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for Creativity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Utilizing Construction Protocol of GeoGebra

GeoGebra의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영재 문제해결 과정의 창의성 평가 사례 연구

  • Received : 2014.09.02
  • Accepted : 2014.11.2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presented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apply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creativity of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gifted student, By necessity of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ogram development to the level and ability of students who belong to high school gifted classes and courses evaluation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In the construction implementation process of students utilizing a kind of teaching-learning software, GeoGebra. We analyzed process of a variety of creative constructing figures using interfaces of GeoGebra and algebraic calculation. Utilizing 'Construction Protocol' and 'Navigation Bar' of GeoGebra, We identified computer languages, construction order, run times used in construction process of individual student and found mathematical creativity of students in the process. Comparing this result with prerequisite learning degree of individual student, We verified that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can apply at the high school gifted classes as well as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the city office.

고등학교 영재학급의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에 적절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와 영재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과정 평가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을 과정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사례를 제시하였다. 수학 교수 학습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GeoGebra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도형을 작도하는 과정에서 GeoGebra의 인터페이스의 사용과 대수적 계산을 병행하여 다양하고 창의적 방법으로 도형을 작도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GeoGebra의 '구성단계'와 '구성단계 네비게이션 바' 기능을 활용하여 학생 개개인이 작도 과정에서 사용한 명령어, 실행 과정 및 실행 횟수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발견되어지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학생 개개인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정도와 비교 분석하여 이러한 교수 학습 방법이 교육청 단위로 선발하는 영재교육원 뿐만 아니라 단위학교 영재학급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2. 공선혜, 한인기 (2008). 대수적 방법을 이용한 방접원에 관련된 삼각형 작도문제의 해결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3), 399-420.
  3.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39(2), 81-99.
  4.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4(2), 307-323.
  5. 권윤신, 류성림 (2013).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6(2), 123-145. https://doi.org/10.7468/jksmec.2013.16.2.123
  6. 김수경, 김은진, 권혁진, 한혜숙 (2012).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51(4), 351-375. https://doi.org/10.7468/mathedu.2012.51.4.351
  7. 김부윤, 이지성 (2009). 수학적 창의성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8(4), 443-454.
  8. 김판수 (2008).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3), 465-496.
  9. 남승인 (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21(2), 271-282.
  10. 남흥숙, 박문환 (2012).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203-225.
  11. 류현아 (2003). 탐구형 소프트웨어 GSP를 활용한 기하학습 사례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1, 299-323.
  12. 류희찬, 조완영 (1999).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 청람수학교육, 8, 127-181.
  13.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 (2010).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89-413.
  14.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15.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3(3), 803-822.
  16. 박종률, 이헌수 (2010). 수학 창의문제 해결 대회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 과학영재교육, 2(3), 17-29.
  17. 손희림, 유윤재 (2011). 영재교육기관별 중등 수학영재의 특성 비교. 과학영재교육, 3(1), 63-79.
  18.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송상헌 (2004).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소재 발굴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6, 67-86.
  20.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21. 양성현 (2012). 수학 교수학습에서 GeoGebra의 역할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2. 영재교육진흥법 (2013). 법률 제11690호. 시행 2013.03.23.
  23. 유윤재 (2009). 수학적 창의성. 과학영재교육, 1(3), 59-71.
  24. 이대현 (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25. 이대현 (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26. 전선미, 유원석 (2011).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5(1), 79-97.
  27. 전영주 (2010). 수학영재를 위한 기하 프로그램 설계 및 교수 전략.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25-241.
  28. 조석희 (2003). 창의적 문제해결력. 박성익 외(편저). 영재교육학원론(pp. 249-269). 서울: 과학교육사.
  29.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3). 영재성의 발굴 및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2003-28.
  30.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4). 영재의 후기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특성 및 환경요인. 교육심리연구, 18(2), 123-141.
  31. 조석희, 황동주 (2007).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영재교육연구, 17(1), 1-26.
  32. 최종현, 송상헌 (2005).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2), 169-192.
  33. 하수현, 이광호, 성창근 (2013).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연구 동향. 학교수학, 15(3), 551-568.
  34.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13 영재교육 통계 연보. 한국교육개발원.
  35. 한국교육방송공사 (2010). EBS 수능특강 FINAL 실전모의고사 나형.
  36. 황우형, 차순규 (200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해석 기하 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1(3), 341-360.
  37.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0(4), 561-574.
  38. Benbow, C. P. & Arjmand, O. (1990). Predictor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by Mathematically Talented Stuend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430-441. https://doi.org/10.1037/0022-0663.82.3.430
  39.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2), 236-260. https://doi.org/10.4219/jeg-2006-264
  40.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41.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entralblatt fur Didatik der Mathematik, 29(3). 75-80.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3-x
  42. Yoshihko Hashimoto.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Zentralblatt fur Didatik der Mathematik, 29(3). 86-87.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