Well Being Finder, 웰빙 파인더(성기홍 옮김). 서울: 위너스북(원판 2010).
  36. Seligman, M. E. P. (2009). Authentic happiness, 마틴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김인자 옮김). 서울: 물푸레(원판 2004).
  37.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플로리시(우문식, 윤상운 옮김). 경기: 물푸레(원판 2011).
  38.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39. Sutton, R. E., & Wheatley, K. F. (2003).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4), 327-358. https://doi.org/10.1023/A:1026131715856

피인용 문헌

  1. The impact strength of character in children's community center workers' on burnout vol.40, pp.2, 2016, https://doi.org/10.33071/ssricb.40.2.201608.91
  2. A Study on decision-making process by character strengths of visitors to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festival -Focused on Sancheong medicinal herb festival- vol.27, pp.3, 2014, https://doi.org/10.35149/jakpg.2017.27.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