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 공선혜, 한인기 (2008). 대수적 방법을 이용한 방접원에 관련된 삼각형 작도문제의 해결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3), 399-420.
-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39(2), 81-99.
-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4(2), 307-323.
- 권윤신, 류성림 (2013).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6(2), 123-145. https://doi.org/10.7468/jksmec.2013.16.2.123
- 김수경, 김은진, 권혁진, 한혜숙 (2012).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51(4), 351-375. https://doi.org/10.7468/mathedu.2012.51.4.351
- 김부윤, 이지성 (2009). 수학적 창의성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8(4), 443-454.
- 김판수 (2008).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3), 465-496.
- 남승인 (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21(2), 271-282.
- 남흥숙, 박문환 (2012).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203-225.
- 류현아 (2003). 탐구형 소프트웨어 GSP를 활용한 기하학습 사례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1, 299-323.
- 류희찬, 조완영 (1999).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 청람수학교육, 8, 127-181.
-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 (2010).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89-413.
-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3(3), 803-822.
- 박종률, 이헌수 (2010). 수학 창의문제 해결 대회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 과학영재교육, 2(3), 17-29.
- 손희림, 유윤재 (2011). 영재교육기관별 중등 수학영재의 특성 비교. 과학영재교육, 3(1), 63-79.
-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상헌 (2004).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소재 발굴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6, 67-86.
-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 양성현 (2012). 수학 교수학습에서 GeoGebra의 역할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영재교육진흥법 (2013). 법률 제11690호. 시행 2013.03.23.
- 유윤재 (2009). 수학적 창의성. 과학영재교육, 1(3), 59-71.
- 이대현 (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 이대현 (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 전선미, 유원석 (2011).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5(1), 79-97.
- 전영주 (2010). 수학영재를 위한 기하 프로그램 설계 및 교수 전략.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25-241.
- 조석희 (2003). 창의적 문제해결력. 박성익 외(편저). 영재교육학원론(pp. 249-269). 서울: 과학교육사.
-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3). 영재성의 발굴 및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2003-28.
-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4). 영재의 후기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특성 및 환경요인. 교육심리연구, 18(2), 123-141.
- 조석희, 황동주 (2007).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영재교육연구, 17(1), 1-26.
- 최종현, 송상헌 (2005).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2), 169-192.
- 하수현, 이광호, 성창근 (2013).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연구 동향. 학교수학, 15(3), 551-568.
-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13 영재교육 통계 연보.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방송공사 (2010). EBS 수능특강 FINAL 실전모의고사 나형.
- 황우형, 차순규 (200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해석 기하 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1(3), 341-360.
-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0(4), 561-574.
- Benbow, C. P. & Arjmand, O. (1990). Predictor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by Mathematically Talented Stuend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430-441. https://doi.org/10.1037/0022-0663.82.3.430
-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2), 236-260. https://doi.org/10.4219/jeg-2006-264
-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entralblatt fur Didatik der Mathematik, 29(3). 75-80.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3-x
- Yoshihko Hashimoto.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Zentralblatt fur Didatik der Mathematik, 29(3). 86-87.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