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the Causes that Film Production Staffs Leave Film Sites and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

영화 Production 스태프의 탈 현장 원인 분석과 개선을 위한 제언

  • 하철승 (한성대학교 한국어문학부)
  • Received : 2014.09.17
  • Accepted : 2014.11.05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e Korean film market has revved up against American movies and the movie industry has continued to grow even though Korea is a small country. However, most production staffs who are responsible for practical business of film production get wages that fall short of the inflation rate and minimum wages as temporary employees. And there's the atmosphere that they try to leave film sites on the first opportunity. This study finds that the cause to leave film sites is attributed to perception gaps about the hardworking character and labor which occur in the process that production staffs enter the movie industry and participate in film production as well as poor surroundings. And it should establish staffs' hardworking character and recognition as workers to them by reorganizing the current curriculums which approach movies from the only artistic viewpoint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movies and images that hold a large majority in their majors, establishing the concept of work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film production to potential production staffs, and changing their recognition to improve the elements that they leave the sites.

우리나라는 미국 영화에 맞서 자국 영화시장이 활성화되어있고 영화 산업이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는 소수의 국가지만 영화 제작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Production 스태프 대부분이 물가 상승률과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임금을 받는 비정규직이며 기회가 닿는다면 영화 제작 현장을 떠나려 하는 탈 현장의 분위기가 퍼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 현장의 원인이 열악한 근로환경뿐만 아니라 Production 스태프의 영화산업 입문과정과 영화제작 참여에서 발생하는 근로성과 노동에 대한 인식 차이에 기인하고 있음을 밝히며 탈 현장 요소의 개선을 위해 스태프의 전공 대다수를 차지하는 영화 영상 관련 학과에서 영화를 예술적 관점으로만 접근하는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개편을 선행하여 잠재적 Production 스태프에게 영화 제작 참여에 따른 근로의 개념을 확립시키고 인식 전환을 가져옴으로써 스태프의 근로성과 근로자로서의 인식을 확립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학, 원동연, 홍태화, 2012년 영화스태프 근로 환경 실태조사, 영화산업협력위원회, p.3, 2012.
  2. 배기형,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17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72
  3.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영화진흥위원회, p.2, 2012.
  4.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영화진흥위원회, pp.1-4, 2012.
  5. 박주영, 최상희, 김수연, 2011년 세계영화산업 현황과 한국영화의 해외 진출, 영화진흥위원회, p.11, 2013.
  6. 김영호, 영화 스태프의 근로조건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pp.9-18, 2009.
  7. Robert R. Faulkner and Andy B. Anderson, "Short-term Projects and Emergent Careers : Evidence from Hollywood1,"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2, No.4, pp.879-909, 1987. https://doi.org/10.1086/228586
  8. 김도학, 원동연, 홍태화, 2012년 영화스태프 근로 환경 실태조사, 영화산업협력위원회, p21, 2012.
  9. 김도학, 원동연, 홍태화, 2012년 영화스태프 근로 환경 실태조사, 영화산업협력위원회, p20, 2012.
  10. 김도학, 원동연, 홍태화, 2012년 영화스태프 근로 환경 실태조사, 영화산업협력위원회, p17, 2012.
  1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13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1.134
  12. 최인이, 강윤주, "'영화인'의 영화 '노동자' 되기 - 영화산업노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담론201, 제13권, 제4호, p.39, 2010.
  13. http://baekn.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19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