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Multi-Media Application Ability, Perception on the Use of Multi-Media for Story Telling, and Application in Class

유아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의 관계

  • 장보영 (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전공) ;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4.02.15
  • Accepted : 2014.12.0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multi-media application ability, their perception on the use of multi-media for story-telling, and actual use in class. Th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225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who were younger,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were experienced in taking multi-media courses, and took charge of larger classes showed better ability of multi-media application. And teachers who were trained on multi media as well as kindergarten teachers indicat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applying multi-media for story-telling. In addition, teachers who had higher levels of education, were experienced in taking multi-media courses, and teaching larger classes at national/public institutions applied multi-media more frequently. Secondly, the teachers' ability of applying multi-media, their perception on the use of multi-media for story-telling, and their multi-media use in class indicat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Thirdly, a teacher's percep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multi-media application for story-telling, their skills for multi-media use, the size of classes, and the training experiences on multi-media affected their actual application of multi-media for story-telling.

이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다중매체 활용능력과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실제 활용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의 유아반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사 변인과 기관 변인에 따라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사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실제 활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에 모두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해 다중매체를 활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중매체 활용의 중요성 인식, 학력,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학급 규모, 다중매체 관련 수강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수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이 갖는 의미와 실무능력의 중요성,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교육 및 기관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선 (2005). 교사의 ICT 활용수준 및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ICT 활용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유아교육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곽향림 (2000). 에듀테인먼트 양상의 좋은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사이트. 삼성복지재단. 어린이와 환경안전.
  3. 권성민 (2010).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동화 들려주기 방법이 유아의 언어 및 사고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9(3), 31-49.
  4. 권혁일 (2008).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39-170.
  5. 김기혜 (2008). 유아 교사의 특성과 ICT 활용환경이 ICT 활용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남진 (2006). ICT 활용교육 관련 변인들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제, 7(4), 27-42.
  7. 김남진, 강영심 (2007). ICT 활용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ICT 활용능력의 관계 및 영향 비교.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지, 49(1), 315-331.
  8. 김보경 (2013). 3, 4, 5세아의 공간기하 인지과제 수행: 태블릿 이용과 종이매체의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은정 (2002). 유치원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춘, 배지현 (2009). 의미 생성 활동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함의. 초등교육연구, 22(1), 61-82.
  11. 김정아 (2006).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현, 김만, 차현화, 홍혜경 (2006). 인터넷동화 활동과 그림동화 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251-268.
  13. 김희수 (1995). 멀티미디어 설계와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14. 나귀옥, 하재옥 (2008). 다매체활용교육: 구성주의 유아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의 역할.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71-97.
  15. 도홍찬 (2008). 내러티브 도덕과 교육과정의 체계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백조현, 박수홍, 강문숙 (2010). 스토리텔링기반 수학과 수업설계전략 모형 개발: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0(1), 113-141.
  17. 신의진 (2013). 디지털 세상이 아이를 아프게 한다. 서울: 북클라우드.
  18. 신정은 (2001).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동화학습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심숙영 (2010). 구성주의 교사 신념과 교사의 ICT 태도와 ICT 활용능력 관계. 아동과 권리, 14(1), 109-128.
  20. 심지은 (2001). 유치원 교사의 컴퓨터 교수 효능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안미리, 조인진, 송재신 (2002). 효과적인 ICT 실행과 관련된 주요변인들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8(3), 219-236.
  22. 엄우용, 김경철 (2006). 초등교실수업과정에서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1), 5-22.
  23. 오난희 (2002). 유치원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사용수준과 교사 효능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대균(2003). 유아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재.교구 제작. 서울: 양서원.
  25. 이미화, 김명순(2004).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 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25(2), 41-57.
  26. 이승은 (2013). 디지털 키즈의 기독교 인성교육 방안.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 (2013). 디지털 네이티브의 계층적 특성 및 소비욕구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유구종 (2012).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 이용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85-110.
  29. 유구종, 김민경 (2011).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ICT Literacy 교육 관련 내용 및 요구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16), 269-292.
  30. 유연옥 (2005). 유아교사를 위한 ICT 활용교육의 방향 모색을 중심으로. 과학논총, 31, 115-127.
  31. 임은미 (2013). 유아 교육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분야별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3), 343-364.
  32. 장영숙, 정수정 (2009).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73-97.
  33. 장재경 (2004). ICT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조혜진, 정영숙, 구은미 (2009). 유아교육기관 수업과정에서 교사의 ICT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교육, 18(1), 253-265.
  35. 최계령 (2010).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수매체 활용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하재옥 (2007).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태도 및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377-401.
  37. 허희옥 (2006). 내러티브 사고 양식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 개발. 교육공학연구, 22(1), 195-224.
  38. Brinkerhoff, J., Ku, H., Glazewski, K., & Brush, T. (2001). An assessment of technology skills and classroom technology integration experience in preservice and practicing teachers. In C. Crawford, D. Willis, R. Carlsen, I. Gibson, K. McFerrin, J. Price & R. Weber(Eds.), Proceedings of SITE 2001 (pp. 1866-1871). Chesapeake, VA: AACE.
  39. Chen, J., & Chang, C. (2006). Using compute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4(2),169-188. https://doi.org/10.1177/1476718X06063535
  40. Colker, L. J. (2011). Technology and learning: What warly childhood educators have to say. Teaching Young Children, 4(3), 25-27.
  41. Delcourt, M. A., Kinzie, M. B. (1993). Computer technologies in teacher education: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and self-efficac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27(1), 35-41, 1993.
  42. EU Commission (2000). Opinion of the committee on employment and social affairs. http://www.europarl.eu.int/meetdocs/committees/cult/20000918/412348-en.doc. 출력일 2008년 5월 20일.
  43. Ferguson, D. (2001). Technology in a constructivist classroom. Information Technology in Childhood Education Annual. 45-55.
  44. Haugland, S. W., & Wright, J. L. (1997). Young children and technology: A world of discovery. Boston: Allyn and Bacon.
  45. Higgins, S., & Moseley, D. (2001). Teachers' thinking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learning: Beliefs and outcomes. Teacher Development, 5(2), 191-210. https://doi.org/10.1080/13664530100200138
  46. Iram, S. B., & John, S. B. (2006). A guide to developing the ICT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London: Early Education.
  47. Makin, L. & Whitehead, M. (2004). 아이들의 문해 어떻게 지도할까? 최나야 역 (2009). 서울: 시그마프레스.
  48. NAEYC (2002). Healthy young children: A manual for programs(4th ed.). Washington, DC: NAEYC.
  49. Ohler, J. (2008).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