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arents' Mental Model of Media Environment and Children's Media Use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 연구

  • 이란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홍지민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4.08.25
  • Accepted : 2014.10.06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rents' mental model of media environment and children's media use and to provide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is purpose, twelve parents of second-graders to fourth-graders sampled in elementary schools were interviewed with three activities such as a word-association experiment, a sentence completion task and a in-depth interview. The result was categorized into 8 elements such as interaction, source of supply and adverse effects. Furthermore, the analysis on the mental model of media use shows that firstly, the parents understand modern media reflects competence while they have a feeling of fear and newness on media themselves. Secondly, the parents show an ambivalent understanding on media use in terms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and have a tendency to control them. Another finding is the fact that the parents understand digital media as a representation of both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Also, the parents realize media as a cause of conflict and as a place for reconciliation as well. Finally, it is showed that media is not only a personal territory but also a part of social system in the parents'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interpretations and parents' educational applications are provided in terms of the Meyrowitz(1998; 1999)'s three perspectives on media.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과 자녀들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부모들의 미디어에 대한 현상적 인식이 아동의 미디어 사용을 중재하고 바른 사용을 지도하는 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위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2명의 초등 2-4학년 연령대 아동을 키우는 부모들과의 인터뷰, 연상 단어 제시하기, 문장 완성하기의 세 가지 활동을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가 수집되고 연구자 2인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먼저 미디어 환경에 대하여서는 소통과 단절, 공급과 역기능 등의 총 8개 심성모형 구성요소가 추출되었다. 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심성모형에서는 첫째, 부모들은 미디어에 유능함의 표상을 투영하지만 자신의 삶과는 괴리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들은 미디어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효과를 양면적으로 인식하고 이 중 부정적인 효과를 통제하고자 하는 이해를 드러냈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는 부모들에게 관계의 표상으로써 이해되고 있었다. 넷째, 미디어 사용과 관련한 소통의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부모들이 미디어를 개인의 사용 영역일 뿐만 아니라 사회 체계의 일부분이라고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들을 토대로 미디어의 관점들(Meyrowitz, 1999)이 부모들의 심성모형에 다층적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이 논의되었고 그 교육적 적용으로써 부모와 사회체계의 협력적 교육, 부모의 미디어 인식과 역량 강화, 커뮤니케이션의 순기능 활용 등이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 N. Johnson-Laird, Mental models: Toward a Cognitive Science of Language, Inference and Consciousness, US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2. http://clexchange.org/ftp/documents/whyk12sd/Y_2009-02LearningThroughSD.pdf
  3. K. Craik, The Nature of Explan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3.
  4. C. Moseley, B. Desjean-Perrotta, and J. Utley, "The Draw-An-Environment Test Rubric (DAET-R):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Vol.16, No.2, pp.189-208, 2010. https://doi.org/10.1080/13504620903548674
  5. 신금호, "유아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심성모형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pp.113-133, 2013.
  6. J. Meyrowitz, "Multiple Media Literac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1, pp.96-108, 199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8.tb02740.x
  7. J. Meyrowitz, "Understandings of Media," ETC::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Vol.56, No.1, pp.44-52, 1999.
  8. R. Loughland, A. Reid, and P. Petocz, "Young Peoples Conceptions of Environment: A Phenomenographic Analysi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Vol.8, No.2, pp.187-198, 2002.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28248
  9. 고현범, 휴대전화, 철학과 통화하다, 책세상, 2007.
  10.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Cambridge, MA: Poity Press, 2011.
  11. 김은미, 나은영, 박소라, "면대면 상호작용과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감 획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2호, pp.110-152, 2010.
  12. D. G. Singer and J. L Singer, Handbook of Children and the Media, London: Sage, 2011.
  13. 신영주, 김성재, 최정윤, 김창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과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의 관계", 중독정신의학, 제7권, 제2호, pp.110-116, 2003.
  14. G. S. Mesch, "The Family and the Internet," Social Science Quarterly, Vol.84, pp.1038-1049, 2003. https://doi.org/10.1046/j.0038-4941.2003.08404016.x
  15. L. S. Clark, "Digital Media and the Generation Gap,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2, No.3, pp.388-407, 2009. https://doi.org/10.1080/13691180902823845
  16. 이은미, "텔레비전 시청과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34권, pp.171-190, 1995.
  17. G. H. Brody, Z. Stoneman, and A. Sanders, "Effects of Television Viewing on Family Interactions: An Observational Study," Family Relations, Vol.29, pp.216-220, 1980. https://doi.org/10.2307/584075
  18. R. Kubey and M. Csikszentmihalyi, Television and the Quality of Life: How Viewing Shapes Everyday Exper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90
  19. M. Orleans and M. C. Laney, "Early Adolescent Social Networks and Computer Us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18, pp.56-72, 2000. https://doi.org/10.1177/089443930001800104
  20. R. Larson, "Secrets in the Bedroom: Adolescents' Private Use of Medi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4, pp.535-550, 1995. https://doi.org/10.1007/BF01537055
  21. 배진아, 디지털 미디어와 가족 커뮤니케이션, 가족과 미디어, 한울아카데미, pp.97-121, 2010.
  22. http://nms.sagepub.com/content/early/2013/12/13/1461444813516833
  23. J. E. Grusec and M. Davidov, "Socialization in the Family: the Roles of Parents," In Grusec, J. E., & Hastings, P. D. (eds). Handbook of Socialization. NY: Guilford Press, pp.638-664, 2007
  24. 이현순, 조맹숙,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6권, 제1호, pp.203-227, 2007.
  25. 조안나, 고영자, "가정 내 전자미디어 사용실태 및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 유형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2권, 제1호, pp.1-24, 2013.
  26. 유현재, "부모의 광고에 대한 태도, 미디어 소비행태와 아이의 비만 정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서울대학교, pp.20-25, 10월 16일.
  27. http://www.kff.org/entmedia/upload/8010.pdf
  28.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29. D. J. Clandinin and F. M. Connelly,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000.
  30. N. Lyons and V. K. LaBoskey, Narrative Inquiry in Practice: Advancing the Knowledge of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02.
  31. 이종규, 질적연구방법론 I, 아카데미프레스, 2012.
  32. M. McLuhan, Understanding the Media : The Extension of Man, NY : McGraw-Hill, 1965.
  33. 나은영, 미디어 심리학, 한나래, 2010.
  34. 김성국, "정보화시대의 공동체-가족규범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33권, 제2호, pp.389-415, 1999.
  35. 배진아, 조연하, "디지털 미디어와 가족 커뮤니케이션: 모자간 소통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7권, 제1호, pp.53-91, 2010.
  36. 강정원, 장수진, 김승옥,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0권, 제3호, pp.205-224, 2011.
  37. 이현순, 조맹숙,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6권, 제1호, pp.203-227, 2007.
  38. R. Ling, 모바일 미디어와 새로운 인간관계 네트워크의 출현 (배진환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