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erialization of a Chinyoung Procession Illustration of Princess Bok-On's Wedding Based on Historical Dress Research - Focusing on women participants -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 여자참여자를 중심으로 -

  • Kim, Ah-Ram (Dept.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Dankook University) ;
  • Choi, Yeon-Woo (Dept.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Dankook University)
  • 김아람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 최연우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Received : 2014.05.12
  • Accepted : 2014.09.30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Chinyoung(親迎) is one of the detailed procedures of a wedding ceremony, of which the bridegroom visits the bride's home to receive and bring her to his home. And, Procession Illustration (班次圖) is a type of drawing that shows how people of various social classes are arranged in their predetermined positions in a royal ceremony. Thus, 'Chinyoung Procession Illustration(親迎班次圖)' refers to the drawing of the march in the course of Joseon's royal wedding ceremony, in which the bridegroom receives and brings the bride to his home.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Chinyoung Procession Illustration for a princess as an image, which has never been done. There are no drawings or pictures of the princesses' Chinyoung Procession, but only written records. Thus, we completed the Procession Illustration by dressing the participants in accordance with their social classes and arranging them in the march. The arrangements wer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of social classes, positions, number, and costumes. As for the princesses' wedd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a total of 18 wedding records remain. We selected Princess Bok-On's (福溫公主: 1818~1832) wedding as the subject of reconstruction as it had the greatest number of participants. In addition, due to the great number of participants, this study limits its focus to the female participants, with the male participants to be examined in future research.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Princess Bok-On's Chinyoung Procession was 184, including the bride and bridegroom, and the number of female participants was 26 in total, including the princess and women placed around her. The women participants wore Rip(笠), Neoul(羅兀), Jeonmo(氈帽), Garima(加里磨), Noeui(露衣), Hwaleui(豁衣), Dangeui(唐衣), Jeogori(赤古里), Chima(赤亇), Malgun(袜裙), Daedae(大帶), Onhye(溫鞋), Dokhye(禿鞋).

