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vergence Methodology in Film Education

영화교육의 통섭방법론

  • 육정학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Received : 2014.08.14
  • Accepted : 2014.09.11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some academic subjects based on the film, and accordingly investigate how they are to be converged and then educate individuals. The reasons why should be chosen as a text are as follows: this film is said to be fictional, but based on historical fact. Then, it attracts national attention. Third, it induces the spectators to judge the value of conscience, law, and morals, through the trial process, for themselves and leads them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ditions at the time. Last, but not least, it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n various type of men in contemporary days, by dint of analysis on the main charact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listed below: most of all, literature education(Korean language) could be proceeded with the help of epic analysis on . Secondly, considering the film develops the story using political allegory as discussion, along with the historic situation in those days, learning on history and politics could be made possible. Third, the film could be undoubtedly used to conduct the education of law and morality, forming the argument on required law and morals corresponding with ideological circumstance. Finally, education on film analysis could be conducted, by means of examination of the main characters. The analysis on the major characters helps to teach what it would be like for people to become the right ones, by both representing the members of society and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ionship.

본 연구는 영화 <변호인>을 텍스트로 사용하여 그 속에 들어있는 학제가 무엇인지 서술하고, 그 서술에 따라 어떻게 통섭하여 교육할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변호인>을 텍스트로 정한 이유는 이 영화가 허구라고 하지만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내용이라는 것과 한때 대통령이었던 노무현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국민적 관심이 있는 영화라는 것, 그리고 재판의 과정을 통해 양심과 법, 도덕의 가치를 각자가 판단할 수 있게 한다는 것과 역사적, 정치적 상황을 통해 역사와 정치를 알 수 있게 하며, 영화 속 주요 인물들의 분석을 통해 현 사회의 다양한 군상들에 대해 담론할 수 있게 한다는 것 등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변호인>의 서사 분석을 통해 문학(국어)을 교육할 수 있다.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픽션으로 정치와 권력, 소시민, 혹은 약자의 아픔과 분노, 그리고 정의감 등을 법정 이야기로 엮어 흥미롭게 진행됨으로 이를 통해 문학적 소양을 쌓을 수 있다. 둘째, 역사와 정치에 관한 교육을 할 수 있다. 영화는 정치적 알레고리를 담론으로 그 당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전개됨으로 이를 통해 정치와 역사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다. 셋째, 법과 도덕에 관한 교육을 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상황을 기점으로 그에 타당한 법과 도덕을 담론으로 형성하여 교육할 수 있다. 넷째, 영화 속 주요 인물들의 분석을 통해 작품분석에 관한 교육을 할 수 있다. 인물분석은 현재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반영하고, 인간관계나 삶의 질을 결정함으로 이를 통해 올바른 인간관을 교육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호, "동아시아 유학적 전통에서 권학의 문제, -전통의 계승과 변용-", 유학연구 제24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p.358, 2011.
  2. 최재천, 인문학 콘서트, 이숲, p.48, 2010.
  3. 김경호, "동아시아 유학적 전통에서 권학의 문제, -전통의 계승과 변용-", 유학연구 제24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p.359, 2011.
  4. E. O. Willson,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최재천, 장대익 역, 지식의 대통합, 1998/2005, 사이언스북스, p.40, 1998/2005,
  5. 신기현, "학문의 통섭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교육원리 연구, 제18권, 제1호, p.48, 2013.
  6. 최용찬, "영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불을 찾아서>(1981)에 나타난 문화적 진화와 여성의 주체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제19호, pp.305-345, 2014.
  7. 김대호, 영화를 활용한 역사 글쓰기 교육,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김영희, 인도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영화 활용 및 적용 방안,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 박현동, 영화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한귀은, "영화를 통한 타자성 지향의 글쓰기 교육", 국어교육, 제135호, pp.305-328, 2011.
  11. 유경수, "영상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제75집, pp.559-582, 2010.
  12. 오진아, 임미혜, "간호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한 국외연구논문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95-404, 2011.
  13. 오진아, "간호교육에서 영화의 활용에 관한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94-201,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2.194
  14. 육정학, 영화교육에서의 PBL 수업설계 및 운영 모형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5. 서인숙, "에듀테인먼트로서 영화교육모델 고찰: 초, 중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144-153, 2008.
  16. 최재천, "정책연구의 통섭",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p.328, 2014.
  17. 서사분석은 시나리오와 인테넷 사이트에 나와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음, http://.nstore.naver.com/movie/detail.nhn
  18. 김경애, "토론식 학습법을 원용한 영상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 현대영화연구, 제12권, p.94, 2011.
  19. 조창현, "독일영화 감독 폴커.쉴렌도르프의 '정치영화' 소고 -영상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쉴렌 도르프의 영화에 관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제13권, 제2호, p.192, 2010.
  20. J. Habermas, Faktiztat und Geltung(2.Aufl., Frankfurt a. M., 1992), 하버마스/한상진.박영도 공역, 사실성과 타당성, 나남출판사, p.345, 2000.
  21. M. Taooen, "Language, culture and moral education, a Vygotskian perspective," Development review, Vol.17, pp.84-85, 1990.
  22. S. Rimmon -Kenan, Narrative Fiction: Contemporary Poetics, New Accents: Methuen, pp.61-67, 1983.
  23. 변종헌, "민주주의의 제도화와 민주시민의 정의감 형성에 관한 연구", 국민윤리연구, 제35호, p.172, 1996.
  24. 이지행, "후기 자본주의 시대 헐리우드 음모론 영화의 정치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1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140
  25. 이영수, "중앙공무원교육원의 인문학.과학 통섭교육", 과찬 중앙공무원 교육원 전자자료, p.66, 2013.
  26. 이종학, 윤마병, "건축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중심의 융합교육 수업자료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500, 2014.
  27. http://www.steame여.com/index.htm
  28. Keith Cohen, Film and Fictio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61, 1979.
  29. 이영수, "중앙공무원교육원의 인문학.과학 통섭교육", 과찬 중앙공무원 교육원 전자자료, p.6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