Keywords

References

  1. 이은주 (2012),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pp.67-117
  2. 이주미 (2009),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욱 (2008), 조선후기 後宮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金氏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pp. 39-67
  4. 김문식 (2011),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pp. 125-160
  5. 이욱 (2012),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덕온공주 가례 절차, 한국복식, 30, pp. 49-65
  6. 임민혁 (2012),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pp. 105-143.
  7. 이민주 (2012), 상방정례의 편찬 과정과 특징: 왕실복식의 節用을 중심으로, 藏書閣, 27, pp. 73-77.
  8. 福溫公主嘉禮謄錄(1830) '親迎笏記'
  9. 뎡미가례시일긔 (1847) 녜복졀목: "......가례일입궐시[마리노의봉]......."
  10.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朝鮮時代宮中服飾, 서울: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p. 19.
  11. 이선재, 김정진 (2003), 우리나라 여성의 머리양식사, 서울: 신광출판사, p. 150.
  12. (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1837); (憲宗孝定王后) 嘉禮都監儀軌(1845).
  1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9),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p. 119.
  14. 고려대학교박물관 (2003), 坡平尹氏母子미라 종합연구 논문집 2,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281, p. 283.
  1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자료검색일 2012. 12. 20, http://stdweb2.korean.go.kr
  16. 이은주 (2008), 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복식, 58(3), p. 25.
  17. 김소현 (2010),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 연구, 복식, 60(5), p. 56.
  18. 憑虛閣李氏, 鄭良婉譯註(2006) 閨閤叢書, 서울: 보진재, p. 237.
  19. 국립민속박물관, 배화여자대학, (사)국립민속박물관회 (2007) 思悼世子와 惠慶宮洪氏의 嘉禮服飾. p. 60.
  20. 太宗實錄 태종 12년 6월 14일.
  21. 世祖實錄 세조 6년 4월 9일.
  22. 국립민속박물관, 배화여자대학, (사)국립민속박물관회, (2007) 思悼世子와 惠慶宮洪氏의 嘉禮服飾. p. 50.
  23. 국립중앙박물관 (2010), 士農工商의 나라 조선,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21.
  24. 禮葬廳謄錄(1898), 沐浴襲: "露衣 [表紅桃榴紋緞, 付金, 裡松花色貢緞, 內縇藍貢緞, 袖口藍金縇黃金縇白貢緞色付金]"
  25. 이성희 (2003), 朝鮮後期露衣에 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26. 김유경 (1994), 옷과 그들, 서울: 삼신각, p. 205.
  27. 이은주 (2012), 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복식, 58(3), p. 98.
  28.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미국 브루클린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p. 144-145, p. 274.
  29. 권혜진 (2009), 활옷의 역사와 조형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8-110.
  30. 박승원, 이윤경, 유혜선 (2008), 淸衍郡主出土服飾중織金, 附金衣의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제9집, p. 75.
  31. 한정혜 (2010),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 문양과 침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
  32. 권혜진 (2009), 활옷의 역사와 조형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9.
  33.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1638), 中宮殿衣襨物件所入秩.
  34.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00.
  35.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45.
  36.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32.
  37. 이상은 (1992), 朝鮮王朝服飾史論, 서울: 東方圖書, p. 192.
  38. 이상은 (1992), 朝鮮王朝服飾史論, 서울: 東方圖書, p. 191.
  39. 박승원, 이윤경, 유혜선 (2008), 淸衍郡主出土服飾중織金, 附金衣의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제9집, p. 68.
  40. 국립고궁박물관 (2010), 영친왕 일가 복식.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p. 80.
  41. 이상은 (1992), 朝鮮王朝服飾史論, 서울: 東方圖書, p. 167.
  42.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09.
  43.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靴․鞋․履, 경기: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64.
  44. 강명관 (2008), 한양가, 경기: 신구문화사, p. 142.
  45. 조미나 (2012)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8
  46. 혜경궁 홍씨, 정병설 주석 (2010), 원본한중록, 경기: 문학동네, p. 179.
  47. 四禮便覽(1844), 卷3, 喪禮1 '襲․諸具': "圓衫[卽大衣]."
  48. 김소현 (2010),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 연구, 복식, 60(5), p. 105.
  49. 자료검색일 2012. 12. 20, http://www.brooklynmuseum.org/opencollection/objects/166527/Womans_Ceremonial_Robe_Wonsam/set/d24ddf672367ddfc2c26e5b3241da50f?referring-q=wonsam
  50.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60.
  51.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05),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인천: 인천광역시립박물관, p. 146.
  52.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風俗畵,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42.
  53. 慶嬪嘉禮謄錄(1847), <詣別宮班次> ;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詣闕班次圖> .
  54. 正祖實錄 정조 12년 10월 3일.
  55. 국사편찬위원회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 두산동아, p. 244.
  56. 慶嬪嘉禮謄錄, <詣闕班次> ;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詣闕班次圖> .
  57.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風俗畵,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69.
  58.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35.
  59. 國婚定例(1749), 卷6, 公主嘉禮
  60.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경기: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30.
  61. 福溫公主嘉禮謄錄, 親迎 '親迎笏記․公主詣駙馬家班次'.
  62. 慶嬪嘉禮謄錄, <詣闕班次>.

Cited by

  1. The Province Official's Roles and Uniforms in the Enshrinement Rituals of the Royal Portrait of King Taej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Sejong Chronicles』 vol.40, pp.5, 2016, https://doi.org/10.5850/JKSCT.2016.40.5.801
  2. A Study on Procedure and Costume for a Royal Wedding Ceremony of Princes and Princesses in the 17th Century vol.66, pp.3,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3.162
  3. A Study on the wedding Procedures and Costumes of Royal Grandchildren in the 18th Century on 『Euneongungwanhonryeuigwe』 vol.68, pp.6,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6.047